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행을 사랑한 시인 백석, 그가 못다한 삶 그리고 싶었죠
조선일보
입력 2020.07.01 05:00
소설가 김연수
북한에서 시인 백석(1912~1996)의 삶은 실패에 가까웠다. 누구도 그를 시인으로 기억하지 않았고, 40대 후반에는 당이 원하는 시를 쓰지 않는다는 이유로 양강도 삼수군 오지로 쫓겨난다. 백석이 추방됐던 나이에 접어든 소설가 김연수(50)는 선택의 갈림길에 섰던 시인의 고뇌를 떠올렸다. 30일 만난 그는 "어렸을 땐 이렇게 아름다운 시를 쓴 사람이 북한 전체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지냈을까 막연한 궁금증을 품었다"면서 "40대가 되고 보니 이 나이의 가장이 실패와 포기를 선택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였을까 다시 생각해보게 됐다"고 했다.
이미지 크게보기신작 장편을 출간한 김연수는 "삶을 복원한 평전이 아니니 오해하지 말아달라"면서 "백석이 살아보지 못한 삶과 죽는 순간까지 마음속에서 놓지 않았던 소망에 대한 이야기"라고 했다. /김연정 객원기자
8년 만의 신작 장편소설 '일곱 해의 마지막'은 시인 백석을 모델로 한 '백기행'(백석의 본명)이 주인공이다. 시인 백석은 조선일보 기자로 근무하며 첫 시집 '사슴'을 냈고, 분단 후엔 월북 시인으로 분류돼 해금 조치 이후에야 그의 시를 접할 수 있었다. 소설은 분단 이후 북한에서 러시아 문학 번역으로 겨우 생계를 이어가던 '기행'이 다시 시를 쓰기로 마음먹은 때부터 7년의 삶을 다룬다. 김연수는 "삶을 복원하는 평전이 아니니 오해하지 말아 달라"면서 "백석이 살아보지 못한 삶과 죽는 순간까지 마음속에서 놓지 않았던 소망에 대한 이야기"라고 했다.
다시 펜을 들었지만, 이념과 체제 선전을 위한 사회주의 공화국의 시에 기행이 사랑했던 음식 이름이나 옛 지명들, 사투리들은 들어갈 틈이 없었다. "낡은 미학적 잔재" "부르주아적 개인 취미"라는 비난을 받을 뿐이었다. 김연수는 소설 속에서 그가 사랑했던 "가무락조개, 나줏손, 귀신불" 같은 단어들을 잔뜩 불러온다. "백석 초기 시를 보면 언어를 너무나 잘 다뤄요. 일부러 사투리를 가져오고 잘 모르는 조개들도 이름을 물어봐서 하나하나 다르게 써요. 이 조개와 다른 저 조개의 이름을 불러주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문학이거든요."
당이 원하는 시와 자신이 원하는 시 사이에서 시인의 고뇌와 외로움은 깊어졌다. 백석은 결국 1962년 '나루터'라는 동시를 마지막으로 절필했지만, 해금 조치 후 그는 우리나라 시인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으로 꼽혀왔다. 김연수는 "백석이 북한 사회에서 조금이라도 성공했다면 지금처럼 사랑받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실패와 불행은 시인의 숙명인지도 모르겠다"고 했다. "그렇게 보면 문학은 자기계발서와 정반대 편에 있는 장르예요. 자기계발서가 행복이란 무엇인지 찾는다면 문학은 '불행이란 무엇인가'로 시작하죠."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7/01/2020070100134.html
'글로벌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모퉁이 돌고 나니] 만남과 이별 그리고 영원한 흔적 (0) | 2020.11.13 |
---|---|
[태평로] 그들은 마초 집단의 '꽃'이 되려는가 (0) | 2020.07.16 |
'바람이 인다, 어쨌든 살아야 한다'… 익숙한데 색다르죠? (0) | 2020.06.04 |
[이런생각 저런생각] 코로나로 많아진 가족과의 시간, 왜 행복하지 않을까 (0) | 2020.05.21 |
[東語西話] 情은 도화담의 물보다 깊어라 (0) | 2019.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