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은 선생님
[이주은의 미술관에 갔어요] 워홀, 허스트, 백남준… 현대 미술이 바라본 '숲'은 다르죠
['영원한 숲' 展]
앤디 워홀, 꽃으로 풍요로운 행복을… 데이미언 허스트는 나비 날갯짓으로
그리스도교의 부활과 생명 그리며 이상적인 세계인 '낙원'으로 묘사
백남준은 욕심 없는 우주로 비유, 허넌 배스는 '두려움의 공간' 표현
그러나 숲은 어둡고 두려운 곳만은 아니에요. '백설공주'의 주인공은 마음씨 나쁜 왕비의 계략으로 숲에 혼자 죽도록 남겨져요. 하지만 숲속에는 일곱 난쟁이들처럼 마음씨 고운 사람들이 살고 있었지요. 숲이 많은 북유럽 사람들은 나무의 요정들이 어두운 기운으로부터 숲을 지킨다고 믿곤 해요. 봄에는 마치 마법의 저주가 풀리기라도 한 듯 꽁꽁 얼어 있던 모든 것이 되살아나는 기적을 볼 수 있지요. 인천 영종도에 있는 파라다이스 아트 스페이스에서 숲과 관련된 여러 겹의 신비한 이야기들을 세계적인 현대 미술가 9명의 작품으로 펼쳐 보입니다. 이 '영원한 숲' 전시는 5월 10일까지 진행됩니다.
작품 1은 미국의 허넌 배스(42)가 그린 숲의 모습인데요. 여기서 숲은 집과는 대립하는 개념이에요. 집에서는 대부분의 일들이 예측 가능하고, 그래서 누구나 집에 있으면 편안하고 안전하다고 느끼지요. 하지만 숲은 조금씩 걸어 들어갈수록 점점 더 깊어지면서 내가 어디쯤 와 있는지 알 수 없게 돼요. 숲은 긴장해야 하는 곳이에요. 하지만 상상할 수 있는 온갖 가능성이 잠복한 '다른 세계'이기도 해요. 이번 전시의 제목인 '영원한 숲'은 아프거나 괴롭지 않고 영원히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낙원을 뜻해요. 기독교의 에덴동산이나 불교의 정토(淨土·부처가 사는 깨끗한 세상)처럼 현실의 걱정과 불안이 사라진 이상적인 세계를 말하지요.
- ▲ ①허넌 배스, 〈천천히 펼쳐지는 어느 불명확한 이야기〉, 2011, 리넨에 아크릴물감, 에어브러시, 213 x 185cm. ②우고 론디노네, 〈힘겨운 날들은 끝났다〉, 1998, 네온, 아크릴 유리, 알루미늄, 330 x 770 x 10cm. ③앤디 워홀, 〈꽃〉, edition of 250, 실크스크린, 각 90 x 90cm. 총 10점. ④데이미언 허스트, 〈득의〉, edition of 50, 2017, 실크스크린에 반짝이, 120 x 120cm. ⑤백남준, 〈무중력 공간〉, 1990, 복합재료, 180 x 170 x 50cm. /파라다이스 아트 스페이스
작품 2를 보세요. 낙원으로 향하는 무지개 입구인가 봐요. 색색으로 이루어진 영어 문장은 "힘겨운 날들은 끝났다(Dog days are over)"라고 알려주네요. 비가 갠 하늘에 무지개가 떠 있는 모습을 보면 현실이 아니라 꿈을 꾸고 있다는 느낌이 들지요. 이 작품을 만든 스위스 작가 우고 론디노네(56)는 커다란 입체 작품에 무지개색을 자주 입힙니다. 관람자들이 작품을 보며 마치 낙원에 온 듯 행복한 꿈을 꾸기를 바라는 거죠.
작품 3 역시 색색으로 화려한데, 미국 팝아트의 선구자 앤디 워홀(1928~1987)의 꽃 그림입니다. 워홀은 자신의 화실을 '공장(factory)'이라고 이름 붙여놓았어요. 공장에서 찍어낸 물건은 많을수록 좋다고 하죠. 꽃이라면 어떨까요? 워홀은 '많을수록 좋다'는 대량생산 사회의 생각을 공산품이 아닌 꽃에도 적용했어요. 그는 자신의 '공장'에서 꽃 그림을 색만 바꿔 가며 여러 점 판화로 찍었습니다. 비록 그림이라 향기는 없지만, 그리고 진짜 꽃이 아닌 그저 이미지일 뿐이라 허무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꽃들이 많아서 좋지 않으냐고 묻는 작품이에요. 꽃의 이름과 향기, 그리고 존재 의미를 일일이 따지기보다 일단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야 낙원이라고 주장하는 듯해요.
이와는 대조적으로 생명의 죽음과 영혼에 대해 생각하게 해주는 작가가 있습니다. 영국의 데이미언 허스트(55)예요. 작품 4를 보세요. 둥근 원 안에 가득 찬 푸른 나비들이 만화경처럼 보입니다. 나비라는 곤충은 보기 흉한 번데기에 갇혀 있다가 마침내 허물을 벗고는 찬란하게 빛나는 날개를 달게 되지요. 그래서 나비에는 다시 태어난다는 종교적인 의미가 덧붙어 있어요. 그리스 신화에서 나비는 영혼을 뜻하고, 그리스도교에서는 죽은 이의 부활을 상징한답니다.
작품 5는 한국이 낳은 세계적인 비디오 미술가 백남준(1932~2006)이 표현한 다른 세계예요. 오래된 텔레비전과 가구받침대 세트 네 대를 붙여 만든 것으로, 제목이 '무중력 공간'입니다. 여기에서 백남준은 중력이 작용하지 않는 지구 바깥의 우주에 도달하는 방법을 두 가지 제시하고 있어요. 첫째 는 기술의 발달로 우주선을 타고 가는 것이겠죠. 백남준의 여러 작품에서 기술을 대표하는 물건은 텔레비전이라고 할 수 있어요. 이 작품에서도 텔레비전은 기술을 암시합니다. 둘째는 종교적인 방법인데요. 작품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나무로 된 받침대에 원과 사각형을 겹겹이 반복한 만다라가 그려져 있어요. 만다라는 티베트 불교에서 유래한 개념으로 우주의 힘들이 만나는 곳입니다. 불교적 깨달음의 경지를 그림으로 표현한 것이 만다라라고 생각하면 돼요. 우리를 계속 끌어당기는 욕심에서 벗어나는 것이 무중력 상태의 우주에 도달하는 길이라는 의미겠죠.
- 이주은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 기획·구성=양승주 기자
'종교-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해현의 문학산책] 인류는 '이타주의'를 다시 성찰하기 시작했다 (0) | 2020.04.16 |
---|---|
"변하면 안 되는 것 두 가지, 기자 정신과 글쓰기" (0) | 2020.04.01 |
[예쁜 말 바른 말] [133] '어이없다'와 '멋쩍다' (0) | 2020.03.26 |
[인생(人生)의 맛] (0) | 2020.03.21 |
[무대 위 인문학] 말의 '빠른 걸음'이라는 뜻… 90년간 이어온 끈질긴 생명력 (0) | 2020.03.20 |
100자평
0100자평 접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