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19.07.24 03:13
역사는 포폄(褒貶)이다… 되짚어 칭찬하고 나무란다
역사는 징비(懲毖)다… 혼나고 뉘우쳐 삼가는 것
임진·정유 참혹한 7년 전쟁 최대 수혜자 누르하치였듯… 韓·日간 대책 없이 싸우면 결국엔 김정은만 웃는다!
# '징비록(懲毖錄)'을 펼쳐보니 1592년 임진년 4월 초하루에 서애 유성룡과 신립 장군이 나눈 대화가 눈에 띈다. (유)"가까운 시일 내에 큰 변이 일어날 것 같소. 적을 막아낼 자신이 있소?" (신)"그까짓 것 걱정할 것 없소이다." (유)"그렇지가 않소. 과거에 왜군은 칼과 창 같은 무기만 가지고 있었지만 지금은 조총을 갖고 있소." (신)"아, 그 조총이란 것이 쏠 때마다 맞는답디까?" 이 대화가 있고 나서 채 보름이 안 돼 임진왜란이 터졌다.
# 1543년 일본 다네가시마(種子島) 남단 가도쿠라곶에 배 한 척이 표착했다. 그 배엔 조총을 소지한 포르투갈인들이 타고 있었다. 당시 다네가시마의 젊다 못해 앳된 16세의 도주(島主) 도키타카(時堯)는 거액을 주고 조총 한 정을 사들였다. 그 금액이 너무 컸던지라 포르투갈 상인들은 조총 하나를 덤으로 주었다. 이 두 자루의 조총이 일본의 미래를 바꿔놓았다. 젊은 도주 도키타카는 대장장이에게 조총을 똑같이 만들어내도록 명했다. 대장장이는 목숨 걸고 매진했지만 쉽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딸을 바쳐가면서까지 조총의 결정적 문제를 풀고자 했다. 다름 아닌 '나사'였다. 당시 일본에는 없던 신기술이었다. 그 나사의 비밀을 풀자 비로소 다네가시마산(産) 조총이 만들어졌다.
# 젊은 도주 도키타카는 조총을 앞세워 빼앗겼던 야쿠시마를 일거에 되찾았다. 규슈 최남단 가고시마에서도 한참 떨어진 변방 중의 변방인 다네가시마에서 만들어진 조총은 일본 전역이 전쟁터였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빠르게 퍼져 나갔다. 도키타카보다 여섯 살 아래인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산 조총으로 무장한 철포대(鐵砲隊)를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임진년에 조선으로 출병할 때 일본군의 기본 화기는 장창과 칼뿐 아니라 조총이었다. 그렇게 반세기 동안 전장에서 보급되고 활용되어온 일본의 조총을 신립은 "쏠 때마다 맞는답디까?" 하고 비웃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조총 앞에 신립은 무너졌다. 아니 조선이 무너져 내렸다.
# 1543년 일본 다네가시마(種子島) 남단 가도쿠라곶에 배 한 척이 표착했다. 그 배엔 조총을 소지한 포르투갈인들이 타고 있었다. 당시 다네가시마의 젊다 못해 앳된 16세의 도주(島主) 도키타카(時堯)는 거액을 주고 조총 한 정을 사들였다. 그 금액이 너무 컸던지라 포르투갈 상인들은 조총 하나를 덤으로 주었다. 이 두 자루의 조총이 일본의 미래를 바꿔놓았다. 젊은 도주 도키타카는 대장장이에게 조총을 똑같이 만들어내도록 명했다. 대장장이는 목숨 걸고 매진했지만 쉽지 않았다. 그는 자신의 딸을 바쳐가면서까지 조총의 결정적 문제를 풀고자 했다. 다름 아닌 '나사'였다. 당시 일본에는 없던 신기술이었다. 그 나사의 비밀을 풀자 비로소 다네가시마산(産) 조총이 만들어졌다.
# 젊은 도주 도키타카는 조총을 앞세워 빼앗겼던 야쿠시마를 일거에 되찾았다. 규슈 최남단 가고시마에서도 한참 떨어진 변방 중의 변방인 다네가시마에서 만들어진 조총은 일본 전역이 전쟁터였던 전국시대(戰國時代)에 빠르게 퍼져 나갔다. 도키타카보다 여섯 살 아래인 오다 노부나가는 일본산 조총으로 무장한 철포대(鐵砲隊)를 만들기도 했다. 그리고 임진년에 조선으로 출병할 때 일본군의 기본 화기는 장창과 칼뿐 아니라 조총이었다. 그렇게 반세기 동안 전장에서 보급되고 활용되어온 일본의 조총을 신립은 "쏠 때마다 맞는답디까?" 하고 비웃었던 것이다. 하지만 그 조총 앞에 신립은 무너졌다. 아니 조선이 무너져 내렸다.
# 475년 전 일본산 조총은 오늘날 일본이 보유하고 있는 수많은 원천 기술과 오버랩된다. 게다가 우리 주위엔 여전히 신립 같은 이가 적잖다. "지레 겁먹고 쫄지 말자"며 연일 SNS에 열을 올리는 조국 수석과 "쏠 때마다 맞는답디까?"라던 신립 장군이 어딘가 닮지 않았나! 신립은 천혜의 매복지였던 조령이 아니라 탄금대 앞을 흐르는 두 강물 사이에 진을 쳤다. 이곳은 좌우에 논이 많고 물과 풀이 서로 얽혀 말과 사람이 움직이기에도 어려웠다. 신립은 자신의 장기를 살려 기병전을 펼치려고 했을 것이나 되레 좌우에서 조총을 발사하며 달려드는 왜군에 협공당하자 강물로 말을 몰고 들어가 스스로 최후를 맞았다. 훗날 명나라 원군을 이끌고 왜군을 쫓아 역방향으로 조령을 넘던 이여송은 "이런 천혜의 요새지를 두고도 지킬 줄 몰랐으니 신총병(신립)도 참으로 부족한 사람이구려" 하며 탄식했다. 역사는 포폄(褒貶)이다. 칭찬하고 나무람이다.
# 유사 이래 한·일 간에는 세 번의 큰 전쟁이 있었다. 첫째는 663년 백강 전투이고, 둘째는 1274년과 1281년 두 번에 걸친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의 일본 원정이었으며, 셋째는 1592년 임진년에 개전해서 1597년 정유년에 재개된 임진·정유 7년 전쟁이었다. 그런데 세 번의 전쟁 모두 하나같이 '국제전'으로 전개됐다.
# 신라와 당이 합세한 나당연합군이 660년에 백제를 멸했지만 백제의 부흥 세력은 왜(倭)의 지원군과 연합해 663년 금강 하구에서 나당연합군과 일전을 벌였다. 결과는 백제·왜 연합군의 참패였다. 특히 왜는 4만여명의 왜병이 함선 400여 척을 이끌고 참전해 그중 1만여 명이 전사했다. 백강 전투의 충격에서 벗어나고자 왜(倭)는 '일본'으로 국호를 바꾸고 패배의 기록을 '일본서기'에 남겼다.
# 백강 전투가 있은 지 600여년 후 고려와 원의 연합군에 의한 일본 원정이 감행됐다. 1차 원정에는 원군 2만명, 고려군 1만5000명(비전투원 7000명 포함), 전함 900척이 동원됐다. 하지만 원군은 해전(海戰) 경험이 사실상 전무했기에 김방경이 이끈 고려군이 주력이었다. 진공 초반에는 쓰시마와 이키시마를 치고 하카타(博多)에 상륙까지 했지만 때마침 불어온 태풍에 군사와 배를 잃고 물러서야 했다. 원(元) 세조 쿠빌라이가 드라이브를 건 일본 원정은 1279년 남송(南宋) 정벌이 끝난 후 더 박차가 가해졌다. 1280년 쿠빌라이는 일본 원정을 위한 전방사령부인 정동행성(征東行省)을 고려에 설치하고 자신의 부마(사위)인 충렬왕을 그 우두머리로 앉혔다. 이듬해 떠밀리듯 감행된 2차 원정에는 원군 3만명, 고려군 2만7000명(비전투원 1만7000명 포함)에 더해 새로 복속된 남송(南宋)의 강남군 10만명이 가세한 16만명 규모에 동원된 전함만 4400여 척에 달했다. 하지만 이 역시 또다시 불어닥친 태풍 때문에 풍비박산 나고 말았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와 전략 없이 떠밀려 전쟁에 휘말리는 것은 그 자체로 대재앙이다.
# 여원연합군의 일본 원정이 실패로 끝나고 310년이 지난 후 이번에는 일본이 '정명가도(征明假道)' 즉 "명을 치려 하니 길을 내라"며 조선을 침공했다. 흔히 임진왜란, 정유재란이라 일컫는 7년 전쟁은 동아시아 삼국 전쟁이었다. 그런데 이 전쟁의 종착지는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갑작스러운 죽음과 노량해전에서의 이순신의 수상한 죽음이 아니다. 명 황제 만력제의 퇴진도 아니었다. 다름 아닌 누르하치의 등장이었다. 마찬가지로 작금의 한·일 분쟁이 진짜 전쟁으로 치닫는다면 마지막에 웃는 이는 자칫 김정은이 되지 않을까 심히 우려된다.
# 유사 이래 한·일 간에는 세 번의 큰 전쟁이 있었다. 첫째는 663년 백강 전투이고, 둘째는 1274년과 1281년 두 번에 걸친 여원연합군(麗元聯合軍)의 일본 원정이었으며, 셋째는 1592년 임진년에 개전해서 1597년 정유년에 재개된 임진·정유 7년 전쟁이었다. 그런데 세 번의 전쟁 모두 하나같이 '국제전'으로 전개됐다.
# 신라와 당이 합세한 나당연합군이 660년에 백제를 멸했지만 백제의 부흥 세력은 왜(倭)의 지원군과 연합해 663년 금강 하구에서 나당연합군과 일전을 벌였다. 결과는 백제·왜 연합군의 참패였다. 특히 왜는 4만여명의 왜병이 함선 400여 척을 이끌고 참전해 그중 1만여 명이 전사했다. 백강 전투의 충격에서 벗어나고자 왜(倭)는 '일본'으로 국호를 바꾸고 패배의 기록을 '일본서기'에 남겼다.
# 백강 전투가 있은 지 600여년 후 고려와 원의 연합군에 의한 일본 원정이 감행됐다. 1차 원정에는 원군 2만명, 고려군 1만5000명(비전투원 7000명 포함), 전함 900척이 동원됐다. 하지만 원군은 해전(海戰) 경험이 사실상 전무했기에 김방경이 이끈 고려군이 주력이었다. 진공 초반에는 쓰시마와 이키시마를 치고 하카타(博多)에 상륙까지 했지만 때마침 불어온 태풍에 군사와 배를 잃고 물러서야 했다. 원(元) 세조 쿠빌라이가 드라이브를 건 일본 원정은 1279년 남송(南宋) 정벌이 끝난 후 더 박차가 가해졌다. 1280년 쿠빌라이는 일본 원정을 위한 전방사령부인 정동행성(征東行省)을 고려에 설치하고 자신의 부마(사위)인 충렬왕을 그 우두머리로 앉혔다. 이듬해 떠밀리듯 감행된 2차 원정에는 원군 3만명, 고려군 2만7000명(비전투원 1만7000명 포함)에 더해 새로 복속된 남송(南宋)의 강남군 10만명이 가세한 16만명 규모에 동원된 전함만 4400여 척에 달했다. 하지만 이 역시 또다시 불어닥친 태풍 때문에 풍비박산 나고 말았다. 자신이 설정한 목표와 전략 없이 떠밀려 전쟁에 휘말리는 것은 그 자체로 대재앙이다.
# 여원연합군의 일본 원정이 실패로 끝나고 310년이 지난 후 이번에는 일본이 '정명가도(征明假道)' 즉 "명을 치려 하니 길을 내라"며 조선을 침공했다. 흔히 임진왜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