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7.08.25 03:02
[테이트 명작전 - NUDE] [3] 인간 본질 파헤친 '문제적 누드'
![대리석처럼 부드럽고 흰 피부를 지닌 고전주의 누드와 달리 거칠고 얼룩덜룩한 붓질로 몸을 표현한 루치안 프로이트의 ‘헝겊 뭉치 옆에 선 여인’. 1988~1989년 사이 완성한 작품이다. 168.9×138.4㎝, 캔버스에 유채. 루치안 프로이트는 정신분석학 창시자인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손자이기도 하다.](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8/25/2017082500125_0.jpg)
당대 '생존하는 가장 위대한 사실주의 화가'로 불렸던 루치안 프로이트(1922 ~2011) 누드는 대표적이다. '베네피츠 슈퍼바이저 슬리핑'은 거구의 여성이 소파에 누워 잠든 모습을 그린 작품으로, 2008년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생존 작가 최고 경매가인 353억원에 낙찰돼 화제를 모았다. '테이트 명작전'에선 그의 또 다른 걸작 '헝겊 뭉치 옆에 선 여인'을 볼 수 있다. 대리석 피부를 지닌 고전주의 누드와는 딴판으로 늘어진 군살, 얼룩덜룩한 피부의 여인을 거칠고 두툼한 질감으로 표현했다. 정신분석학자 지크문트 프로이트의 손자이기도 한 그는 "육체를 통해 삶의 진실이 드러난다"고 믿었다.
![트레이시 에민의 ‘너에게 마지막으로 했던 말은 날 버리고 떠나지 마였다Ⅱ’, 2000년, 80.5×109.5㎝, 종이에 디지털프린트](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8/25/2017082500125_1.jpg)
트레이시 에민(54)의 사진 '너에게 마지막으로 했던 말은 날 버리고 떠나지 마였다'에는 초라한 알몸의 처녀가 등장한다. 헛간 구석에 등 돌려 앉은 여자는 작가 자신이다. 어린 시절 성적 학대, 우울증, 자살 시도로 이어진 트라우마를 예술로 치유해온 에민의 작품들은 섬뜩하면서도 사람들의 상처를 어루만지는 묘한 힘을 지녔다.
![전쟁의 음울한 공포를 누드로 묘사한 폴 델보의 '잠자는 비너스', 1944년, 172.7×199.1㎝, 캔버스에 유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8/25/2017082500125_2.jpg)
폴 델보(1897~1994)의 '잠자는 비너스'는 시대의 공포를 느끼게 하는 누드다. 관능적 자태로 누워 있는 비너스 앞에 해골이 서 있다. 2차 대전 나치에 맞선 벨기에의 음울한 상황을 극적으로 드러낸 작품. 그뤼베(1912~1948)의 '욥' 역시 나치 점령하의 프랑스를 깡마른 사내의 몰골로 은유한 사실주의 작품이다. 쭈글쭈글 늙어가는 남자의 몸을 클로즈업해 촬영한 코플란스(1920~2003)의 '자화상'도 인상깊다. 몸에 기록된 삶의 기억을 되짚어가는 초로의 남성, 그 쓸쓸함이 느껴져 가슴 뭉클하다. 피카소가 87세에 그린 '목걸이를 한 여성 누드'와 성적(性的) 관음증을 묘사한 판화도 놓쳐선 안 된다. 죽음이 다가옴을 의식한 거장의 성(性)에 대한 집착과 그 절망감을 목격할 수 있는 진귀한 작품이다.
![(왼쪽 사진)전쟁의 고통을 성경 속 욥의 고난에 빗댄 프랑시스 그뤼베의 ‘욥’, 1944년, 161.9×129.9㎝, 캔버스에 유채. (오른쪽 사진)말년에도 예술적 영감이 넘쳐 흘렀던 파블로 피카소가 87세에 그린 ‘목걸이를 한 여성 누드’, 1968년, 113.5×161.7㎝, 캔버스에 유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8/25/2017082500125_3.jpg)
테이트 명작전이 열리는 소마미술관은 오는 28일부터 10월 30일까지 매주 월요일마다 122점 명작들 앞에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월요 포토데이'와 입장료 할인 이벤트를 실시한다.
![(왼쪽 사진)무기력한 상황에 처한 여인을 표현한 신디 셔먼의 ‘무제 #97’, 1982년, 114.3×76.2㎝, 크로모제닉 컬러 프린트. (오른쪽 사진)여인의 근육과 갈라진 빵 껍질을 대비시켜 실존의 문제를 다룬 장 엘리옹의 ‘빵이 있는 누드’, 1952년, 130.1×97㎝, 캔버스에 유채.](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8/25/2017082500125_4.jpg)
![(왼쪽 사진)모델을 아름답게 과장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렸던 앨리스 닐의 ‘키티 피어슨’, 1973년, 152.2×76.5㎝, 캔버스에 유채. (오른쪽 사진)리네케 딕스트라의 ‘줄리, 헤이그 네덜란드, 1994년 2월29일’, 1994년, 117×94.5㎝, 종이에 사진. 태어난 지 1시간 된 아기를 안고 있는 엄마의 실제 모습이다.](http://image.chosun.com/sitedata/image/201708/25/2017082500125_5.jpg)
영국 국립미술관 테이트 명작전-누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