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노동계의 줄파업이 예고돼 있어 이날 혼란은 맛보기에 불과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민주노총은 오는 28일부터 7월 8일까지를 ‘사회적 총파업 주간’으로 정하고 30일 대규모 집회와 파업에 나선다. 총파업에 대한 선전포고는 한상균 민노총 위원장이 주도했다. 그는 2015년 도심 폭력시위를 주도해 대법원 확정판결을 받고 복역 중이다. 한 위원장은 민노총 홈페이지에 19일 게시된 옥중서신을 통해 “정경유착의 공범 재벌, 개혁의 대상 권력기관과 기득권 집단이 코너에 몰려 있는 지금이야말로 칭기즈칸의 속도전으로 개혁을 밀어붙일 적기”라며 “문재인 정부는 기득권 세력의 눈치를 보지 말고 책임 있는 조치를 하라는 것이 6·30 총파업의 요구”라고 주장했다.
DA 300
한국노총도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문 대통령이 직접 위원장을 맡고 있는 일자리위원회와의 그제 정책간담회에서 김주영 위원장은 “우리가 문재인 대통령 승리의 발판을 만든 주역인데 일자리위원회가 우리를 진정한 동반자로 여기는지 의문”이라며 노동계를 구색 맞추기 위한 장식물로 보지 말라고 압박했다.
양대 노총의 이런 행위는 공감대를 얻기 어렵다. 대선 때 지지해 준 대가를 요구하는 모양인데 이래서는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된다. 비정규직과 최저임금을 비롯해 노동개혁을 하려면 네덜란드 바세나르협약이나 독일 하르츠개혁처럼 노사정이 서로 양보해야지 노조 주장만 내세워선 조금도 진전될 수 없다. 이런 때일수록 정부가 중심을 잡아야 한다. 정부는 노사정 전체를 바라봐야 하고 혼란을 일으키는 극단적 행위에는 엄정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