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래식 따라잡기] 선배·동료 잃은 슬픔 속에 탄생… 비극적 여운 남겨요
입력 : 2021.08.23 03:30
러시아 대표 작곡가들의 '피아노 3중주'
▲ 지난 6일 평창대관령음악제에서 피아니스트 백건우(중간)가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왼쪽), 첼리스트 김두민(오른쪽)과 함께 러시아의 작곡가 차이콥스키의‘피아노 3중주’를 연주하고 있어요. 차이콥스키<①>는 이 곡을 선배 루빈시테인<②>을 추모하며 작곡했고, 후에 차이콥스키가 사망하자 라흐마니노프<③>도 피아노 3중주를 만들어 차이콥스키에게 헌정했죠. /평창대관령음악제·위키피디아
지난 6일 강원도 평창 대관령 음악제에서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피아니스트 백건우가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 첼리스트 김두민과 함께 드뷔시와 차이콥스키 피아노 3중주를 연주했습니다. 이번 대관령 음악제는 전 공연 매진을 기록할 정도로 뜨거운 호응 속에 끝났습니다. 75세인 백건우는 풍부한 경험에서 흘러나오는 노련함으로 팀을 이끌며 실내악의 정수를 보여줬습니다.
러시아 작곡가 표트르 차이콥스키(1840~1893)의 피아노 3중주(피아노 트리오 a 단조 작품 50)는 풍부한 악상과 거대한 스케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걸작입니다. 3중주(三重奏·Trio)는 악기 3대가 함께 연주하는 작품을 가리키는데, 피아노 3중주는 피아노를 기본으로 바이올린과 첼로 등이 어우러집니다. 현악 4중주는 현악기 4개가 같이 등장하는 작품이고요. 차이콥스키 말고도 다른 러시아 유명 작곡가들도 피아노 3중주를 만들었는데 다들 사연이 있습니다.
'위대한 예술가를 추모하며'
1882년 발표된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3중주에는 '위대한 예술가를 추모하며'라는 부제가 붙어 있습니다. 여기서 위대한 예술가란 차이콥스키의 절친이자 선배였던 니콜라이 루빈시테인(1835~1881)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니콜라이는 형 안톤과 함께 형제 피아니스트로도 유명합니다.
모스크바 음악원 설립자이자 피아니스트였던 루빈시테인은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 탄생 당시 그와 갈등을 빚었어요. 차이콥스키는 이 곡을 루빈시테인에게 들려줬는데, 루빈시테인은 곡이 미숙하고 난해하다며 다시 쓰라고 지적했죠. 자존심이 상한 차이콥스키는 곡을 고치지 않았고, 둘 사이는 멀어졌어요. 몇 년 후 루빈시테인이 자기 의견을 철회하고 곡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둘은 화해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1881년 3월 루빈시테인이 46세 젊은 나이에 프랑스 파리에서 결핵으로 세상을 떠나자 충격을 받은 차이콥스키는 그해 11월 이탈리아 로마로 여행을 떠났고, 이듬해 2월 그곳에서 선배의 죽음을 애도하는 피아노 3중주를 완성합니다.
이 곡은 피아니스트였던 루빈시테인을 기리기 위해 작곡한 만큼, 피아노 기교가 매우 화려하고, 연주 시간이 50분이 넘어요. 두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첼로의 슬픈 선율로 시작하는 1악장은 피아노·바이올린까지 세 악기가 연주하지만 마치 오케스트라 음향 같은 웅장함이 느껴지고 전반적으로 비장한 기운이 넘쳐 흐릅니다. 2악장은 규모가 큰 변주곡으로, 차이콥스키 특유의 낭만적이고 달콤한 서정성이 돋보입니다. 마지막은 1악장에서 나왔던 첫 번째 선율을 세 악기가 포르티시모(매우 강하게)로 연주하면서 클라이맥스를 형성한 뒤 장송(葬送) 행진곡풍 리듬이 비극적 여운을 남기며 조용히 끝을 맺습니다.
라흐마니노프와 차이콥스키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3중주와 비슷한 창작 동기와 구성을 지닌 곡이 바로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1873~1943)의 피아노 3중주 2번 d 단조 작품 9입니다. 러시아 태생으로 미국에서 작곡가와 피아니스트로 활동한 라흐마니노프는 낭만적 선율이 아름다운 피아노 협주곡과 독주곡들로 유명하죠.
그는 스무 살 때인 1893년 10월 초, 대선배 차이콥스키를 만나 작곡에 대한 조언을 듣고 자신의 모스크바 음악원 졸업 작품인 오페라 '알레코'에 대한 격려의 말도 들었어요. 그런데 그로부터 불과 한 달도 채 지나지 않은 11월 6일 차이콥스키가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라흐마니노프는 상심했습니다. 그는 막 작곡을 시작했던 자신의 두 번째 피아노 3중주를 차이콥스키에게 바치기로 결심했어요. 그리고 작품 분위기와 구성을 차이콥스키가 루빈시테인을 추모하기 위해 만든 피아노 3중주곡과 비슷하게 맞추었죠. 모데라토(보통의 빠르기)로 연주되는 1악장은 정열적이면서도 깊은 슬픔에 잠겨 있고, 변주곡으로 구성된 2악장은 피아노가 주도적으로 활약하는데 조(調)와 템포 변화가 흥미롭습니다. 마지막 3악장은 매우 격정적인 분위기로 시작해 스케일을 키우고 끝부분에선 차이콥스키의 작품처럼 첫머리의 멜로디가 다시 등장합니다. 라흐마니노프는 두 곡의 피아노 3중주를 남겼는데, 둘 다 '비가(悲歌)풍의 트리오'(Trio Elegiaque)라는 이름이 붙어있어요. 이 중 두 번째 3중주가 바로 차이콥스키를 추모하며 만든 곡입니다.
솔레르친스키 추모한 쇼스타코비치
20세기 러시아의 저명한 작곡가였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1975)의 피아노 3중주 2번 e단조 작품 67 역시 친구의 죽음에 깊은 상처를 입은 작곡가의 마음이 담겨 있어요. 쇼스타코비치의 절친이었던 이반 솔레르친스키는 탁월한 음악학자이자 레닌그라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예술 감독이었어요. 그는 2차 세계대전 종전을 1년 앞둔 1944년 2월 심장마비로 갑자기 세상을 떠났어요. 비보를 들은 쇼스타코비치는 이미 작곡을 시작한 자신의 두 번째 피아노 3중주를 솔레르친스키에게 바칩니다.
위대한 음악 작품 중엔 기쁘고 행복한 감정 속에 탄생한 것도 있지만 러시아 작곡가들이 남긴 피아노 3중주처럼 슬픔 속에 탄생한 곡들도 있답니다. 이 곡들에 스며 있는 추모의 감정을 되새기며 감상해보길 바랍니다.
[도쿄올림픽서 등장한 차이콥스키]
최근 막을 내린 도쿄올림픽에서 러시아 선수들이 금메달을 따면 국가(國歌) 대신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이 울려 퍼졌어요. 러시아는 자국 선수들 대규모 도핑 스캔들로 국가 차원의 올림픽 출전권을 박탈당해 선수들은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ROC)라는 이름으로 출전해야 했죠. 이 때문에 시상식에서도 국가를 틀 수 없었습니다. 결국 국가 대신 가장 잘 알려진 러시아 음악인 차이콥스키의 피아노 협주곡 1번을 1분 30초 분량으로 편곡해 틀었답니다. 루빈시테인이 처음에 평가절하했던 바로 그 곡입니다.
김주영 피아니스트 기획·구성=김연주 기자
'예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비’ 같았던 화가[이은화의 미술시간]〈179〉 (0) | 2021.09.09 |
---|---|
[박종호의 문화一流] 칸딘스키는 떠났지만… 여인은 나치의 마수로부터 연인의 그림을 지켰다 (0) | 2021.09.06 |
[유현준의 도시 이야기] 시민에게 공개된 ‘이건희 컬렉션’ 세계적 건축에 담자 (0) | 2021.08.13 |
[박종호의 문화一流] 아내의 전 남편 모차르트를 위해 생애를 바친 남자 (0) | 2021.08.09 |
[전시회에 갔어요] 냄새 맡고, 만지고 … 오감으로 음악·미술 감상하죠 (0) | 2021.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