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스크랩] 그림

최만섭 2015. 9. 28. 16:23

 

                                                                     제목 그림

                                                       

                                                                  작성 : 최만섭 시인/수필가


1. 추상화(抽象化)

 

성적 호기심에 눈뜨기 시작한 장난꾸러기 꼬마들은 청소시간 때마다  무릎을 굽혀 바닥에 대고 걸레질을 하는척 하면서  미술 선생님의 치마 속을 훔쳐보곤 하였다.


선생님은 그런 녀석을 발견하면은 혼을 내기는커녕 `너 일어서!` 하고 크게 고함을 치면서 손으로는 도망가라는 시늉을 하여 운동장으로 내몬 다음 그 녀석과 운동장에서 뜀박질을 즐기는 호탕한 여장부였다. 그런 선생님이 우리에게 털어놓은 고민은 의외로 심각한 불면증 이었다. 우리는 떠들어대었다. `그냥 눈을 감고 천까지 세요.` `우리 아빠처럼 술을 드세요.` 선생님은 말씀하셨다. `불면증은 아무리 노력해도 잠들 수 없는 병이란다.`

 

중학교 1학년 마지막 수업 시간에 나는 선생님으로부터 그림을 통하여 불면증을 치유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불면에 시달린 선생님은 비몽사몽인 상태에서 벽에 걸어 놓은 추상화를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가 갑자기 가슴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꼈다. 그림 속에서 어릴 때 다정했던 친구들이 비눗방울같이 마구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소공자, 소공녀, 프란다스의 개. 선생님은 요정들이 불러주는 감미로운 성가를 들으면서 잠 속으로 빠져 들어갔다.

 

호기심에 초롱 같은 눈망울을 깜빡이는 아이들을 향하여 선생님은 당신의 솔직한 심정을 실토했다. `나는 미술을 전공했지만 추상화를 오늘에야 이해하게 되었다. 추상화도 풍경화같이 아름다운 그림이다.`

 

2. 초상화(肖像畵)

 

군대에서는 천 리 행군 전날에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빨랫비누를 칼로 조각내어 양말 속에 쑤셔 넣는다. 짙은 어둠 속에서 밤새워 수백 리 길을 걷는다는 것은 인간이 가진 모든 에너지를 소모 시키기에 충분할 만큼 고된 훈련이었다. 나는 앞선 내무반 선임의 허리를 잡은 양손에 기능이 마비된 몸뚱이를 의지 한 채 앞으로 끌려가고 있었다. 그 다음 날에도 행군은 계속 되었다. 조개껍데기 가루가 깔린 앞마당과 초록색 소나무 울타리가 어우러진 형상을 한 해수욕장을 몇 군데 지나치고 나서, 나는 외딴 통나무집 앞에서 힘에 부쳐 주저앉고 말았다.

 

이탈리아 영화 ‘해바라기’의 ‘소피아 로렌’같이 기다림에 지친 커다란 눈을 가진 여인이 짧은 원피스 밑에 드러난 탐스러운 허벅지를 과시하면서 사이다 한 컵을 내게 내밀었다. `군인 아저씨! 나는 정말로 아름다운 여인입니다.` 내가 그녀의 속내를 훔쳐보는 순간에 그녀는 엎지른 물을 도로 담기라도 하려는 는 듯이 다급하게 속삭였다. `남편도 당신과 같은 군인 예요` 그리고 우리는 침묵속에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등산을 할 때 처음에는 동행자와 입으로 대화를 하다가 한 시간 정도 산을 오르면 가슴으로 이야기를 나누듯이 우리는 군인, 그녀의 남편 그리고 나의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받았다. `나는 군인을 사랑해요.` 오랜 침묵 끝에 그녀는 확신에 찬 작은 목소리로 외쳤다. 그리고 석양속에서 질서를 지키며 행군하고 있는 군인부대를 가리켰다.

 

개미허리 위에 무쇠 솥만큼 무거운 박격포를 짊어진 젊은이들의 힘겨운 모습은 마치 회오리바람에 휘청대는 버드나무같이 위태로워 보였다. 그들의 눈에서 쏟아져 나온 눈부시게 하얀 광채가 굴뚝에서 피어오르는 연기같이 떼를 지어 주홍색 저녁노을 속으로 사라져 갔다. 나는 수백 명이 만드는 장엄한 행진곡에 빠져들어  나도 모르게 행군 대열 속으로 합류했다. 아름다움은 군인의 처절한 눈빛에서 사랑을 절실하게 갈망하는 한 인간의 가슴 속으로 전이 되고 있었다. 

 

아름다움이란 양손으로 가린 공작부인의 얼굴 속에 숨어 있는 따뜻한 마음이 아니라 첫 사랑을 찾아 고향으로 돌아온 바람둥이 여인의 터질 듯한 가슴이 아닐까?

 

3. 산수화(山水畵)

 

그림은 작가의 손을 떠나는 순간 그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에 의해서 재창조된다. 그런 의미에서 그림의 실질적인 주인은 그림의 소유자가 아니라 그림에 도취한 수많은 감상자일 것이다.

 

십 대와 이 십대일 때, 나는 인생(人生)을 이미 다 살았고 나의 창의력이 모두 고갈되어서 나 자신이 또 다른 그림 앞에 선다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착각에 빠졌었다. 그러나 오십 대 중 반에 나는 ‘범관’의 ‘계산행려도’라는 산수화(山水畵) 앞에 서 있다. 중국의 미술 평론가들은 중국 회화 중에서 산수화를 최고로 평가한다. 중국에서 산수화가 발달한 이유는 천지와 사회에서 발생하는 모든 현상의 기본적인 형태와 법칙을 찾으려고 노력했던 철학자들의 영향 때문이다.

 

노자는 그 답이 자연이라고 생각했다. 노자의 자연은 산과 강이 아니라 산과 강의 존재형식이 스스로 그러한 상태를 말한다. 인간이 자연스럽게 산다는 말은 마음을 비우고 생이불유(生而不有)한다는 뜻이다.

 

생이불유(生而不有) : 성인(聖人)은 생(生)하되 생(生)한 것을 소유(所有)하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명사적 의미의 자연은 ‘1.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서 존재하는 것이나 일어나는 현상. [산·강·바다·동물·식물·비·바람·구름 따위.]↔인위. 2. 사람이나 물질의 본디의 성질. 본성. 3. 철학에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외계의 모든 현상을 이르는 말.’이다. 중국 고전에서 이러한 의미의 자연에 가장 가까운 명사는 천지다.

 

노자의 도덕경에 ‘천지불인(天地不仁)’이라는 말이 있다. ‘천지는 어질지 않다.’라는 뜻이 아니라 ‘천지는 스스로 생멸)하면서 번성할 뿐, 인간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라는 뜻이다. 인생을 행복하게 산다는 의미도 무엇을 위하여 사는 것이 아니라 산에서 자라는 나무같이 자기 삶의 진짜 주인으로서 당당하게 사는 것이다.

 

나는 인위(人爲)와 유위(有爲) 때문에 좌절하고 절망에 빠질 때마다 산수화 곁으로 다가가서 나 자신을 질책한다. `이 미련한 사람아! 아직도 무위 자연 속에 초가삼간조차 장만하지 못했단 말인가?`

 

2006년 9월 11일

출처 : 의정부중공업고등학교총동문회
글쓴이 : 최만섭(중 20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