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는 싫었던 '인어공주'… 헌신적 죽음 이해 못 해
물거품으로 흩어질 줄 알면서도 전부를 주는 것이 사랑
행복한 결말의 디즈니 영화보다 안데르센 원작을 한 줄씩 읽으리
어린 나는 안데르센이 싫었다.
그가 쓴 동화 '인어공주'의 결말을 받아들일 수가 없어 병이 났다.
사람을 사랑하게 된 공주, 그 사랑을 위해 어여쁜 목소리를 마녀에게 주고 다리와 바꾸는 공주, 언니들이 구해다 준 칼을 왕자의 가슴에 꽂기만 하면 다시 행복한 시절로 돌아갈 수 있음에도 칼을 버리는 공주 아리엘. 그 지고지순한 헌신의 결말이 헛된 물거품으로 흩어지는 것이라니! 환상적인 스토리는 매혹적이었으나 사랑의 깊음을 헤아리기엔 내가 어렸다.
그보다 한층 더 싫었던 동화가 있었으니 '해와 달이 된 오누이'였다. 그야말로 '옛날 옛적에…'로 시작되는지라 미워할 원작자조차 없었는데 이건 읽기보다는 이야기로 여러 번 들었다. 할머니, 엄마, 아버지, 고모…. 특히 할머니는 옆집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되듯 생생하게 구연을 하곤 했다. 이야기꾼의 취향이나 기분, 심지어 날씨에 따라 그 디테일 역시 조금씩 달라졌으나 엽기적이고 잔혹한 핵심 내용은 빠지는 날이 없었다. …시장에 떡을 팔러 갔다 돌아오던 엄마는 어둑한 산길에서 말하는 호랑이를 만난다. 그 말인즉슨 '팔 하나 떼어주면 안 잡아먹지.' 모르는 사람이 없을 이야기다.
호랑이는 매번 저만치 앞서 기다린다. …다리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 팔다리를 차례차례 떼어주고 몸뚱이만 데굴데굴 굴러 돌아오다 끝내는 그마저 호랑이 밥이 되어버린다. 차라리 한 번에나 잡아먹든가. 여기서라도 좀 끝이 나면 좋겠는데 이 사이코패스 같은 호랑이는 오누이마저 잡아먹으려고 집까지 찾아들고 우여곡절 끝에 오누이는 하늘로 올라가 해와 달이 되었다는 것이다. 뒤따라 올라가던 호랑이가 떨어져 죽으면서 흩뿌린 피가 묻어 수수는 붉은 반점을 갖게 되었다나. 아아! 이 무슨 누아르풍의 동화란 말인가. 이후로 불그스레한 수수팥떡은 나의 혐오식품이 되어버렸다.
결국엔 잡아먹진 않겠다는 제 말마저 삼켜버리는 호랑이는 얼마나 비열하고 치사한가. 이해할 수 없는 건 떡장수 엄마도 마찬가지였다. 어스름 저녁에 호랑이가 출몰하는 산길을 왜 기어이 돌아온단 말인가. 바보 아닌가? 인생에는 팔과 다리를 하나씩 떼어주면서도 넘어야 하는 가파른 고개가 있다는 걸 알 리 없는 나이였다.
어쨌거나 내 오랜 소원을 풀어주겠다는 듯 디즈니사는 1989년 영화 '인어공주'를 만들면서 해피엔드로 결말을 바꾸었다. 후련했던가? 그렇지 않았다. 사랑의 마음이란 물거품으로 흩어질 줄 알면서도 제 전부를 주는 기이함이란 걸 알게 된 나이였다. 다시 두 개의 버전 중 하나를 선택하라면 안데르센의 원작을 차분히 한 줄씩 읽어보겠다. 수수팥떡을 꼭꼭 씹어 먹으며.
참 모를 일인 게 느닷없이, 정말 느닷없이 이 이야기가 떠오를 때가 있다. 장에 간 엄마를 기다리던 어린 내가 자라나 떡장수의 시간을 지나고 있을 때. 누군가의 팔과 다리를 하나씩 똑똑 따먹은, 고개 하나 넘을 때마다 먼저 와 기다리던 호랑이가 나였음을 알게 되었을 때. 그걸 깨우치고 보니 내가 당신의 호랑이였소, 고백해야 할 사람은 이미 곁에 없을 때. 어린아이와 떡장수 엄마와 호랑이, 그 셋이 또한 하나임을 알게 되었을 때. 결국은 인생, 그것이 호랑이임을 시간이 가르쳐주었을 때.
모란까지 피어버린 조숙한 계절. 이 기운 끌어모아 남은 한 해 버티라는 듯 생기로 충만한 오월이 절정을 지나고
가장 가까이 있는 그는 나에게, 나는 그에게 누구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