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兄형형, 두려워할 황

최만섭 2021. 8. 17. 20:04

형,황

형 형, 두려워할 황

부수

걸어가는 「사람」의 다리 모양을 본뜬 글자. 사람을 뜻함. 의미() 요소()로 쓰이는 경우도 있고, 자형()의 분류()를 위해서도 사용(使)됨.

부수 '儿'를 가진 한자 더보기

(어진사람인발, 2획)

모양자

(어진 사람 인) + (입 구)

  • 1.(형 형)
    • a.형()
    • 관련어휘
    • b.맏, 맏이, 나이 많은 사람
    • 관련어휘
    • c.벗을 높여 부르는 말
    • 관련어휘
    • d.친척()
    • 관련어휘
    • e.훌륭하다, 뛰어나다
    • 관련어휘
    • f.늘다, 자라다, 붙다
    • 관련어휘
  • 관련어휘
  • 2.(두려워할 황)
    • a.두려워하다
    • 관련어휘
    • b.멍하다
    • 관련어휘
    • c.민망하다(--)
    • 관련어휘
    • d.슬퍼하다
    • 관련어휘
    • e.하물며
    • 관련어휘
  • 관련어휘

연관 단어

  • 반의어(아우 제, 기울어질 퇴)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5획

획순보기

 

폰트별 한자

  • 대법원 지정 자형
  • 한컴바탕확장
  • 유니코드
  • 함초롬바탕

한자는 이용 중인 기기의 폰트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상세보기

출처: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학습 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라 「자원(육서)」은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兄자는 ‘형’이나 ‘맏이’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兄자는 儿(어진사람 인)자에 口(입 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갑골문에 나온 兄자를 보면 하늘을 향해 입을 크게 벌리고 있는 사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축문()을 읽는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자는 본래 제사를 주관하는 사람을 일컫던 말이었다. 제사를 준비하고 축문을 읽는 것은 모두 연장자의 몫이었기 때문에 자는 후에 ‘형’이나 ‘맏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출처 : [한자로드()] 신동윤 | (삽화) 변아롱.박혜현

그림으로 배우는 한자 더보기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口(구 ☞ 입)와 어진사람인발(儿 ☞ 사람의 다리 모양)部와의 합자(合字). 입을 쓰는 사람의 뜻. 형은 아우나 누이를 지도()하는 데서 형의 뜻으로 삼음.

 

영문

elder brother.

兄형형, 두려워할 황 : 제단 앞에 무릎을 끓고(儿-인,아어진 사람 인, 아이 아) 입(口/입 구)으로 조상께 고하는 글을 읽는 향을 뜻하는 글자이다.It means that he is the oldest brother who kneels down in front of the altar and reads the message to his ancestors with his mouth.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況-상황 황/하물며 황수  (0) 2021.08.27
祝축, 축-빌 축, 저주할 주  (0) 2021.08.24
覺-깨달을 각, 깰 교  (0) 2021.08.08
學-배울 학, 가르칠 교,  (0) 2021.08.08
敎-가르칠 교  (0) 2021.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