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
- 유기발광 다이오드
OLED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자체발광현상을 이용하여 만든 디스플레이로, 화질 반응속도가 초박막액정표시장치(TFT-LCD)에 비해 1,000배 이상 빨라 동영상을 구현할 때 잔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다. 예전에는 일본식 표기인 '유기EL(Organic Electro Luminescence)'로 불렸으나 2003년 말 국제표준회의에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가 국제표준 용어로 확정되었으며, 2004년 4월 7일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에서 국내 표기 표준도 'OLED(오엘이디, 유기발광 다이오드)'로 확정됐다.
평판디스플레이(FPD)기술은 크게 외부 빛이 있어야 동작하는 수광형과 자체적으로 빛을 내는 발광형으로 분류된다.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TFT-LCD가 가장 대표적인 수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고 전광판 등에 많이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형 제품이다.'OLED'은 자체 발광기능을 가진 적색(Red)과 녹색(Green), 청색(Blue) 등 세 가지의 형광체 유기화합물을 사용하며, 음극과 양극에서 주입된 전자(電子)와 양의 전하를 띤 입자가 유기물 내에서 결합해 스스로 빛을 발하는 현상을 이용한 발광형 디스플레이 제품이므로 색감을 떨어뜨리는 백라이트(후광장치)가 필요없다.
지난 1950년 프랑스 베르나노즈연구팀이 OLED현상을 처음으로 발견했으며 구동 방법에 따라 ▲양극과 음극으로 단순 교차해 화소를 구성하는 수동 매트릭스(PM : passive matrix) ▲각 화소에 스위치용 TFT를 배치하는 능동 매트릭스(AM : active matrix)로 나뉜다. OLED는 15V 이하의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제품을 초박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PDP와 함께 TFT-LCD를 이을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로 부상하고 있다.
OLED는 데이터 응답속도가 TFT-LCD보다 빠르며, 시야각이 170도로 TFT-LCD에 비해 10도 이상 넓어서 어느 방향에서나 동일한 화질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생산비용도 이론적으로 30% 이상 낮출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차세대 평판디스플레이의 필요조건인 전력소모량도 TFT-LCD나 PDP 보다 훨씬 적다.
[네이버 지식백과]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무역 -BUSINESS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ve a lot[enough] on one's plate- (구어) 해야 할 일이 산더미처럼[충분히] 있다 (0) | 2017.01.04 |
---|---|
거버넌스[ governance ] (0) | 2017.01.02 |
None of that is true any more.-그것은 더이상 사실이 아니다 (0) | 2017.01.02 |
☞질병 부담(disease burden) (0) | 2016.12.27 |
왓슨(Watson) (0) | 2016.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