ABOUT ME

70대 노인이 가질 수 있는 꿈과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행복의 깊이와 의미는 자기 자신을 통찰하는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피상적인 행복이나 선문답적인 인생론 보다는 실질적이고 나같은 범인들의 마음에 와 닿는 인생을 이야기 해보고 싶습니다. 나는 인생의 최종적인 목적과 수단은 행복이며, "나는 나를 보았다!"라고 외치는 순간에 나는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앞이 안보여 지팡이로 더듬거리며
    2018. 7. 2. 08:39

    [장석남의 시로 가꾸는 정원] [18] 앞이 안보여 지팡이로 더듬거리며

    입력 2018.07.02 03:09

    칼럼 관련 일러스트

    앞이 안보여 지팡이로 더듬거리며


    앞 못 보는 사람이 개울을 건너고 있다
    지팡이로 판자 다리를 더듬으며
    빠질 듯 빠질 듯 위태롭게 개울을 건너고 있다
    나는 손에 땀을 쥔다 가슴이 죈다
    꿈속에서처럼 가위 눌려 소리도 지르지 못한다

    그러다 문득 나는 개울을 건너고 있는 것이
    그가 아니라 나 자신이라는 것을 안다

    앞이 안보여 지팡이로 더듬거리며 빠질 듯 빠질 듯
    위태롭게 개울을 건너고 있는 것이
    우리들 바로 자신이라는 것을 안다
    사람들이 소리도 지르지 못하고
    안타깝게 발을 동동 구르고 있는 그 앞을

    ―신경림(1935~ )


    침 맞을 일이 있던 어느 봄날입니다. 앞 못 보는 침술사 선생님께서는 이렇게 인사를 하시는 것이었습니다. 꽃 한창이니 늦기 전에 꽃구경도 많이 다니고 하시라고. 그 구김 없이 개운한 마음씨에 반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앞 못 보는 분들은 계절을 소리와 향기로 겪는다는 이야기도 같이 들었습니다.

    엘리베이터 같은 데서
    점자를 물끄러미 바라볼 때가 있습니다. 그분들의 눈은 어디 있는가? 심안(心眼)이란 무엇인가?

    이 시는 '판자'로 엮은 위태로운 다리 위를 지팡이로 더듬어 걷는 것이 인생이라고 말해줍니다. '손에 땀을 쥐고 가슴이 죄는 삶' 말입니다.

    하루에 한 번 어김없이 어둠이 오고 앞이 흐려질 때 우리는 마음의 눈을 생각해야 하겠지요. 그 길을 더듬어 가야 하겠지요.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01/2018070101366.html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춘래불사춘[ 春來不似春 ]  (0) 2019.04.15
    하늘같이 살아가렵니다  (0) 2018.11.06
    1 과 4  (0) 2017.11.12
    함박눈과 까마귀  (0) 2017.06.13
    마음  (0) 2016.02.09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