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70대 노인이 가질 수 있는 꿈과 행복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행복의 깊이와 의미는 자기 자신을 통찰하는 깊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피상적인 행복이나 선문답적인 인생론 보다는 실질적이고 나같은 범인들의 마음에 와 닿는 인생을 이야기 해보고 싶습니다. 나는 인생의 최종적인 목적과 수단은 행복이며, "나는 나를 보았다!"라고 외치는 순간에 나는 충분히 행복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Today
Yesterday
Total
  • 징검다리를 건너며-이준관
    시-시조·신문.카페 등 2015. 10. 14. 09:54
      징검다리를 건너며
    • 이준관 아동문학가
    • 입력 : 2015.10.14 03:00 | 수정 : 2015.10.14 09:09

    징검다리를 건너며


    개울에도
    하나, 둘, 셋
    징검돌이 놓였다.

    건넛마을이나
    학교 앞 시내에는
    아홉 개의 징검돌.

    세상으로 가는 데는
    얼마나 많은 징검돌이 필요할까?

    부모님
    선생님
    짝꿍과 친구들
    누나, 동생, 모두모두
    세상으로 가는
    징검돌이 될 거야.

    아, 나도 누군가 딛고 갈
    징검돌이 되었으면 좋겠다.

    미끄럽지도 않고
    모나지도 않은
    반듯한 징검돌.

    ―최진(1961~ )

    가슴으로 읽는 동시 일러스트

    아이들이 다니는 건넛마을이나 학교 앞에 흐르는 작은 시내. 거기에 놓여 있는 아홉 개의 징검돌. 그 미끄럽지도 않고 모나지도 않은 반듯한 징검돌을 밟으며 아이들은 학교에도 가고 건넛마을에도 간다.

    아이들이 세상으로 가는 데도 그런 징검돌이 필요하다. 가족과 선생님과 친구들은 세상으로 가는 징검돌일 터이다. 시 속의 아이는 '나도 누군가 딛고 갈 징검돌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미끄럽지도 모나지도 않은 반듯한 징검돌이 되기를 소망한다. 어디 이 아이뿐일까. 아이나 어른이나 모두 누군가에게 반듯한 징검돌이 되면 얼마나 좋으랴.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