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으로 읽는 시] 난이 피던 날
입력 : 2016.02.15 03:00
난이 피던 날
아직 발이 시린
이월 어느 날 아침
수증기 서린 유리창 앞에
푸른 도포 차림의 선비 세분이
상아로 세공한 부채를 들고
말없이 단아하게 서 계셨다
나는 너무 황망하여 어쩔 줄 모르고
버선발로 뛰어나가 허리 깊이 꺾고
절하였다
그 청아함에 눈부시어 감히
반가운 악수도 청하지 못한 채.
―홍윤숙(1925~2015)
시인은 막바지에 이른 겨울의 끝에서 난 꽃이 피어난 일의 경이를 이렇게 시로 썼다. 단정하고 아담하게 핀 꽃의 자태는 선비의 외양과 태도에 견주어지고 있다. 고요한 성품의 난은 속된 티가 없이 맑은 꽃을, 상앗빛 꽃을 어느 날 아침 피워 올렸다. 설한(雪寒)을 견뎌낸 후의 꽃핌이니 그 향기
는 얼마나 진할 것인가. 너무나 반가워 미처 신발도 신지 않고 뛰어나가 난 꽃을 맞아들이는 시인의 성정 또한 고아하고 아름답다고 아니할 수 없다.
홍윤숙 시인은 "시는 언제 어느 곳에서나 변경의 파수꾼이었다. 후미지고 버림받은 위난의 땅을 지키는 파수꾼이다"고 말했다. 온갖 세사(世事)가 위중할 때에 이 시를 읽으니 소란스럽고 격앙된 것이 진정되는 느낌이다.
홍윤숙 시인은 "시는 언제 어느 곳에서나 변경의 파수꾼이었다. 후미지고 버림받은 위난의 땅을 지키는 파수꾼이다"고 말했다. 온갖 세사(世事)가 위중할 때에 이 시를 읽으니 소란스럽고 격앙된 것이 진정되는 느낌이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
'시-시조·신문.카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윤동주, 쉽게 씌여진 시 바람어디에서부는지 (0) | 2016.02.22 |
---|---|
[ESSAY] 졸음은 극복해야 할 대상이 아니다 (0) | 2016.02.17 |
[가슴으로 읽는 동시] 저녁에 돌아오시는 아빠 (0) | 2016.02.10 |
[가슴으로 읽는 한시] 친구에게 (0) | 2016.02.06 |
[ESSAY] 내 고향 북한의 설 (0) | 2016.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