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8.09.19 03:08
네이버·카카오, 빅데이터 활용… 사업 유형 분석해 컨설팅 제공
배달 앱(응용 프로그램), 인터넷 업계에서 중소 상공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상생 모델 개발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지금까지는 얼마나 많은 중소 상공인을 배달 앱이나 온라인 쇼핑몰에 입점시키느냐가 사업 확장의 핵심이었지만,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다다르자 입점한 중소 상공인의 경쟁력을 키우는 쪽으로 돌파구를 찾는 것이다.- ▲ 카카오 임직원들과 중소 상공인들이 지난 5일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있는 카카오 판교 오피스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최근 배달 앱 업체와 인터넷 업체들이 중소 상공인과 상생·협력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카카오
◇빅데이터 활용해 정밀 경영 지도 나선 네이버·카카오
국내 대표 인터넷 기업 네이버·카카오는 풍부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중소 상공인들을 위한 맞춤형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네이버는 지난 5월 말부터 업종·거래액·지역·사업유형·연령을 비롯한 다양한 빅데이터를 분석해 월 거래액 200만원 미만인 입점 업체에는 폐업하지 않고 살아남는 법을 교육하고, 월 거래액이 200만~800만원인 사업자에게는 차별화된 고유 사업 모델을 만들 수 있게 컨설팅 지원을 하고 있다. 최인혁 네이버 최고운영책임자(COO)는 "빅데이터 분석 결과 월 거래액 200만원을 기준으로 사업 지속률이 크게 갈렸다"면서 "초기 창업자들이 안정적 성장 궤도에 오를 때까지 컨설팅, 광고비 지원과 같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소 상공인 대상의 아카데미 운영도
배달 앱 배달의민족을 운영하는 우아한형제들은 매달 6~8회 정기적으로 외식업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앱 활용법과 홍보·마케팅·세무·회계 노하우를 무료로 교육하는 '배민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 2014년부터 배민 아카데미에서 교육받은 업주만 7600여 명에 달한다. 백선웅 우아한형제들 이사는 "전문가들이 직접 식당을 찾아 문제점을 알려주고 개선하는 프로그램도 운영 중"이라며 "매출이 10배 이상 증가한 음식점도 있다"고 말했다. 배달 앱 요기요·배달통을 운영하는 알지피코리아도 상권과 주요 주문 시간, 고객 주문 패턴을 분석해 중소 상공인들에게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다.
인터넷 기업과 배달앱이 중소 상공인과 상생에 적극 나서는 데에는 이들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중소 상공인들에게 돌아갈 수익을 빼앗아왔다는 인식을 불식하려는 의도도 있다. 실제 지난해 말 중소벤처기업부 조사에 따르면 배달 앱·포털에 광고를 노출하기 위해 중소 상공인들은 하루에 수십만원까지 지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업계 관계자는 "중소 상공인들의 부담을 덜어주면서도 인터넷 업계의 매출이 성장할 수 있는 윈윈(win-win) 모델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 전자레인지·벽시계… 아마존, 14종 쏟아냈다 (0) | 2018.09.22 |
---|---|
[사설] 강남 수준 집이 계속 공급되면 집값 결국 잡힌다 (0) | 2018.09.22 |
뛰는 도둑 위에 나는 드론 있다 (0) | 2018.09.19 |
[태평로] 집값 잡으려면 정부 '공수표' 남발 말아야 (0) | 2018.09.16 |
정부의 독선이 빚은 '일자리 파국' (0) | 2018.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