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속의 한국사] 뜻 맞아 뭉쳤는데… 관직 놓고 동·서로 갈라서다
입력 : 2016.01.25 03:58 | 수정 : 2016.01.25 03:59
[붕당정치(朋黨政治)]
선조 때 정권 장악한 사림파… 김효원 지지파 동인, 심의겸의 서인
두 파로 갈려 이조전랑직 놓고 대립, 붕당정치로 서로 견제·협력 효과도
4월에 벌어질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여야에서 정치인들의 대립이 이어지고 있어요. 특히 야당에선 새정치민주연합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으로 나누어지면서 어떤 당이 세력을 많이 끌어모을지 화제가 되고 있어요. 당(黨)이란 정치적 주의나 주장이 같은 사람들이 정권을 잡고자 조직한 단체를 말해요. 오늘날 여러 정당이 서로 비판하고 견제하듯, 조선시대에도 붕당(朋黨·학맥과 사상, 정치적 견해차에 따라 뜻이 맞는 사람들의 모임)이 있었어요. 선조 임금 시절, 사림파(士林派)가 '어떤 사건'으로 동인·서인 두 갈래로 갈라져 다투면서 붕당정치가 시작됐답니다. 과연 어떤 일이 있었을까요?
◇왕에게 선택받은 지방 선비들, 사림파
사림파가 어떤 사람들인지 설명하려면 그 전까지 관직을 독차지하던 훈구파(勳舊派)에 대한 이야기를 빼놓을 수가 없어요. 훈구파는 왕을 도와주고 그 대가로 높은 벼슬에 올랐던 신하들인 공신을 일컫는 말이에요. 태조 이성계가 조선을 세우는 데 공을 세운 개국 공신과, 세조가 조카 단종의 자리를 빼앗기 위해 일으킨 계유정난에서 공을 세운 신하들을 통틀어 말하지요. 세조·예종 다음으로 성종이 즉위했을 땐, 주로 세조 때 공을 세운 훈구파의 힘이 너무 셌다고 해요.
- ▲ 그림=이혁
그 뒤 약 100년이 지났을 때 사림파·훈구파 둘 중 어느 편이 살아남았을까요? 지방 서원에서 인재를 차근차근 축적해 한양에서 아무리 화를 많이 입어도 즉각 부활하던 사림파의 승리였지요. 훈구파를 밀어낸 사림파는 선조 임금 때 크게 세력을 키우는 시기를 맞아요.
◇사림파가 두 편으로 나뉘다
선조는 대학자인 이황과 이이의 학문과 인품을 존경하여 스승처럼 여겼던 왕이에요. 그래서 왕위에 오르자 이황과 이이처럼 성리학을 열심히 공부한 사림파를 곁에 두고자 했지요. 그런데 사림파 출신 관리들이 다시 두 편으로 나뉘게 돼요. 한편은 김효원이란 새로운 인물을 중심으로 우르르, 다른 한편은 심의겸이란 사림파의 오랜 거장을 중심으로 우르르 모여들었지요. 분열은 이조전랑이라는 중요한 관직 때문이었어요. 이조전랑은 이조에 속한 벼슬로, 비록 그 직위는 낮지만 엄청난 요직이었거든요. 관리를 뽑거나, 그만두게 하거나, 맡은 일을 얼마나 잘하는지를 평가하는 일을 맡았고, 게다가 이조전랑을 거친 뒤에는 정승으로 승진하기도 쉬웠대요.
1572년 이조전랑 자리에 김효원이 추천되었는데, 당시 대선비로 평판이 좋던 심의겸이 이를 반대하고 나섰어요. 심의겸은 '김효원이 훈구파이자 간신이었던 윤원형에게 은혜를 입은 적이 있다'고 했어요. 결국 선조는 심의겸의 상소를 받아들여 김효원을 다른 자리로 보냈고, 김효원은 2년 뒤에나 이조전랑 자리에 오르게 돼요. 김효원은 심의겸에게 독을 품으며 차근차근 세력을 키웠어요. 1575년 김효원이 이조전랑 자리를 떠난 뒤, 이번에는 심의겸의 아우인 심충겸이 이조전랑 후보로 추천되었어요. 그러자 이번에는 김효원이 '왕비 집안에서 중요한 벼슬을 하면 권력이 집중된다'며 반대하고 나섰어요. 당시 왕비가 심의겸·심충겸의 집안 출신이었거든요. 그때부터 김효원과 심의겸을 따르는 무리는 두 파로 나누어졌어요. 이게 붕당정치의 시작이랍니다.
◇엎치락뒤치락! 붕당정치가 펼쳐지다
이후 사림파는 김효원을 지지하는 동인과 심의겸을 따르는 서인으로 나뉘어 세력 다툼을 벌이기 시작했어요. 이걸 동서분당(東西分黨)이라고 불러요. 김효원을 지지하는 사람들은 대개 김종직·이황·조식의 제자로 이루어진 영남학파 출신이었어요. 그들을 동인(東人)이라 부른 것은 모임 장소인 김효원의 집이 도성의 동쪽인 낙산 건천동에 있었기 때문이에요. 심의겸을 지지하는 사람은 대개 이이·성혼의 제자로 이루어진 기호학파 출신이었어요. 그들을 서인(西人)이라고 부른 것은 주로 모이던 심의겸의 집이 도성 서쪽인 정동에 있었기 때문이지요.
그 뒤 북인과 남인, 대북과 소북, 노론과 소론, 시파와 벽파 등 다툼의 중심이 되는 세력은 계속 뒤바뀌었지만, 조선에서는 당파를 중심으로 정치 대립이 계속되었어요. 붕당정치는 세력 다툼으로 번질 때도 많았지만, 서로 비판하며 의견을 모을 때도 있었답니다.
'종교-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칸트의 도덕법칙 (0) | 2016.01.28 |
---|---|
[경제포커스] 이재용의 운·둔·근(運鈍根) (0) | 2016.01.27 |
이기는 기업의 네 가지 키워드 '패전시문' 전략.패러다임. 전략.시스템.문화 (0) | 2016.01.25 |
韓·中·日 개발 초기… '금수저'부터 없앴다 (0) | 2016.01.23 |
失敗의 의미-저마다 자신의 욕망을 표출하는 순간 원정대는 깨진다. (0) | 2016.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