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40%, 극도의 스트레스 경험… 삶의 의지 떨어져 치료 소홀히 해
美, 30년 전부터 암 정신재활 강조… 상담·약물·인지행동 치료가 도움

◇사회적 지지 부족… 치료에 악영향
암환자를 대상으로 한 정신재활은 환자들의 삶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암 치료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 암환자들이 겪는 불안이나 불면 등은 환자들의 삶에 대한 의지를 떨어뜨리고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윤세창 교수는 "암환자 20~40% 정도는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심각한 스트레스를 겪기 때문에, 가족들의 지지뿐만 아니라 정신과 전문의를 통한 체계적인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2012년 정신종양학회지에 게재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암환자 2000명을 대상으로 가족과 전문가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대로 받지 못한 환자는 사회적 지지를 받은 암환자보다 우울 지수가 33% 더 높고, 피로감과 수면장애 등도 더 많이 호소했다.
◇문진(問診) 통해 정신과 치료 여부 판별

◇암환자 고통 나누는 모임도 도움
암환자의 정신재활 치료법은 크게 ▲상담 ▲약물 치료 ▲인지행동 치료로 구분된다. 환자가 현재 앓고 있는 암의 종류나 병기, 암 치료법에 따라 치료법이 달라진다. 예를 들어 같은 말기암 환자라도 예상 생존 기간이나 현재 사용하는 치료 약물에 따라 약물 치료 여부와 치료제 종류 등이 달라지는 것이다. 약물은 항우울제, 항불안제, 수면제 등을 쓴다. 암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약물의 효능을 떨어뜨리거나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도록 세심한 처방이 필요하다.
만일 환자가 '디스트레스 온도계' 기준 4점 미만으로 경증이라면 전문의의 상담을 통한 정서적 지지만으로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서울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태석 교수는 "암 치료를 받은 환자들이 서로 정신적 고통을 공유하고 서로에게 사회적 지지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모임을 운영하기도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