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 2016.01.04 03:00
중국이 세계무대에 다시 등장한 이후 '중국 붕괴론'과 '중국 세기론'이 해마다 불거지고 있다. 작년에도 미국 최고의 중국 전문가라는 데이비드 샴보 조지워싱턴대 교수가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다가오는 중국의 붕괴'라는 제목의 글을 실어 붕괴론에 불을 지폈다. 그는 "시진핑 주석이 공산당 해체를 막으려고 반대파와 부패 세력을 단속하고 있지만, 반발이 심해 권력 투쟁이나 쿠데타로 퇴진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 공산당 통치의 종반전이 이제 시작됐다"고 했다. 작년 여름 상하이 증시가 폭락하자 '중국 붕괴론'은 더욱 기승을 부렸다.
반면 중국이 미국 주도의 경제 패권에 맞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만들자, 로이터 통신은 "역사학자는 2015년을 중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금융 질서를 이끌었던 미국을 제치고 주도권을 잡기 시작한 순간으로 기록하게 될지 모른다"고 적었다. 중국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통화바스켓을 구성하는 세계 5대 통화에 들어갔을 때도 '중국 세기론'이 힘을 얻었다. 불과 1년 내에 중국 흥망(興亡)에 대한 분석이 극단적으로 엇갈린 것이다.
지난 30여년간 중국 붕괴론은 크게 3번 제기됐다.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는 '정치 붕괴론'을 불러왔다. 톈안먼 시위는 강제 진압됐지만, 민주화 요구가 전국적으로 불붙어 공산당 독재가 끝날 것이란 주장이었다. 그러나 중국에는 1989년이나 지금이나 공산당에 맞설 정치 세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때는 '경제 붕괴론'이 유행했다. 당시 중국도 환율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위안화를 절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켜 주변국의 신뢰를 얻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사회 붕괴론'이 주목을 받았다. 날로 악화하는 빈부차와 민족 갈등, 노동 분규 등이 중국 사회를 뿌리째 흔들 것이란 주장이다. 현재 중국은 노동자 임금·복지를 확대하는 '당근'과 시위를 강경 진압하는 '채찍'으로 위기를 관리하고 있다.
우리가 1988년 올림픽→국제화 바람→삼풍백화점·성수대교 붕괴→금융위기를 맞았던 것처럼 중국은 2008년 올림픽→대외 팽창→톈진항 폭발·공단 산사태 등을 겪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액(3조4380억달러) 대비 단기부채 비율은 18% 수준인 만큼 우리가 겪었던 국가 부도 사태는 없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오히려 환경·식량 등 예상치 못했던 문제가 중국을 흔들 수 있다.
중국의 미래를 예상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80층 빌딩(중국)이 무너지면 인근의 10층짜리 건물(한국)은 치명상을 입는다. 한·중의 국내총생산(GDP) 차이가 1대8쯤이다. 반면 과거 중국 왕조가 전성기를 맞았을 때 우리는 고전했다. 한(漢) 무제가 고조선을, 당(唐) 고종이 고구려를 멸망시켰다. 원(元)·청(淸)이 세력을 떨칠 때도 마찬가지였다.
올해도 중국 붕괴론과 세기론이 교차할 것이다. 국제 정치학자에게는 학문의 영역이지만, 우리에게는 생존(生存)이 걸린 문제다. 당장 한·중 관계가 좋다고 안주할 게 아니라 '칸다쥐(看大局·대국을 보는) 시각'을 길러야 한다.
반면 중국이 미국 주도의 경제 패권에 맞서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을 만들자, 로이터 통신은 "역사학자는 2015년을 중국이 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금융 질서를 이끌었던 미국을 제치고 주도권을 잡기 시작한 순간으로 기록하게 될지 모른다"고 적었다. 중국 위안화가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SDR) 통화바스켓을 구성하는 세계 5대 통화에 들어갔을 때도 '중국 세기론'이 힘을 얻었다. 불과 1년 내에 중국 흥망(興亡)에 대한 분석이 극단적으로 엇갈린 것이다.
지난 30여년간 중국 붕괴론은 크게 3번 제기됐다. 1989년 톈안먼(天安門) 사태는 '정치 붕괴론'을 불러왔다. 톈안먼 시위는 강제 진압됐지만, 민주화 요구가 전국적으로 불붙어 공산당 독재가 끝날 것이란 주장이었다. 그러나 중국에는 1989년이나 지금이나 공산당에 맞설 정치 세력이 존재하지 않는다.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 때는 '경제 붕괴론'이 유행했다. 당시 중국도 환율 때문에 어려움을 겪었지만, 위안화를 절하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지켜 주변국의 신뢰를 얻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는 '사회 붕괴론'이 주목을 받았다. 날로 악화하는 빈부차와 민족 갈등, 노동 분규 등이 중국 사회를 뿌리째 흔들 것이란 주장이다. 현재 중국은 노동자 임금·복지를 확대하는 '당근'과 시위를 강경 진압하는 '채찍'으로 위기를 관리하고 있다.
우리가 1988년 올림픽→국제화 바람→삼풍백화점·성수대교 붕괴→금융위기를 맞았던 것처럼 중국은 2008년 올림픽→대외 팽창→톈진항 폭발·공단 산사태 등을 겪고 있다. 그러나 현재 중국의 외환보유액(3조4380억달러) 대비 단기부채 비율은 18% 수준인 만큼 우리가 겪었던 국가 부도 사태는 없을 것이란 분석이 많다. 오히려 환경·식량 등 예상치 못했던 문제가 중국을 흔들 수 있다.
중국의 미래를 예상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80층 빌딩(중국)이 무너지면 인근의 10층짜리 건물(한국)은 치명상을 입는다. 한·중의 국내총생산(GDP) 차이가 1대8쯤이다. 반면 과거 중국 왕조가 전성기를 맞았을
올해도 중국 붕괴론과 세기론이 교차할 것이다. 국제 정치학자에게는 학문의 영역이지만, 우리에게는 생존(生存)이 걸린 문제다. 당장 한·중 관계가 좋다고 안주할 게 아니라 '칸다쥐(看大局·대국을 보는) 시각'을 길러야 한다.
-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