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10.10 03:08 | 수정 : 2018.10.10 06:51
[제조업이 일자리다] [上]
세금 면제·인프라 지원은 기본, 자녀 주립대 가면 '반값 등록금'
지난달 17일(현지 시각) 미국 남부 테네시주(州). 내슈빌 국제공항을 출발해 목화밭과 넓은 초원이 끝없이 펼쳐지는 도로를 1시간 정도 달리자 보쉬, 브리지스톤, 아케보노 등 세계적 기업의 공장 간판들이 눈에 들어왔다. 테네시주의 제조 중심지 중 하나인 클락스빌-몽고메리 비즈니스 파크. LG전자가 2억5000만달러(약 2850억원)를 들여 올 연말 완공을 목표로 짓는 세탁기 공장도 있었다. 여기가 끝이 아니다. 테네시주와 앨라배마주를 잇는 24번과 65번 도로를 달리다 보면 닛산과 폴크스바겐, 메르세데스 벤츠, 도요타, 혼다, 현대자동차 공장 등을 안내하는 표지판이 줄을 지어 나타난다.미국 남동부의 테네시와 앨라배마, 사우스캐롤라이나, 조지아 등 이른바 '이스턴 선벨트(Eastern Sunbelt)'로 불리는 주들은 사상 최저 실업률을 경신하며 '미국판 일자리 기적'을 이끌고 있다. 목화밭 천지였던 이 지역이 글로벌 제조 공장의 중심지로 변신한 비결은 파격적 인센티브에다 주 정부와 지역사회가 똘똘 뭉쳐 만든 친기업적 사회 문화, '반(反)강성 노조 정서' 등 삼박자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 무섭게 빨아들인 글로벌 제조 업체들은 엄청난 속도로 일자리를 만들고 있다.
◇파격 인센티브…자녀 '반값 등록금'까지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찰스턴. '볼보 자동차'의 생산 공장이 지난 6월 문을 열었다. 볼보가 미국에 만든 첫 생산 공장이다. 여기서 30㎞쯤 떨어진 노스찰스턴에는 지난달 초 메르세데스 벤츠가 5억달러를 투자해 화물트럭(van) 조립 공장을 돌리고 있다. 석 달 사이에 글로벌 자동차 메이커들이 잇따라 생산 공장을 준공한 것이다. 사우스캐롤라이나는 볼보와 벤츠 유치를 위해 파격적인 인센티브를 제시했다. 재산세와 소득세, 설비 취득세 등 6개 세금을 면제해 줬다. 이와 별도로 부지 조성과 진입로 신설 등 2억달러에 달하는 지원책도 제공했다.
테네시주는 법인세 감면뿐 아니라, 외국 기업 직원 자녀들이 테네시주립대에 입학하면 '반값 등록금'으로 우대한다. 앨라배마는 제조 공장에 부지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전기·가스 시설 등 기반시설도 공짜로 깔아준다. 홀리 페그 앨라배마주 상공부 차관은 "주 정부가 나서 공공부문에서 인위적인 일자리를 만드는 것보다 기업이 만들어내는 일자리가 훨씬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이라고 말했다.
◇친기업 정서…공무원과 주민 힘 모아
글로벌 제조업체들이 이스턴 선벨트로 몰리는 건 금전적 혜택 때문만은 아니다. 한국타이어는 미국 시장 공략을 위해 2014년 테네시주에 공장을 짓기로 했다. 하지만 공장 설립에 따른 환경 등 관련 규제로 적잖은 난관에 봉착했다. 당시 이 문제를 해결해준 사람들은 테네시주 공무원들이었다. 수시로 현장을 찾은 이들은 공장 건설 진척에 맞춰 필요한 서류를 제시하고 작성법 등을 알려줬다. 한국타이어 관계자는 "공무원들이 책상에 앉아 서류만 심사하는 것이 아니라, 현장에 나와서 직접 해결책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테네시주 등에선 제조 공장 건설 때 최대 난제인 지역 주민에 대한 설득 문제도 큰 고민이 아니다. 기업이 법만 어기지 않았다면 주 정부가 기업을 대신해 지역 민원을 해결해 주기 때문이다. 주민들이 제기하는 소송에 주 정부가 직접 대응하는 방식이다.
◇"제조 공장에서 5년째 無파업"
'이스턴 선벨트'의 세 번째 경쟁력은 '강성 노조'가 없다는 점이다. 지난해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있는 보잉의 생산직 근로자들은 '미국 국제기계항공우주노조(IAM)' 가입 여부를 두고 찬반 투표를 진행했다. IAM은 전미자동차노조(UAW)와 함께 대표적 강성 노조로 꼽힌다. 하지만 투표는 압도적인 차이로 부결됐다.
이 지역들에서는 직원들이 노조에 의무적으로 가입해야 한다는 규정 자체를 금지하는 '근로권익법(Right to Work)'을 시행하고 있다. 이 때문에 강성 노조는 물론 노조 설립 자체가 어려운 상황이다. 현대차 미국법인 관계자는 "최근 5년 동안 미국 공장에서 파업은 없었다"며 "UAW가 노조 조직화를 위해 모임을 열려고 하지만, 참석자가 10여 명에 지나지 않은 적도 있다"고 말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구글·애플 "최고 스펙은 호기심" (0) | 2018.10.13 |
---|---|
[제조업이 일자리다] [下] (0) | 2018.10.13 |
알리바바 "중국, 무섭게 변화시키겠다" (0) | 2018.10.09 |
"AI 활용하면 매출 年 6400조 늘어… 여행·물류 최대 수혜" (0) | 2018.10.01 |
일자리의 나라 독일로… 취업난2030 '저먼 드림' (0) | 2018.09.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