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8.07.26 03:19
백운규 산업부 장관이 25일 "차질 없이 전력 수급을 관리할 수 있다"며 폭염 때문에 사용량이 늘어난 가정용 전기 요금을 한시 인하하는 방안도 "필요하면 검토하겠다"고 했다. 전기 사용 절감 캠페인을 벌여도 모자랄 판에 더 쓰라고 판촉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전력 수요가 연일 정부 예측치를 넘어서 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전력 예비율이 한 자릿수로 떨어졌는데도 아무 문제 없다며 낙관론만 펴고 있다.
백 장관 발언의 주안점은 올여름 원전 추가 가동이 폭염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전날 대통령이 언론의 '왜곡' 보도에 '대응하라'고 한 지시를 이행한 것이다. 국민은 전력 공급이 괜찮겠느냐고 걱정하는데 정부는 탈원전 정치가 우선이다.
다행히 이날은 무더위가 조금 나아져 전력 예비율이 9.8%로 올라갔지만 여전히 정부가 정한 11% 목표선을 밑돌았다. 그런데도 산업부는 기업들에 대한 전력 수요 감축 지시(DR)를 내리지 않았다. 지난 겨울 전력 비상 때 예비 전력 1000만㎾ 이상인데도 10차례 DR을 발동해 공장을 멈춰 세웠던 것과 대조적이다. 탈원전에 따른 전력 부족 문제를 부각시키지 않으려는 의도일 것이다. 정부는 상점들이 문을 열고 영업하는 이른바 '개문(開門) 냉방'도 단속하지 않고 있다. 2012년부터 적발되면 과태료를 물리던 것을 작년 여름부터는 단순 계도만 하고 있다. 이 역시 탈원전의 문제점이 부각될까봐 몸을 사리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백 장관 발언의 주안점은 올여름 원전 추가 가동이 폭염 때문이 아니라는 것이었다. 전날 대통령이 언론의 '왜곡' 보도에 '대응하라'고 한 지시를 이행한 것이다. 국민은 전력 공급이 괜찮겠느냐고 걱정하는데 정부는 탈원전 정치가 우선이다.
다행히 이날은 무더위가 조금 나아져 전력 예비율이 9.8%로 올라갔지만 여전히 정부가 정한 11% 목표선을 밑돌았다. 그런데도 산업부는 기업들에 대한 전력 수요 감축 지시(DR)를 내리지 않았다. 지난 겨울 전력 비상 때 예비 전력 1000만㎾ 이상인데도 10차례 DR을 발동해 공장을 멈춰 세웠던 것과 대조적이다. 탈원전에 따른 전력 부족 문제를 부각시키지 않으려는 의도일 것이다. 정부는 상점들이 문을 열고 영업하는 이른바 '개문(開門) 냉방'도 단속하지 않고 있다. 2012년부터 적발되면 과태료를 물리던 것을 작년 여름부터는 단순 계도만 하고 있다. 이 역시 탈원전의 문제점이 부각될까봐 몸을 사리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