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妥-온당할 타

최만섭 2021. 9. 19. 15:45

妥-온당할 타

부수

여자()가 두 손을 모으고 모로 꿇어앉은 모습을 본뜬 글자. 여자()의 심리()나 남녀() 관계(), 여성적()인 성격() 및 행위()를 나타냄. 의미() 요소()로 쓰임.

부수 '女'를 가진 한자 더보기

(여자녀, 3획)

모양자

(여자 녀(여)) + (손톱조 조)

  • 1.온당하다(--)
  • 관련어휘
  • 2.마땅하다, 타당하다(--)
  • 관련어휘
  • 3.평온하다(--), 편안하다(便--)
  • 관련어휘
  • 4.편안(便)하게 앉다
  • 관련어휘
  • 5.안치하다(--)
  • 관련어휘
  • 6.(아래로)떨어지다
  • 관련어휘

연관 단어

  • 유의어?(온당할 타)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7획

획순보기

 

폰트별 한자

  • 대법원 지정 자형
  • 한컴바탕확장
  • 유니코드
  • 함초롬바탕

 

회의문자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자는 ‘온당하다’나 ‘마땅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자는 (손톱 조)자와 (여자 여)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갑골문에 나온 자를 보면 여자의 머리채를 붙잡으려는 듯한

모습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여자를 복종시킨다는 뜻이다. 집안이 평안해지려면 여자를 복종시켜야 한다는 의미였다. 이러한 행동은 당연하다는 뜻이 확대되면서 자는 후에 ‘마땅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출처 : [한자로드()] 신동윤 | (삽화) 변아롱.박혜현

그림으로 배우는 한자 더보기

형성문자

뜻 부분과 음 부분 글자의 결합.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모아서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음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만들어진 경우이다. 이러한 원리를 '형성(形聲)'이라고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를 '형성자(形聲字)'라고 한다.

뜻을 나타내는 여자녀(女 ☞ 여자(女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爫(조 ☞ 타)로 이루어짐. 여자(女子)의 연약한 모양의 뜻에서부터 溫和(온화)한 모양, 편안한 모양의 뜻이 됨.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사성음

tuǒ (tuǒ)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영문

satisfactory, appropriate.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未妥未妥-미타미타

아무래도 미타()한 모양().

妥協-타협

두 편이 서로 좋도록 양보()하여 협의()함.

妥結-타결

두 편이 서로 좋도록 협의()ㆍ절충()하여 일을 마무름. 또는 그 일.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妥當-타당

사리()에 맞아 마땅함. ‘마땅함’으로 순화().

妥當性-타당성

  • 1. 적절()하게 들어맞는 성질().
  • 2. 어떤 판단()이 인식() 가치()를 가짐을 일컫는 말. 어떤 판단()이 곧 진실()인 경우()에...

This means that in the old days, it was reasonable to press a woman into submission with a man's hand.

妥-온당할 타 : 옛날에는 남자의 손(爫-손톱 조)으로 여자(女-여자 여)를 눌러 복종시키는 것이 온당했다는 의미이다.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矣-어조사 의  (0) 2021.09.20
威-위엄 위  (0) 2021.09.19
妨-방해할 방  (0) 2021.09.19
姦-간음할 간  (0) 2021.09.19
姪-조카 질  (0) 2021.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