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신년특집]
리처드 돕스 매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 연구소장
한국산 가전제품 선호하던 고객, 최근 중국산 구매 경향 뚜렷
제품만 팔고 끝내는 게 아니라 수명 다할 때까지 수입 올려야
'물건'이 아닌 '시간'을 팔라
기준금리 1.5%면 높은 수준… 미국 따라 금리 올리면 안 돼
서울 부동산 런던·도쿄 비해 싸, 부동산 시장 붕괴 가능성 없다
"개구리(한국)는 아직 냄비에서 나오지 않았습니다. 냄비의 물(중국의 추격)이 아직 미지근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향후 5년간 근본적인 개혁이 없다면 개구리는 팔팔 끓는 물에서 탈출하지 못할 겁니다."지난 2013년 4월 한국 경제를 '뜨거워지는 냄비 속의 개구리'라고 표현해 화제를 모은 리처드 돕스(Dobbs) 매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MGI) 연구소장은 "여전히 한국은 지난 2년간 냄비 안에서 허우적대고 있다"고 평가했다.
1988년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매킨지에 입사한 돕스는 2009년부터 매킨지의 글로벌 기업·경제 트렌드를 분석하는 MGI(영국 런던 소재) 연구소장을 맡아 3개월마다 세계 경제 흐름 분석을 담은 '매킨지 쿼털리'를 출간하고 있다. 2007~2013년까지 매킨지 서울사무소 시니어파트너를 겸임해 한국 기업과 경제 전반의 문제를 꿰뚫어보는 전문가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본지 전화 인터뷰에서 "한국 기업의 최대 위협인 중국이 한국과 본격적인 경쟁에 뛰어들지 않고 있을 뿐이지 중국의 추격은 매서워지고 있다"면서 "에어컨, 냉장고 등 가전제품에서 한국산을 선호하던 소비자들이 최근 중국산 제품을 구매하는 경향이 뚜렷이 나타나는데, 이는 한국이 일본을 추격한 1990년대 상황과 비슷하다"고 진단했다. 돕스 소장은 "지금대로라면 한국 기업들이 올해 낸 이익 규모는 '역대 최고치'란 기록을 남기고 향후 매년 둔화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국 기업들, '물건'을 팔지 말고 '시간'을 팔아라"
돕스 소장은 한국 기업들이 직면한 두 가지 고질적인 문제로 지나치게 낮은 기업 수익성, 제조업에 편중된 비즈니스 모델을 뽑았다. 그는 "최근 분석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의 투하자본수익률(ROIC·기업들이 영업 활동에 투입한 자산으로 영업이익을 얼마나 거뒀는지 나타내는 지표)은 5.9%로 북미(15.6%), 남미(11.4%), 인도·아세안(11%), 중국(8.6%)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말했다. 또 북미 기업들의 순이익률은 1980년 5.6%에서 2013년 9%로 상승했지만, 한국 기업은 3~4% 수준에 머물고 있다고 지적했다.
- ▲ 매킨지 글로벌 인스티튜트의 리처드 돕스 연구소장은 근본적인 개혁이 없다면 한국 경제는 ‘뜨거워지는 냄비 속의 개구리’ 신세를 면하지 못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인터뷰에서 “한국 기업의 최대 위협인 중국의 추격이 매서워지고 있다”며 “비즈니스 모델을 혁신하지 않는다면 한국 기업들의 이익은 계속 둔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완중 기자
돕스 소장은 "제품과 서비스에 따라 다양한 가격을 책정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한국에 없다. 이런 비즈니스 모델을 정착시켜야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국과 신흥국과 경쟁에서 우위를 유지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글로벌 경제의 최대 리스크는 '부모보다 가난해지는 자식' 문제
돕스 소장은 1000조원이 넘는 한국의 가계 부채 문제와 관련, "미국을 따라 기준금리를 자꾸 올렸다가는 수많은 가계가 어려움에 부닥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현재 기준금리 1.5%면 높은 수준으로 미국을 따라 금리를 올리면 안 된다. 원화 약세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미국 금리 인상에 따라 우려가 불거진 부동산 시장 붕괴론에 대해서는 "그럴 가능성이 없다"고 딱 잘라 말했다. 그는 "1990년대 미친 듯이 가격이 뛴 일본 도쿄 정도가 돼야 '부동산 버블'이라 말할 수 있지만, 지금 서울은 런던·뉴욕·도쿄에 비해 싸다"고 했다.
그는 글로벌 경제의 가장 큰 위험요소로 '부모보다 가난해지는 자식 세대' 문제를 꼽았다. 그는 "15년 전엔 글로벌 인구의 98%가 자기 부모보다 더 돈을 많이 벌었지만, 20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50%로 줄었다"며 "부모보다 가난한 자식들이 극단적인 정치적 집단을 형성하면서 글로벌 경제와 정치에 거대한 변혁이 찾아올 것"이라고 전망했다.
미국 공화당 대선 주자인 도널드 트럼프, 스페인의 중도 좌파 정당 포데모스(Podemos)의 30대 리더 파블로 이글레시아스에 20·30대 유권자들이 열광하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돕스 소장은 "자유무역과 이민정책, 전통 정치 체계에 대한 반발이 사회의 단절(disconnect)을 유발할 수 있는데, 한국에서도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진단했다.
'리더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설] 새해 밝자마자 차이나 쇼크, 구조 改革 더 속도 내라는 경고 (0) | 2016.01.05 |
---|---|
[특파원 리포트] 빗나간 세 번의 중국 붕괴론 (0) | 2016.01.04 |
[사설] 새로운 政治 리더십으로 나라가 활기 되찾아야 한다 (0) | 2016.01.01 |
[신년 시론] 그래도 희망을 버릴 수는 없다 (0) | 2016.01.01 |
[동서남북] 본받을 부자 많아져야 청년이 희망 품는다 (0) | 2015.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