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7.06.05 03:13
[文대통령 "가야史 복원" 이유는]
봉하마을 있는 김해가 '가야 중심'… DJ 이어 文대통령도 관심 높아
진안·장수·임실 등 전라도 동쪽… 후기 가야 유적 최근 잇달아 발굴
- 학계에선 우려 목소리
고대사학회장 "특정 역사 복원… 대통령이 지시하는건 부적절"
"지금 국면하고는 뜬금없는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가야사 연구와 복원'을 국정 과제에 포함시키라고 지시하면서 그 배경과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가야사 언급은 즉흥적인 것이 아니라 오랜 관심에서 나왔다고 설명한다. 영호남 통합을 고민해온 문 대통령으로선 지역적으로 영호남에 걸쳐 있었던 가야사 연구가 통합의 바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가야는 보통 경상도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전라도의 동부 지역도 상당 기간 장악했다. 기원전 1세기 문화적 기반이 조성되고 2세기 무렵 김해의 금관가야가 이끄는 12개의 소국(小國)들이 연맹체를 형성해 '전기(前期) 가야'를 이뤘을 무렵 그 영역은 낙동강 주변과 서부 경상도 지역이었다. 하지만 서기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공격으로 큰 타격을 받은 후 낙동강 동쪽 지역은 신라에 흡수됐다. 5세기 중반 이후 '후기(後期) 가야'의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떠오른 고령의 대가야는 소백산맥을 넘어 영역을 확장하면서 진안·장수·임실·남원 등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했다. 이들 전라도 동부 지역에서는 가야 계통의 고분·토기·제철 유적 등이 잇달아 발견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일 청와대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가야사 연구와 복원'을 국정 과제에 포함시키라고 지시하면서 그 배경과 내용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문재인 대통령의 가야사 언급은 즉흥적인 것이 아니라 오랜 관심에서 나왔다고 설명한다. 영호남 통합을 고민해온 문 대통령으로선 지역적으로 영호남에 걸쳐 있었던 가야사 연구가 통합의 바탕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가야는 보통 경상도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지만 전라도의 동부 지역도 상당 기간 장악했다. 기원전 1세기 문화적 기반이 조성되고 2세기 무렵 김해의 금관가야가 이끄는 12개의 소국(小國)들이 연맹체를 형성해 '전기(前期) 가야'를 이뤘을 무렵 그 영역은 낙동강 주변과 서부 경상도 지역이었다. 하지만 서기 400년 고구려 광개토대왕의 공격으로 큰 타격을 받은 후 낙동강 동쪽 지역은 신라에 흡수됐다. 5세기 중반 이후 '후기(後期) 가야'의 새로운 중심 세력으로 떠오른 고령의 대가야는 소백산맥을 넘어 영역을 확장하면서 진안·장수·임실·남원 등 섬진강 유역으로 진출했다. 이들 전라도 동부 지역에서는 가야 계통의 고분·토기·제철 유적 등이 잇달아 발견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영호남 통합 선대위를 만들고 그 발족식을 영호남 화합의 상징인 화개장터에서 하면서 가야사를 강조할 계획이었으나 실현되지 못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당선 직후 바로 가야사를 말씀하신 것을 보면 가야사에 대한 애착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고대사 연구자들의 대표 격인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하일식 연세대 교수는 4일 저녁 학회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이 역사의 특정 시기나 분야 연구나 복원을 지시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하 회장은 "가야사를 연구·복원하는 것이 영호남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좋은 사업이라는 이야기는 역사를 도구화하는 발상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면서 "대통령의 언급은 지자체들이 예산 받으려고 내세우는 기획 슬로건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래서 문제이다"라고 했다.
실제로 노무현 대통령의 봉하마을이 있는 김해가 가야의 전기 중심지이며, 가야사 연구에 대한 수요가 많다는 점도 주목된다. 민주당 민홍철(경남 김해갑) 의원은 지난달 22일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에게 영호남의 가야 문화권을 묶어 신라·백제 문화권처럼 만들면 역사문화 창달은 물론 관광 진흥, 지역 개발, 지역 갈등 해소까지 다목적 사업이 가능하다고 건의했다"고 했다.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김해시·함안군·고령군은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 등 대표적 가야 고분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15년 가야 고분군을 세계유산 우선 등재 추진 대상으로 선정했고, 지난 2월 세계유산등재추진단이 발족했다. 가야사 복원은 김대중 정부 당시 1290억원을 들여 대대적으로 이뤄졌다. 김수로왕이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구지봉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 등을 정비했다. 2006년부터 2차 복원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중단됐다.
학계에서는 문 대통령의 '가야사 복원' 지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는 한 중견 학자는 "영호남에서는 정부 예산이 배정되고 관련 연구와 사업이 활성화될 것으로 환영하지만 이외 지역에서는 '대통령이 나서면 국정교과서처럼 정치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의 '신라 왕경(王京) 복원 사업'을 의식한 정권 프로젝트라는 비판도 나온다. 지방자치단체들이 정부 지원을 기대하며 지역 연구자들에게 "무엇을 하면 좋겠느냐"고 문의한다는 얘기도 잇달아 나오고 있다.
하지만 고대사 연구자들의 대표 격인 한국고대사학회 회장 하일식 연세대 교수는 4일 저녁 학회 홈페이지에 올린 글에서 "대통령이 역사의 특정 시기나 분야 연구나 복원을 지시하는 것 자체가 적절치 않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하 회장은 "가야사를 연구·복원하는 것이 영호남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좋은 사업이라는 이야기는 역사를 도구화하는 발상이라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면서 "대통령의 언급은 지자체들이 예산 받으려고 내세우는 기획 슬로건을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짐작된다. 그래서 문제이다"라고 했다.
실제로 노무현 대통령의 봉하마을이 있는 김해가 가야의 전기 중심지이며, 가야사 연구에 대한 수요가 많다는 점도 주목된다. 민주당 민홍철(경남 김해갑) 의원은 지난달 22일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 후보에게 영호남의 가야 문화권을 묶어 신라·백제 문화권처럼 만들면 역사문화 창달은 물론 관광 진흥, 지역 개발, 지역 갈등 해소까지 다목적 사업이 가능하다고 건의했다"고 했다.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김해시·함안군·고령군은 김해 대성동 고분군, 함안 말이산 고분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 등 대표적 가야 고분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문화재청은 2015년 가야 고분군을 세계유산 우선 등재 추진 대상으로 선정했고, 지난 2월 세계유산등재추진단이 발족했다. 가야사 복원은 김대중 정부 당시 1290억원을 들여 대대적으로 이뤄졌다. 김수로왕이 하늘에서 내려왔다는 구지봉과 김해 대성동 고분군 등을 정비했다. 2006년부터 2차 복원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예산 부족으로 중단됐다.
학계에서는 문 대통령의 '가야사 복원' 지시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한국고대사를 전공하는 한 중견 학자는 "영호남에서는 정부 예산이 배정되고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