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제도

"우리 민족은 한반도 석회암 동굴에서 시작됐다"

최만섭 2017. 2. 6. 09:14

"우리 민족은 한반도 석회암 동굴에서 시작됐다"

입력 : 2017.02.06 03:06

[신용하 교수 '한국민족의…' 출간]

'북방에서 이주' 기존 학설 부인
"한·맥·예 3부족이 고조선 건국, 신라·고려 통일로 전근대민족
근대국가 좌절은 고종 무능 때문"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 연구' 책 사진
"10대 때 동족상잔의 6·25전쟁을 겪으면서 민족 문제에 처음 관심을 가졌고, 대학에 들어가면서 궁금증을 풀기 위해 노력했다. 이제 60년 만에 우리 민족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총정리하게 돼 감개가 무량하다."

한국사회사 연구의 대가인 신용하(80) 서울대 사회학과 명예교수가 '한국민족의 기원과 형성 연구'(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를 출간했다. 신 교수가 환갑 이후 집중적으로 파고들어 온 우리 민족의 뿌리에 관한 자신의 연구를 집대성했고, 한국 민족이 5000년 동안 걸어온 이행·전화·발전 과정을 사회학적 관점에서 해석했다.

우리 민족의 기원에 대해서는 북쪽에서 한반도로 들어왔다는 학설이 지배적이다. 시원(始原) 지역은 바이칼·캅카스·알타이·몽골·시베리아·중국 북부 등 견해가 다양하지만 유라시아 대륙에서 출발했다는 점은 공통이다. 하지만 신 교수는 "한국 민족의 조상들이 '빈 공간'이었던 한반도에 들어왔다는 기존 학설은 역사적 사실과 일치하지 않는다"며 "우리 민족의 태동지는 신의주 이남 한반도였다"고 주장한다.

신용하 교수는 지리·기후적 환경이 역사에 미친 영향을 중시한 프랑스 아날학파의 연구 방법론을 빌려왔다. 인류의 발생지인 동아프리카에서 출발해 유라시아 대륙에 들어온 구석기인은 약 5만년 전 최후의 빙기(冰期)가 닥치자 동토(凍土)가 되지 않은 북위 40도 이하 동굴에 들어간 소수만 살아남았다. 동아시아에서 석회암 동굴이 가장 많은 한반도에 집결한 사람들은 약 1만2000년 전 기후가 따뜻해지자 동굴에서 나와 신석기 시대를 열었다. 이들은 식량을 찾아 흩어지면서 한반도에 남은 새 토템의 한족, 요서 지방으로 진출한 곰 토템의 맥족, 요동 지방에 정착한 범 토템의 예족으로 크게 삼분됐다.

신용하 교수는 “어느 나라든 역사는 기원부터 시작하는데 한국 역사는 처음이 잘리고 삼한·삼국시대에서 시작한다”며 “우리 민족의 뿌리를 문헌 사료를 넘어서 학제적인 자료를 이용해 과학적으로 밝히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신용하 교수는 “어느 나라든 역사는 기원부터 시작하는데 한국 역사는 처음이 잘리고 삼한·삼국시대에서 시작한다”며 “우리 민족의 뿌리를 문헌 사료를 넘어서 학제적인 자료를 이용해 과학적으로 밝히려고 노력했다”고 말했다. /박상훈 기자

약 5000년 전 요서 지역의 강수량이 급감하자 맥족은 다시 한반도 북부로 이동해 한족과 혼인동맹을 맺었고, 예족은 자치권을 가진 후국(侯國)으로 이 동맹에 참여했다. 한족 군장(君長)과 맥족 여족장 사이에서 태어난 단군이 아사달에 도읍을 정하고 동아시아 최초의 고대국가인 고조선을 세웠다. 한국 민족의 '원(原)민족'이 한·맥·예 3부족이 결합한 것이라는 학설 또한 종래의 학설들과 다른 것이다. 신 교수는 "전근대에는 중국인, 근대에는 일본인이 우리 민족의 기원에 대한 틀을 세워 왜곡이 많았기 때문에 기준틀을 완전히 바꾸어야 한다"고 말했다.

고조선이 2000년 이상 장기 지속되면서 공동체로서 결합이 공고해진 한국 원민족은 고조선이 멸망하자 마한·진한·변한·부여·옥저·고구려·백제·신라·가라·탐라 등 열국(列國) 시대를 열었고 이들은 삼국(三國)으로 정리돼 통일을 위한 주도권 경쟁을 벌였다. 한국 '전근대민족'의 형성 시기에 대해서는 신라의 삼국 통일로 보는 견해와 고려의 후삼국 통일로 보는 견해로 나뉜다. 신 교수는 "신라의 통일로 전근대민족의 핵심인 국민·영토·언어·문화의 공동성은 사실상 완성됐고, 고려의 통일과 발해 유민 흡수로 최종 완결됐다"며 '2단계 형성론'을 폈다.

한국 전근대민족은 다시 1000년 넘게 이어지면서 공동성이 강화되다가 19세기 들어 근대민족으로 전화·발전한다. 그 핵심은 민족 구성원을 차별하는 신분제의 타파와 근대 민족 의식의 발흥이다. 동학의 평등사상 등에 고무된 농민층의 아래부터의 운동과 실학파를 계승한 개화파 관료들의 위로부터의 개혁이 결합돼 1894년 신분제가 폐지됐다. 또 독립협회와 독립신문 등의 활동으로 자주독립·자유민권·자강개혁 사상이 고취되면서 근대시민적 민족주의도 고양된다.

그럼에도 한국 근대민족이 근대국가 건설에 좌절한 이유로 신용하 교수는 당시 집권세력의 무능을 지적한다. 고종과 수구파 고관들이 기득권을 잃지 않으려고 과감한 체제 개혁을 회피하고 백성의 정치적 발 언도 봉쇄했기 때문에 근대민족과 근대국가 사이에 괴리가 발생했다는 것이다. 신 교수는 "고종은 전제군주권을 강화하면서 국방은 러시아에 의존하고 왕실 수입에만 관심을 가졌기 때문에 일제의 침략에 맥없이 무너질 수밖에 없었다"며 "결국 한국 근대민족은 일제 치하에서 '민족해방적 민족주의'를 발전시켰고 1945년 8월 광복을 쟁취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06/201702060009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