弟-제,퇴/아우 제, 기울어질 퇴
부수
弓
「활」의 모양을 본뜬 글자. 활과 관련(關聯ㆍ關連)된 동작(動作)이나 상태(狀態)를 나타냄.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활궁, 3획)
모양자
八(여덟 팔) + ?(조상할 조)
장단음
제ː
- 1.(아우 제)
- a.아우
- 관련어휘
- b.나이 어린 사람
- 관련어휘
- c.자기(自己)의 겸칭(謙稱)
- 관련어휘
- d.제자(弟子)
- 관련어휘
- e.순서(順序), 차례(次例)
- 관련어휘
- f.다만
- 관련어휘
- g.단지(但只)
- 관련어휘
- h.발어사(發語辭)
- 관련어휘
- i.공경하다(恭敬--), 공손하다(恭遜--)
- 관련어휘
- j.편안하다(便安--), 즐기다
- 관련어휘
- k.순하다(順--)
- 관련어휘
- 관련어휘
- 2.(기울어질 퇴)
- a.기울어지다
- 관련어휘
- b.순종하다(順從--)
- 관련어휘
- 관련어휘
연관 단어
- 반의어兄(형 형, 두려워할 황) 師(스승 사) 昆(맏 곤/벌레 곤, 뒤섞일 혼)
- 통자悌(공손할 제)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7획
획순보기
폰트별 한자
- 대법원 지정 자형
- 한컴바탕확장
- 유니코드
- 함초롬바탕
한자는 이용 중인 기기의 폰트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상세보기
이체자
- ?
- 고자
- ?
- 고자
- ?
- 고자
출처: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학습 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라 「자원(육서)」은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뜸.
한자는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다. 그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상형(象形)'이라고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를 '상형자(象形字)'라고 한다.
弟자는 ‘아우’나 ‘나이 어린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弟자는 弓(활 궁)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활’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왜냐하면, 弟자는 나무토막에 줄을 감은 모습을 그린 것이기 때문이다. 弟자는 본래 나무토막에 줄을 순서대로 묶는다 하여 ‘차례’나 ‘순서’를 뜻했었다. 그러나 후에 형제간의 순서라는 의미에서 ‘아우’를 뜻하게 되자 지금은 여기에 竹(대나무 죽)자를 더한 第(차례 제)자가 뜻을 대신하고 있다.
출처 : [한자로드(路)] 신동윤 | (삽화) 변아롱.박혜현
구체적인 사물의 모양을 본뜸.
한자는 여러 가지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다. 그 중 가장 기본적인 것은 사물의 모양을 본떠서 글자를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상형(象形)'이라고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를 '상형자(象形字)'라고 한다.
활을 들고 노는 아우를 본뜬 글자로 「아우」를 뜻함. 혹은 무기(武器)에 가죽을 감아 붙이는 모양, 차례로 감기 때문에 차례란 뜻으로 쓰며, 또 가죽을 위에서 아래로 감아 내려가므로 음(音)이 비슷한 低(저 ☞ 낮다)와 결부됨. 차례란 뜻으로 나중에 第(제)라 쓰고, 弟(제)는 낮다는 데서 형제(兄弟) 중의 손아래→동생을 나타내게 되었음.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영문
young brother. junior. i, me.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弟-제,퇴/아우 제, 기울어질 퇴 :
활을 들고 노는 아우를 본뜬 글자로 「아우」를 뜻함.
This is a letter depicting a younger brother playing with a bow, meaning 'brother'.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考-생각할 고/살필 고 (0) | 2021.09.11 |
---|---|
老-늙을 로(노) (0) | 2021.09.01 |
兒-아,예/아이 아, 어릴 예 (0) | 2021.08.29 |
只-지,척/다만 지, 외짝 척 (0) | 2021.08.29 |
況-상황 황/하물며 황수 (0) | 2021.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