妨-방해할 방
부수
女
여자(女子)가 두 손을 모으고 모로 꿇어앉은 모습을 본뜬 글자. 여자(女子)의 심리(心理)나 남녀(男女) 관계(關係), 여성적(女性的)인 성격(性格) 및 행위(行爲)를 나타냄. 의미(意味) 요소(要素)로 쓰임.
(여자녀, 3획)
모양자
女(여자 녀(여)) + 方(모 방)
총획수7획
획순보기
- 1.방해하다(妨害--), 거리끼다
- 관련어휘
- 2.순조롭지 못하게 방해되다(妨害--)
- 관련어휘
- 3.헤살(일을 짓궂게 훼방함)을 놓다
- 관련어휘
- 4.장애(障礙), 방해(妨害), 거리끼는 일
- 관련어휘
연관 단어
- 유의어害(해할 해, 어느 할, 어찌 아니할 갈)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획순보기
7획
획순보기
폰트별 한자
- 대법원 지정 자형
- 한컴바탕확장
- 유니코드
- 함초롬바탕
한자는 이용 중인 기기의 폰트에 따라서 다르게 표현될 수 있습니다. 상세보기
이체자
- 㤃
- 동자
출처: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학습 정보
한자 구성원리 출처에 따라 「자원(육서)」은 견해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두 글자의 뜻을 합쳐 새 글자를 만듦.
이미 만들어진 둘 이상의 한자를 합하여 새로운 뜻을 나타낸 원리이다. 그리고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새긴 것을 '훈(訓)'이라고 한다. 문화가 발달하고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한자의 뜻도 차차 복잡하게 그 뜻이 갈라져 나갔다.
妨자는 ‘방해하다’나 ‘순조롭지 못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妨자는 女(여자 여)자와 方(모 방)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方자는 둑을 쌓거나 밭을 가는 농기구를 그린 것이다. 고대 중국에서는 女자가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였다. 妨자도 그러한 예 중 하나로 여자(女)가 가래(方)로 둑을 쌓듯이 방해한다는 뜻이다.
출처 : [한자로드(路)] 신동윤 | (삽화) 변아롱.박혜현
뜻 부분과 음 부분 글자의 결합.
이미 만들어진 글자를 모아서 새로운 글자를 만들되, 뜻을 나타내는 부분과 음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구분되어 만들어진 경우이다. 이러한 원리를 '형성(形聲)'이라고 하고, 이렇게 만들어진 글자를 '형성자(形聲字)'라고 한다.
뜻을 나타내는 여자녀(女 ☞ 여자(女子))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동시(同時)에 구부리다의 뜻을 가진 方(방)으로 이루어짐. 여자(女子)가 일을 방해한다는 뜻.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사성음
fáng (fáng)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영문
interfere with, impede, obstruct.
출처 :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단어·성어 36
방공해사
성어
읽기4급
- 남의 일에 해살을 놓아 해(害)롭게 함.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야자무방
성어
읽기3급
- 괜찮음. 해(害)롭잖음.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야자불방
성어
읽기3급
- 괜찮음. 해(害)롭잖음.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방해
- 남의 일에 헤살을 놓아 해를 끼침.
디지털 한자사전 e-한자
무방
- 1. 괜찮음.
- 2. 해(害)롭지 않음.
- 3. 거리낄 것이 없음.
妨-방해할 방 : 여자들은 (女-여자 여) 질투가 많아서 여러가지 방법(方-모 방)으로 서로를 방해한다는 뜻이다.
This means that women are jealous and interfere with each other in many way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