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족 노조

[사설] 155만 일용직 밥줄 막는 '억대 연봉' '甲 중의 甲' 크레인 노조

최만섭 2019. 6. 6. 11:37

[사설] 155만 일용직 밥줄 막는 '억대 연봉' '甲 중의 甲' 크레인 노조

조선일보 입력 2019.06.06 03:19

소형 원격조종 타워크레인 금지를 요구하며 전국 건설 현장을 마비시켰던 민노총·한노총 소속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불법 점거 농성 파업이 이틀 만에 끝났다. 국토부가 제도 개선 방안을 마련하자고 달래자 노조가 수용했다. 파업이 조기 종료된 건 다행이지만 정부가 귀족 노조의 불법 파업을 묵인하고 무리한 요구를 수용하는 나쁜 선례를 또 만들었다. 이들의 파업 탓에 하루 벌어 하루 먹고사는 철근공, 전기공, 목공 등 155만 건설 일용직 근로자의 이틀치 벌이가 날아갔다.

우리 사회 최약자층인 건설 일용직의 밥줄을 막은 타워크레인 기사들은 건설 현장에서 '갑(甲) 중의 갑'으로 군림해왔다. 자신들의 일 처리가 건설 공사 속도를 좌우한다는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마음껏 횡포를 부려왔다. 크레인 기사들은 크레인 임대 회사에서 받는 월급 300만원가량 외에 기초·골조 공사를 담당하는 하도급 업체에서 '월례비'라고 하는 뒷돈을 받고 있다. 이 돈이 매달 300만~500만원 정도로 월급보다 더 많다. 월례비 외에 전기업체 등으로부터 자재를 옮겨줄 때마다 한 번에 5만~10만원의 뒷돈도 챙긴다고 한다. 뒷돈을 주는 하도급 업체의 76%는 "보복이 무서워" 월례비를 준다고 한다. 조폭들의 '삥 뜯기'와 매한가지다. 이런 뒷돈까지 합치면 이들의 월소득은 1000만원 가까이 된다고 해서 '월천(月千) 기사'로 부르기도 한다. 배부른 억대 연봉자들의 '밥그릇 지키기' 파업으로 일용직 근로자들 벌이가 끊어지고 건설 업체와 입주자들에게 큰 피해를 안겼다.

이들이 금지를 요구한 소형 타워크레인의 확산은 자초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3년 전 민노총 건설노조가 임금 19.8% 인상을 요구하며 한 달간 총파업을 벌여 건설 업계에 1조원대 피해를 안기자 이들의 횡포에 질린 건설사와 크레인 임대 사업자들이 자구책 차원에서 양대 노총 소속이 아닌 소형 크레인 기사 활용을 늘렸다. 2015년 271대이던 소형 무인 타워크레인이 3년 새 1800대로 늘었다. 기존 타워크레인 기사들의 과도한 이익 챙기기에 따른 자업자득이었다. 그러자 이들은 소형 크레인을 금지하라며 대체 인력 투입도 못하게 크레인을 점거한 채 불법 파업에 나서 건설 현장을 멈춰 세웠다. 노동 귀족들에겐 소형 크레인 기사 8200여 명과 일용직 근로자의 생계는 안중에도 없다.

크레인 기사들은 소형 무인 크레인의 안전 문제를 지적하지만 근거가 없는 주장이다. 일반 타워크레인과 소형 타워크레인의 사망 사고 비율은 7대3 정도로 운영 중인 크레인 수 비율과 비슷하다. 작년엔 일반이든 소형이든 타워크레인으로 인한 사망 사고가 한 건
도 없었다.

건설 현장의 무인화는 세계적 추세다. 선진국에선 공사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로봇·인공지능·사물인터넷 같은 기술을 적극 도입하고 있다. 원격조종이 가능한 소형 크레인도 이런 기술 흐름에 부합하는 방식이다. 한국에선 갑질 마인드로 무장한 기득권 귀족 노조가 힘으로 이를 막고 정부가 영합하고 있다. 산업계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이런 일이 일어나고 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6/05/201906050329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