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도 이달말부터 아스트라 백신 맞는다
정부, 당초 65세 미만 접종서 선회
입력 2021.03.12 03:00 | 수정 2021.03.12 03:00
정부가 논의 끝에 65세 이상 고령자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코로나 백신을 맞히기로 했다. 이에 따라 당장 이달 말부터 요양병원·시설 등에 있는 65세 이상 입소자·종사자들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 수 있게 됐다.
서울 동작구보건소에 보관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연합뉴스
◇65세 이상 3월 말 접종 시작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이 11일 이 같은 결정을 내린 데는 영국과 스코틀랜드에서 70대 이상 고령자에 대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효과가 화이자에 뒤지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온 영향이 컸다. 한 달 전만 해도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고령층 대상 연구 결과가 충분치 않다”면서 65세 미만에게만 접종을 권고하던 입장을 바꾼 것이다. 이에 따라 방역 당국은 다음 주까지 각 요양병원·시설 등에 있는 65세 이상 입원자와 종사자를 상대로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을지 조사하기로 했다. 대상자는 37만6000명이다. 동의를 받는 대로 접종에 들어가고 늦어도 3월 말엔 가능할 전망이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부본부장은 “건강 상태가 안 좋은 분이 무리하게 접종받진 않도록 충분히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까지 15명이 백신 접종 후 사망했는데, 대부분 요양병원에 있던 기저 질환자였다.
정부는 또 오는 15일 2분기(4~6월) 코로나 백신 접종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2분기 접종 대상은 요양병원·시설 등에 들어가지 않은 65세 이상 일반 고령자, 노인·장애인·노숙인 시설 이용자·종사자, 의료기관·약국 등 보건 의료인 등을 합쳐 940여만명에 달한다. 여기에 3분기 이후 접종 대상이던 국제선 항공 승무원 2만여명을 2분기에 맞힐 수 있도록 했다. 이들을 통해 해외 변이 바이러스가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가능성을 최대한 차단해보겠다는 노력이다.
코로나 백신 접종 순서 어떻게 되나
◇고령일수록 먼저 백신 맞을 듯
고민은 2분기 초 예상되는 백신 공급 물량 부족이다. 지금까지 국내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78만5000명분과 화이자 백신 5만8500명분이 들어왔다. 원래는 이 물량을 3월부터 우선 대상자인 77만6000명에게 1~2차 두 번 접종하기로 했다. 그런데 추가로 들어오는 백신 제품들이 기대보다 좀 늦어지면서 접종 계획이 차질을 빚을 상황에 처하자, 일단 1차 백신 접종자들이 2차에 맞을 물량을 미리 당겨 다른 1차 접종 대상자에게 맞히고, 5월 이후 백신 추가 물량이 확보되면 그걸 2차 접종 대상자들에게 다시 배분하는 식이다. 일종의 ‘돌려막기’인 셈이다. 이를 위해 추진단은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 간격을 기존 8주에서 10주로 변경했다. 최대한 시간을 끌고 그사이 백신 추가 계약을 끌어내 공급 부족을 해소하겠다는 속내다.
이 때문에 4월 시작하는 2분기 접종에선 65세 이상 일반 고령자 약 850만명을 연령대별로 나눈 뒤 나이가 더 많은 사람부터 맞힐 것으로 보인다. 나이가 더 들수록 코로나 치명률이 높기 때문에 서둘러 백신을 맞히는 게 좋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
현재 연령대별 접종 대상자는 80세 이상이 200만명, 75~79세 160만명, 70~74세 210만명, 65~69세 280만명이다. 이 중 80세 이상 200만명이나 75~79세 160만명에게 지금 갖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 백신 2회 차 접종분을 맞히기 시작하겠다는 얘기다. 권준욱 방대본 제2부본부장은 “사실상 오는 9월 말이면 사망자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령층 (집단)면역이 완성될 수 있다”고 말했다.
◇1차 접종 뒤 감염자는 격리 해제 뒤 접종
소방·경찰이나 교육·보육시설 종사자, 18~64세 일반 성인 등 대부분 국민은 7월 이후 백신을 맞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날 회의를 통해 1차 접종 뒤 코로나 양성 판정을 받은 사람에 대해서는 2차 접종을 하되 격리가 해제된 다음 하기로 했다. 1차 접종자 중 아나필락시스 반응을 보인 사람은 2차 접종을 하지 않기로 했다. 다른 백신을 맞을 수도 있지만 이런 교차 접종을 하더라도 예방 효과가 있다는 근거가 부족하다는 이유에서다.
최은경 기자
사회정책부 최은경 기자입니다.
사회 많이 본 뉴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속보] 독일도 프랑스도 아스트라 접종 일시 중단 (0) | 2021.03.16 |
---|---|
“美 5월부터 모든 성인 접종, 7월엔 일상 복귀 기대” (0) | 2021.03.13 |
말년 부부의 장수 비결, 냉장고와 침대 공유하기 (0) | 2021.03.11 |
AZ맞은 당일 저녁 오한·발열…48시간뒤 거짓말처럼 다 나았다 (0) | 2021.03.01 |
K주사기 쓰면, 화이자 1병당 접종자 6 → 7명 늘려 속도전 기대 (0) | 2021.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