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필

'독일인의 사랑'과의 재회

최만섭 2016. 4. 10. 15:58

                                             

                                           제목 : '독일인의 사랑'과의 재회-     2007-01-01 00:00:00 





1. 지은이 : 막스 뮐러 (1823~1900).

동양학, 비교언어학의 세계적 권위자였던 막스 뮐러는 슈베르트의 연가곡으로 널리 알려진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처녀>, <겨울 나그네>의 노랫말을 쓴 낭만적 서정시인 빌헬름 뮐러의 아들로 독일에서 출생하였다. 베를린 대학에서 F.보프, F.셸링, 파리에서 E.뷔르노프 등에게 사사하였으며 1850년에 옥스퍼드 대학의 교수가 된 그는 인도 -게르만어의 비교언어학, 비교종교학 및 비교신학의 과학적 방법론을 확립하였다.


막스 뮐러는 오직 한 편의 소설을 남겼을 뿐인데 그것이 바로 <독일인의 사랑(Deutsche Liebe)>이다. 이 밖에도 그는 <고대 산스크리트 문학가>, <신비주의 학>, <종교의 기원과 생성>등의 저서를 후세에 남겼다.


2. 초록 불꽃.

지난 구정 연후 때였다. 점심 후 쏟아지는 졸음을 쫓고자 나와 집사람은 집을 나와 영화관 까지 걸었다. 아마 몇 년 전에 우리나라 영화 ‘해피엔드’를 같이 감상한 후 처음인 것 같았다. 극장 앞에는 젊은이들의 청바지 행렬이 길게 이어져 있었다. 이제 영화관도 젊은이들만의 문화공간으로 전락했는가? 


마침 영화가 시작하려면 약 1시간 정도 여유가 있어서 시내를 산책하기로 하였다. 나는 집사람을 역전에 있는 대형서점으로 안내하였다. 낡은 형광등에서 쏟아지는 초록 불빛기둥이 진열대 한구석에 놓여있는 “독일인의 사랑”에 부딪치고 있었다.


산소 용접을 할 때 붉은 불꽃이 용접할 부분을 달구어 놓으면 불꽃 중심부 초록 불꽃이 용접봉을 녹여서 두 개의 철판을 연결하듯이 “독일인의 사랑”은 내 가슴에서 떨어져 나간 청소년 시절의 감성을 연결해 주었다.

     

세상 모든 일이 상대적이듯이 70년대 초에는 비록 물질적으로는 가난했지만 정신적으로는 풍요로웠다. 그 당시 우리는 삶의 가치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것이며, 그 아름다움은 감성이 지배하는 세계에서만 존재할 수 있다는 비논리적인 사고에 젖어있었다. 우리의 그러한 사고는 늘 지식에 굶주린 사자같이 행동하는 ‘최용준’ 선생님의 영향 때문이었다. 그분은 우리가 모두 지성인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지성인의 참된 자세는 늘 책을 읽고 사색하는 것이다!”라고 가르치셨다.


선생님은 우리를 만날 때마다 “너 오늘 무슨 책 읽었니?”라고 물으셨다. 그리고 이상적인 사랑을 꿈꾸는 우리에게 “독일인의 사랑을 읽지 않은 녀석은 사랑할 자격이 없다.”라고 선언하여 독일인의 사랑은 우리 모두의 사랑 지침서가 되었다.


사랑이란 무엇일까? 나는 사랑을 생각할 때마다 사랑은 한쪽 면만을 바라보는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그것은 선(善)과 악(惡)이라는 이분법적이고 이성적인 사고가 아니라 선(善)만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이다. 어떻게 보면 올바른 삶이라는 것도 양쪽 세계 중 한쪽 세계에 열중하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을 사랑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나는 감히 그것을 깊은 감정의 경험을 나누는 행위라고 정의하고자 한다. 사랑은 진한 초록 불꽃이다.


3. 당신의 것은 나의 것입니다.

독일인의 사랑은 중년이 된 주인공 (아마도 작자 자신인 막스 뮐러)이 첫사랑을 기억하면서 시작된다. 어릴 때 첫사랑이 항상 그러하듯이 소녀를 쫓아서 달려가면 주인공의 앞에는 소녀 대신 영원히 잡을 수 없는 바람에 몸을 맡긴 뭉게구름이 나타난다. 주인공이 아주 어렸을 때, 아마 태어나 말귀를 겨우 알아들을 때였으리라. 동화책 속의 아름다운 성이 소년의 창 너머로 보인다.


소년의 유일한 꿈은 저 높은 구름 속의 성안을 산책하는 것이었다. 드디어 그 꿈이 이루었을 때, 그는 두 명의 장정에 의해 침대에 누운 채로 들려 나오는 마리아라는 소녀를 만난다. 그는 “저 여인은 평생 걸을 수 없겠구나! 아무것도 할 수 없고 기쁨도 없겠구나!”라고 탄식하면서 그녀의 고통 일부를 떼어 받아야겠다는 느낌에 사로잡힌다. 


어느 날 마리아는 그 방에 있는 다섯 명의 친구들(친척 포함)에게 반지를 하나씩 나누어주면서 그들의 손에 입맞춤한다. “언제고 내가 너희를 떠나더라도 나를 잊지 않기를 바란다. 그래서 너희 모두에게 줄 반지를 가져왔어.” 그러나 소년은 그 반지를 거절한다. "이 반지를 내게 주고 싶거든 네가 그대로 갖고 있어. 네 것은 다 내 것이니까."


그들은 성년이 되어 재회한다. 주인공은 마리아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마리아는 그냥 친구로 지내자고 하면서 이를 거절한다. 머지않아 이 세상을 하직해야 하는 마리아로서는 그의 사랑을 받아들일 수 없었다. 그가 격을 이별의 고통이 두려웠기 때문이다.


순결한 영혼을 가진 마리아는 “사랑”에 대한 그녀의 생각을 거침없이 털어놓았다. “많은 이들로 하여금 참된 기독교 정신으로 들어서지 못하게 막는 요인은 우리 자신 앞에 계시가 미처 다가오기 전에 기독교 교리가 먼저 계시를 앞세우기 때문입니다.” “진리가 계시로 나타나는 것이지 계시가 진리를 낳는 것은 아닙니다. 진리는 내 안에 있습니다.”


“그러면 진리란 무엇인가?” 마리아는 진리를 사랑에 빗대어 설명한다. “스스로 사랑을 아는 사람 말고는 어느 누구도 사랑을 할 수가 없으며, 또 그가 자신의 사랑을 믿는 한도 내에서만 타인의 사랑을 믿는 것입니다.” 진리나 사랑은 고귀한 감정을 경험하는 것이다.


주인공은 마리아에게 자신의 사랑을 받아 달라고 애원한다. "신은 당신에게 고통스러운 삶을 주셨지만 그 고통을 당신과 나누도록 나를 당신에게 보내신 겁니다. 당신의 고통은 곧 나의 고통이어야 합니다." 죽음을 예감한 마리아는 마침내 그의 사랑을 받아들이다. `나는 당신의 것이에요. 그건 주님의 뜻입니다. 이대로의 나를 받아주세요. 살아 있는 한, 나는 당신의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 세상에는 좀 더 행복하게 태어나 함께 살면서 당신의 은혜를 갚고 싶어요.`


마리아가 죽은 후 남자는 그녀가 유품으로 남긴 옛날의 반지를 받는다. 반지를 싼 낡은 종이에는 '당신의 것은 나의 것입니다. 당신의 마리아.'라고 적혀 있었다. 


4. 사랑.

나는 사랑은 깊고 오묘하여 정말로 자신을 사랑해본 경험이 없는 사람은 진정으로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없다는 지은이 막스 뮐러의 생각에 동감한다.


자신을 사랑한다는 것은 우물 속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바라보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이 얼마나 사랑스럽고 고귀한 존재인가를 느끼는 것이다. 흐르는 강물에서는 자신의 형상을 올바로 볼 수가 없다. 사랑은 일상에서 탈출하여 신에게 가까이 다가가는 것이기 때문이다.


왜 자신을 사랑 하냐고 묻는 마리아에게 주인공 청년은 이렇게 외친다. "마리아! 어린애한테 왜 태어났느냐고 물어보십시오. 꽃한테 왜 피었느냐고, 태양에게 왜 비추느냐고 물어보십시오. 나는 당신을 사랑하게 되어있기 때문에 사랑하는 겁니다."


사랑은 “왜”냐는 물음이나 요구가 아니라 경건하게 받아들여야 할 인간의 운명이며 숙명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