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905

敎-가르칠 교

敎-가르칠 교 부수 攵 [攴] ☞ 攴 참조. 攴(등글월문部)가 방(旁)에 쓰일 때는 자형(字形)이 攵으로 바뀜. 손에 회초리를 들고 「똑똑 두드리다」 또는 「치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攵의 자형(字形)으로도 사용(使用)되고,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1.가르치다 관련어휘 2.본받다 관련어휘 3.익히다, 훈련하다(訓鍊ㆍ訓練--: 가르쳐서 익히게 하다) 관련어휘 4.알리다 관련어휘 5.명령하다(命令--: 윗사람이나 상위 조직이 아랫사람이나 하위 조직에 무엇을 하게 하다) 관련어휘 6.전해주다(傳---), 전수하다(傳授--: 기술이나 지식 따위를 전하여 주다) 관련어휘 7.하여금, ~로 하여금 ~하게 하다 관련어휘 8.다르다, 차이(差異)가 나다 관련어휘 9.가르침 관련어휘 10.종교(宗敎) 관련어..

한자 2021.08.08

爻-사귈 효/가로그을 효

爻-사귈 효/가로그을 효 부수 爻 점칠 때 엇갈린 산가지(算--)가 나타내는 「수효(數爻)」 또는 그 모양에서 「사귀다」의 뜻을 나타낸 글자.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이는 경우는 없고, 자형(字形)의 분류(分類)를 위해 사용(使用)됨. 부수 '爻'를 가진 한자 더보기 1.사귀다 관련어휘 2.본받다(≒效) 관련어휘 3.가로 긋다 관련어휘 4.엇걸리다 관련어휘 5.변하다(變--) 관련어휘 6.흐리다 관련어휘 7.지우다, 말소하다(抹消--) 관련어휘 8.육효(六爻: 역(易)의 괘(卦)를 이룬 가로획) 관련어휘 9.수효(數爻) 관련어휘 10.점괘효(占卦爻: 부수(部首)의 하나) 관련어휘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4획 획순보기 폰트별 한자 대법원 지정 자형 한컴바탕확장 유니코드 함초롬바탕 ..

한자 2021.08.08

猛-사나울 맹

猛-사나울 맹 부수 犭 [犬] ☞ 犬 참조. 犬(개견部)가 변(邊)에 쓰일 때는 자형(字形)이 犭으로, 명칭(名稱)은 개사슴록변部로 바뀜. 앞발을 들고 짖어대는 「개」의 모양을 본뜬 글자. 개나 개를 닮은 짐승, 그들의 야수적(野獸的)인 성질(性質)이나 행위(行爲) 등을 나타냄. 사냥에 관한 뜻도 포함함. 또 이민족(異民族)인 오랑캐와 관련(關聯ㆍ關連)된 뜻을 나타냄. 변(邊)으로 쓰일 때는 犭의 자형(字形)으로 되고,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1.사납다 관련어휘 2.굳세고 용맹스럽다(勇猛---) 관련어휘 3.건장하다(健壯--) 관련어휘 4.날래다 관련어휘 5.세차다, 맹렬하다(猛烈--) 관련어휘 6.굳고 강하다(強--) 관련어휘 7.엄격하다(嚴格--), 준엄하다(峻嚴--) 관련어휘 8.잔혹하다..

한자 2021.08.08

孟-맏 맹

孟-맏 맹 1.맏, 첫, 처음 관련어휘 2.맏이, 여러 형제나 자매 중에서 제일 손위 관련어휘 3.맹자(孟子)의 약칭(略稱) 관련어휘 4.우두머리 관련어휘 5.동(사물의 조리(條理))이 닿지 않는 엉터리 관련어휘 6.그물 관련어휘 7.성(姓)의 하나 관련어휘 8.힘쓰다, 애쓰다 관련어휘 9.사납다 관련어휘 10.과격하다(過激--) 관련어휘 11.동(사물의 조리(條理))이 닿지 않다 관련어휘 12.맹랑하다(孟浪--) 관련어휘 13.크다 관련어휘 폰트별 한자 대법원 지정 자형 한컴바탕확장 유니코드 함초롬바탕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

한자 2021.07.31

溫-따뜻할 온/쌓을 온

溫-따뜻할 온/쌓을 온 부수 氵 [水,氺] ☞ 水 참조. 水(물수部)가 변(邊)에 쓰일 때는 자형(字形)이 氵으로, 명칭(名稱)은 삼수변部로, 밑으로 쓰일 때는 자형(字形)이 氺으로, 명칭(名稱)은 아래물수部로 바뀜. 「물」의 흐름을 본뜬 글자. 물과 관계(關係)되는 뜻을 나타냄.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1.따뜻하다 관련어휘 2.따뜻하게 하다 관련어휘 3.데우다 관련어휘 4.부드럽다 관련어휘 5.온화하다(溫和--), 온순하다(溫順--) 관련어휘 6.단조롭다(單調--) 관련어휘 7.훌륭하지 못하다 관련어휘 8.익히다, 학습하다(學習--) 관련어휘 9.복습하다(復習--) 관련어휘 10.족하다(足--), 넉넉하다 관련어휘 11.쌓다, 축적하다(蓄積--) 관련어휘 12.함유하다(含有--) 관련어휘 1..

한자 2021.07.11

浮-뜰 부

浮-뜰 부 부수 氵 [水,氺] ☞ 水 참조. 水(물수部)가 변(邊)에 쓰일 때는 자형(字形)이 氵으로, 명칭(名稱)은 삼수변部로, 밑으로 쓰일 때는 자형(字形)이 氺으로, 명칭(名稱)은 아래물수部로 바뀜. 「물」의 흐름을 본뜬 글자. 물과 관계(關係)되는 뜻을 나타냄.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부수 '氵'를 가진 한자 더보기 (삼수변, 3획) 모양자 氵(삼수변 수) + 孚(미쁠 부) 총획수10획 획순보기 1.(물에)뜨다 관련어휘 2.떠다니다 관련어휘 3.떠서 움직이다 관련어휘 4.가볍다 관련어휘 5.(근거가)없다 관련어휘 6.진실성(眞實性)이 없다 관련어휘 7.덧없다, 정함이 없다 관련어휘 8.넘치다 관련어휘 9.높다 관련어휘 10.지나치다 관련어휘 11.은혜(恩惠) 갚음을 받다 관련어휘 12...

한자 2021.07.04

乳-젖 유

乳-젖 유 부수 乚 [乙,乛,⺄] ☞ 乙 참조. 새의 「굽은」 앞가슴, 또는 초목(草木)의 새싹이 「구부러져」 나오는 모양을 본뜬 글자.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이는 경우는 없고, 자형(字形)의 분류(分類)를 위해 사용(使用)됨. 부수 '乚'를 가진 한자 더보기 (새을3, 1획) 모양자 乚(숨을 은) + 孚(미쁠 부) 총획수8획 획순보기 유니코드 U+4E73 뜻풀이부 1.젖 관련어휘 2.젖 같은 액 관련어휘 3.젖꼭지, 젖 모양의 것 관련어휘 4.유방(乳房) 관련어휘 5.어머니, 어버이 관련어휘 6.갓 태어난, 젖먹이의 관련어휘 7.젖을 먹이다, 수유하다(授乳--) 관련어휘 8.기르다 관련어휘 9.낳다, 생식하다(生殖--) 관련어휘 10.부화하다(孵化--), 알을 까다 관련어휘 11.어리다 관련어휘..

한자 2021.07.04

孔-구멍 공

孔-구멍 공 양팔을 벌린 「어린아이」의 모양을 본뜬 글자. 아이와 관계(關係)된 뜻을 나타냄.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뜻풀이부 1.구멍, 굴 관련어휘 2.성(姓)의 하나 관련어휘 3.공자(孔子)의 약칭(略稱) 관련어휘 4.동전(銅錢) 관련어휘 5.새의 이름, 공작(孔雀) 관련어휘 6.매우, 심히 관련어휘 7.비다, 공허하다(空虛--) 관련어휘 8.깊다 관련어휘 9.크다, 성대하다(盛大--) 관련어휘 10.아름답다 관련어휘 11.통하다(通--), 지나가다 관련어휘 12.허무하다(虛無--), 헛되다 관련어휘 연관 단어 유의어壙(뫼 구덩이 광) 穴(구멍 혈, 굴 휼) 窟(굴 굴) 竅(구멍 규) 竇(구멍 두, 개천 독) 통자空(빌 공)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4획 획순보기 폰트별 ..

한자 2021.07.04

孤/외로울 고

孤/외로울 고 뜻풀이부 1.외롭다, 의지(依支)할 데가 없다 관련어휘 2.떨어지다, 멀다 관련어휘 3.(고아로)만들다 관련어휘 4.(불쌍히 여겨)돌보다, 염려하다(念慮--) 관련어휘 5.버리다, 벌하다(罰--) 관련어휘 6.저버리다, 배반하다(背反ㆍ背叛--) 관련어휘 7.작다 관련어휘 8.고루(固陋)하고 무지하다(無知--) 관련어휘 9.어리석다 관련어휘 10.고아(孤兒) 관련어휘 11.나랏일을 하다 죽은 이의 자식(子息) 관련어휘 12.늙어 자식(子息)이 없는 사람 관련어휘 13.벼슬의 이름 관련어휘 14.나, 왕후(王侯)의 겸칭(謙稱) 관련어휘 15.단독(單獨) 관련어휘 16.홀로, 하나, 외따로 관련어휘 폰트별 한자 대법원 지정 자형 한컴바탕확장 유니코드 함초롬바탕 학습 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

한자 2021.06.27

字/글자 자

字/글자 자 뜻풀이부 1.글자, 문자(文字) 관련어휘 2.자(字: 이름에 준하는 것) 관련어휘 3.암컷 관련어휘 4.기르다, 양육하다(養育--) 관련어휘 5.낳다 관련어휘 6.사랑하다 관련어휘 7.정혼하다(定婚--) 관련어휘 폰트별 한자 대법원 지정 자형 한컴바탕확장 유니코드 함초롬바탕 학습 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라 「자원(육서)」은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字자는 ‘글자’나 ‘문자’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字자는 宀(집 ..

한자 2021.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