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34년 '청정 지역' 덴마크, 가축 이동까지 DB로 관리… 6년째 감염 없는 일본, 민방위 훈련하듯 방역 연습

최만섭 2017. 2. 11. 08:45

34년 '청정 지역' 덴마크, 가축 이동까지 DB로 관리… 6년째 감염 없는 일본, 민방위 훈련하듯 방역 연습

  • 최종석 기자
  • 입력 : 2017.02.11 03:00

    구제역 관리 철저한 선진국들

    축산 선진국들은 구제역이 발생할 때마다 뒷수습에 급급한 우리나라와 사뭇 다르다.

    세계 최대 돼지고기 수출국인 덴마크의 가축 방역 원칙은 사전 예방이다. 핵심은 농장과 수의사 간 협업 시스템이다. 덴마크 농장들은 매일 자기 가축을 검사해 의심스러운 가축이 있으면 바로 수의사에게 연락해야 한다. 수의사는 이를 지역 방역 기관에 전하고 방역 기관은 해당 농장을 조사한 결과를 중앙 방역 당국에 보고해야 한다. 규모가 큰 농장은 수의사와 자문 계약을 체결해야 하고, 자체 방역 계획을 세워 지역 방역 기관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덴마크 당국은 또 기르는 가축의 종류, 이동 날짜 등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로 만들어 관리한다. 관련 정보를 제대로 보고하지 않는 농장은 보조금을 깎거나 벌금을 내리기도 한다.

    구제역 방어에 만전 기하는 선진국
    발생한 구제역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격리 규칙도 철저하게 정했다. 소·돼지와 접촉한 모든 사람은 48시간 동안 농장을 방문해선 안 된다. 소·돼지를 옮기는 모든 차량은 방역 조치를 받아야 하며 농장을 찾는 수의사도 옷을 갈아입는 등 세세한 지침을 따라야 한다. 덴마크 농장들은 새 가축을 들여올 경우 일정 기간 원래 기르던 가축을 다른 농장으로 보내선 안 된다. 다른 곳에서 온 가축이 구제역을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관찰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철저한 예방 시스템 덕분에 덴마크는 1983년 이후 34년간 구제역 청정국의 지위를 지키고 있다.

    일본도 모범 국가로 통한다. 일본도 2000년과 2010년 구제역이 발생했지만 대응 방식은 우리나라와 달랐다. 일본은 2011년부터 민방위 훈련하듯 방역 연습을 실시하고 초동 대응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점검하고 있다. 구제역 복권을 발행해 그 수익으로 예방 체계를 구축한 점도 특이하다. 살처분 가축에 대해선 시세의 100%를 보상해 주지만 예방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농가는 아예 보상 대상에서 제외하도록 법제화했다. 농가의 도덕적 해이를 막기 위해서다. 덕분에 일본에선 2010년 이후 지금까지 구제역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미국은 1929년 이후 구제역 청정 지대지만 캐나다·멕시코와 공동으로 국립항원백신은행을 세워 만약에 대비하고 있고 네덜란드도 초기 진압을 위해 1600만회분의 백신을 비축하고 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2/11/2017021100221.html#csidx0ae60ea74e2198da6dc778103a675b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