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只-지,척/다만 지, 외짝 척

최만섭 2021. 8. 29. 15:04

只-지,척/다만 지, 외짝 척

 

사람의 「입」의 모양을 본뜬 글자. 그 기능()에서 「먹다」, 「말하다」의 뜻으로도 쓰임. 의미() 요소()로 쓰임.

부수 '口'를 가진 한자 더보기

(입구, 3획)

모양자

(입 구) + (여덟 팔)

  •  
  • 1.(다만 지)
    • a.다만, 단지()
    • 관련어휘
    • b.뿐, 오직
    • 관련어휘
    • c.겨우, 한갓
    • 관련어휘
    • d.그러나
    • 관련어휘
    • e.오직 ~하여야만
    • 관련어휘
    • f.오직 ~밖에 없다
    • 관련어휘
    • g.이, 이것
    • 관련어휘
    • h.어조사()
    • 관련어휘
    • i.짧은 거리()
    • 관련어휘
  • 관련어휘
  • 2.(외짝 척)
    • a.외짝
    • 관련어휘
    • b.하나
    • 관련어휘
    • c.새 한 마리
    • 관련어휘
    • d.척(배를 세는 단위)
    • 관련어휘
    • e.쪽, 짝
    • 관련어휘
    • f.단독()의, 단일()의
    • 관련어휘
    • g.단 하나의
    • 관련어휘
  • 관련어휘

연관 단어

  • 유의어(다만 단, 거짓 탄) (오직 유, 누구 수) (생각할 유)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5획

획순보기

 

폰트별 한자

  • 대법원 지정 자형
  • 한컴바탕확장
  • 유니코드
  • 함초롬바탕

한자는 이용 중인 기기의 폰트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상세보기

이체자

  • 본자
  • ?
  • 동자

출처: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학습 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라 「자원(육서)」은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자는 ‘다만’이나 ‘오직’, ‘겨우’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자는 자가 부수로 지정되어는 있지만 ‘입’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자의 갑골문을 보면 양손 사이로 (새 추)자가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새를 포획하는 장면을 그린 것이다. 자는 본래 ‘새 한 마리’라는 뜻하기 위해 만든 글자였다. 그러나 일찌감치 (새 한 마리 척)자나 (다만 지)자, (땅귀신 기)자의 약자로 쓰이면서 본래의 의미는 더는 쓰이지 않고 있다. 약자란 획이 복잡한 글자들을 단순화시켜서 쓰는 방식을

말한다. 자에 ‘외짝’이나 ‘새 한 마리’, ‘오직’, ‘그러나’, ‘어조사’등과 같이 다양한 뜻이 있는 이유도 자가 다른 여러 글자의 약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출처 : [한자로드()] 신동윤 | (삽화) 변아롱.박혜현

그림으로 배우는 한자 더보기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척)의 간체자(). (구)는 입의 모양, (팔)은 말이 끝나고 숨이 분산하는 모양을 본뜸. 어조사()로서 말의 끝에 씀. 또 음()을 빌어 다만의 뜻으로 씀.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only, just, simply.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只-지,척/다만 지, 외짝 척 : 입(口/입구)으로 숨을 내밭는(八/ 여덟 팔은 말이 끝나고 숨이 분산하는 모양을 본뜸) 짧은 순간이라는 의미로 '다만, 오로지'라는 뜻으로 쓰인다.

 

It is used to mean "only" which means a short moment of exhaling through the mouth.

 

只今-지금

다만 지/ 今 이제 금

  • 1.이제.
  • 관련어휘
  • 2.이 시간(時間).
  • 관련어휘
  • 3.곧.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弟-제,퇴/아우 제, 기울어질 퇴  (0) 2021.08.29
兒-아,예/아이 아, 어릴 예  (0) 2021.08.29
況-상황 황/하물며 황수  (0) 2021.08.27
祝축, 축-빌 축, 저주할 주  (0) 2021.08.24
兄형형, 두려워할 황  (0) 2021.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