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언대] 전문대학 육성이 청년실업 해결책이다
청년 고용 절벽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한 지 오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청년실업률은 2000년 8.3%에서 2015년 10.2%로 악화되고 있다. 정작 기업 입장에서는 쓸 만한 인력 구하기 어렵다고 호소한다. 교육의 현장성 부족으로 산업체의 요구와 대학에서 양성된 인력 간 질적 부조화가 발생하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에 따르면 신입사원 1인당 재교육에 걸리는 기간은 평균 18개월이고, 재교육 비용도 평균 6000만원에 달한다고 하니 국가적으로 볼 때 엄청난 낭비가 아닐 수 없다.
미국의 경우 최근 오바마 정부의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 무상교육 추진이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정책이 담고 있는 핵심적 내용은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육 품질 강화를 통해 중산층을 복원하자는 것이다. 이 커뮤니티 칼리지 제도가 바로 우리나라의 전문대학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다. 정부는 2014년부터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의 포지셔닝,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핵심 전문인력 양성 등 일정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화 사업을 필두로 전문대학 정상화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정부의 노력에 호응하여 일부 대기업 계열사는 전문대학과 인재 매칭 협약을 체결하고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전문대학 학생에게 우선 채용의 기회를 주고 있다. 충북보건과학대도 충북창조경제센터와 협력해 대기업인 LG생활건강과 취업약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전문대 현장이 전의에 불타고 있음에도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화 사업 외에 특별한 정부 재정 지원 사업이 없다. 일반대에 쏟는 막대한 지원 예산에 비해 너무 초라하다. 취업 친화적 교육과정 등 현장 중심 고등직업교육의 확대와 턱없이 부족한 전문대학 재정을 획기적으로 확충해줄 수 있는 특단의 방안 마련이 필요 한 시점이다. 전문대학과 기업 간의 상생 모드 불씨를 살릴 지원책이 제도적, 재정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지난 40여년간 540만명의 중견 기술인을 배출하며 국가 경제발전의 선도적 역할을 해온 전문대학이 살아야 중산층이 두꺼워지고 산업현장이 살아나게 된다. 우리 전문대학 교직원들은 목숨을 걸고 청년실업난과 싸울 태세가 갖추어져 있다. 우리에게 탄알을 달라.
미국의 경우 최근 오바마 정부의 커뮤니티 칼리지(community college) 무상교육 추진이 관심을 받고 있다. 이 정책이 담고 있는 핵심적 내용은 커뮤니티 칼리지의 교육 품질 강화를 통해 중산층을 복원하자는 것이다. 이 커뮤니티 칼리지 제도가 바로 우리나라의 전문대학 시스템과 매우 유사하다. 정부는 2014년부터 고등직업교육 중심기관으로의 포지셔닝, 산업체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핵심 전문인력 양성 등 일정한 성과를 창출하고 있는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화 사업을 필두로 전문대학 정상화의 불씨를 살리기 위해 안간힘을 다하고 있다. 정부의 노력에 호응하여 일부 대기업 계열사는 전문대학과 인재 매칭 협약을 체결하고 교육과정을 공동 운영하며 전문대학 학생에게 우선 채용의 기회를 주고 있다. 충북보건과학대도 충북창조경제센터와 협력해 대기업인 LG생활건강과 취업약정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전문대 현장이 전의에 불타고 있음에도 특성화 전문대학 육성화 사업 외에 특별한 정부 재정 지원 사업이 없다. 일반대에 쏟는 막대한 지원 예산에 비해 너무 초라하다. 취업 친화적 교육과정 등 현장 중심 고등직업교육의 확대와 턱없이 부족한 전문대학 재정을 획기적으로 확충해줄 수 있는 특단의 방안 마련이 필요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교육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엄마보다 아빠가 읽어줄 때… 더 똑똑해진다 (0) | 2016.03.29 |
---|---|
[태평로] 大入 정시 확대 공약이 반가운 이유 (0) | 2016.03.23 |
[사설] 한 권이라도 책 읽은 사람이 65%밖에 안 된다니 (0) | 2016.03.08 |
[발언대] 자유학기제 정신, 모든 학습에 살리자 (0) | 2016.03.07 |
"토익 475점이던 사람… 영어소설만 213시간 읽어도 180점 올라" (0) | 2016.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