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전 대통령 서거-2015.11.22

[사설] 金泳三 전 대통령 서거, 우리 시대 巨人을 떠나보내며

최만섭 2015. 11. 23. 09:36
  • [사설] 金泳三 전 대통령 서거, 우리 시대 巨人을 떠나보내며

입력 : 2015.11.23 03:21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이 22일 새벽 88년간의 파란만장한 생애를 뒤로하고 세상을 떠났다. 그의 서거(逝去)로 이 나라는 고난과 성공, 좌절과 영광의 시대를 이끌어온 정치 거목(巨木) 한 사람을 더 잃었다. 이 나라 민주화 운동의 두 중심으로 1970년대 이후 한국 정치를 30년 가까이 주도한 양김(兩金·김영삼, 김대중 전 대통령)의 시대도 완전히 저물었다. 그러나 두 사람이 우리 현대사에 남긴 족적은 크고도 깊다.

동아시아정상회의에 참석 중이던 박근혜 대통령은 김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해 "깊은 애도"의 뜻을 밝혔다. 이명박 전 대통령은 "마지막 남은 민주화 운동의 상징이 떠났다"고 했다. 한때 정적(政敵)이었으나 말년엔 서로 의지했던 김종필 전 총리는 "신념의 지도자로 국민 가슴에 영원히 기억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 부인 이희호 여사는 "대한민국을 변화시킨 지도자로 기억될 것"이라고 했다. 여야 대표들도 민주주의에 대한 그의 신념을 계승하겠다고 말했다.

1927년생인 그는 인생과 정치 역정 전체를 우리 현대사와 함께했다. 일제의 식민 지배 시기에 성장했고 6·25전쟁을 겪었으며 어머니를 간첩의 총탄에 잃었다. 정치에 투신한 이후엔 꺾이지 않는 집념과 투지로 민주화 운동을 이끌었다. 온갖 고통을 감내한 그가 없었더라면 산업화·민주화의 동시 성취로 상징되는 대한민국 기적의 역사도 '절반의 성공'에 그쳤을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은 최연소(26세) 의원과 최다선(9선) 의원이란 기록을 갖고 있다. 우리 의회민주주의의 산증인이나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그의 정치 인생 전반기는 의회민주주의가 권위주의에 눌려 신음하던 시기였다. 권위주의는 아무 가진 것 없는 나라가 국가 건설과 산업화를 위해 불가피하게 갈 수밖에 없는 길이었다고 해도, 독재의 그늘은 언젠가는 우리가 걷어내야만 했던 굴레였다.

김 전 대통령은 1963년 군정 연장 반대 집회로 수감된 이후 일관되게 민주화 투쟁의 선두에 섰다. 박정희 전 대통령의 3선개헌 반대 투쟁 중엔 초산 테러를 당했고 1979년엔 의원직 강제 제명을 당했다. 이 사건은 부산·마산 민주화 운동으로 이어져 유신 정권이 끝나는 계기가 됐다. 1983년엔 광주민주화운동 3주기를 맞아 독재 정권에 저항하는 23일간의 단식 농성으로 정국의 흐름을 바꿔놓았다. 강고하던 군부 정권은 김 전 대통령의 결기에 손을 들었고 정치 통제를 완화하는 조치를 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물꼬가 트인 민주화의 거센 흐름은 결국 1987년 6·29 선언을 만들어 내게 된다. 암울했던 시절 "닭의 목을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동트기 직전이 가장 어둡다"며 투쟁의 선두에 섰던 김 전 대통령을 보며 많은 국민이 희망을 잃지 않았다.

이 민주화 투쟁의 기나긴 여정에서 김 전 대통령은 한 번도 과격한 수단을 사용하지 않았다. 투쟁했지만 출구 없는 대결이 아니라 절충과 타협으로 새로운 국면을 만들어냈다. 점진적 개혁주의자로서의 그의 면모는 군인 정권의 중심이었던 민정당과 1990년 3당 합당이라는 놀라운 변화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야당 진영에 함께 몸담았던 이들로부터 비난도 받았으나 이 3당 합당이 결국 군정(軍政) 종식과 '문민정부 탄생'이라는 역사적 결과를 만들어냈다는 사실 또한 누구도 부인할 수 없다. 우리나라 민주화는 1987년 6·29 선언과 대통령 직선으로 획기적 전환점을 이룩했지만 민간 출신이자 오랜 야당 지도자였던 김 전 대통령 당선으로 사실상 완결됐다. 군정에서 민정으로 넘어가면서 동남아·남미·아프리카 등 다른 나라에선 수도 없이 벌어진 헌정(憲政) 중단, 쿠데타 같은 혼란 없이 연착륙할 수 있었던 것도 온건 의회민주주의를 추구하는 이런 정치인들에 힘입은 바 크다.

김 전 대통령이 대통령에 취임하자마자 선언한 '부패와의 전쟁' 역시 우리 역사를 바꾼 획기적 조치였다. 지금은 일반화된 고위 공직자 재산 공개는 당시 그가 자신과 가족의 재산을 가장 먼저 공개하면서 시작된 것이다. 김 전 대통령이 안팎의 많은 반대와 우려 속에 강행한 금융실명제는 이제 우리 경제의 건강과 질서를 지켜주는 튼튼한 버팀목이 돼 있다.

김 전 대통령은 평생을 승부사로 살았다. 유신 정권과의 정면 대결, 목숨을 건 단식, 3당 합당 등 모두가 결정적 시기에 모든 것을 던진 승부였다. 그는 3당 합당으로 기득권 세력과 손을 잡았으나 마음속에선 이들과 결별할 수도 있는 개혁의 결심을 하고 있었다. 그 하나가 부패와의 전쟁이었고, 다른 하나가 군부 정치 사조직 하나회에 대한 전광석화 같은 해체 조치였다. 아직 군정의 여운이 채 가시지 않고 있던 그때 김 전 대통령 특유의 승부사 기질이 아니었다면 우리 군 전체를 휘어잡고 있던 하나회를 없애는 일대 단안은 불가능했을 것이다. 이 결단 하나로 우리나라는 군부 정권이 다시 들어설지 모른다는 두려움에서 비로소 해방될 수 있었다.

김 전 대통령에겐 늘 많은 사람이 모여들었다. 노무현·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롯해 김무성 여당 대표와 서청원·이인제 최고위원, 손학규 전 야당 대표 등 우리 정치를 움직이는 이들 상당수가 김 전 대통령 아래에서 정치를 시작했다. 사람을 널리 모으고 기회를 주는 그의 스타일이 문민정부와 그 이후 우리 정치의 기반을 만들었다. 김 전 대통령 서거 후 많은 이가 그의 이런 리더십을 떠올리며 아쉬워하는 모습에서 다음을 내다보는 정치인들이 느끼는 것이 있었으면 한다.

김 전 대통령이 떠난 11월 22일은 우연히도 그의 재임 중 우리나라가 IMF 구제금융 신청을 발표한 바로 그날이다. 김 전 대통령은 취임 후 금리를 자유화하고 공기업 민영화를 밀어붙였다. 관치(官治) 경제 시대에서 탈출하려는 몸부림이었다. 재임 초에 '세계화'를 내걸었고 1996년엔 선진국 클럽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도 가입했다. 하지만 국제수지 적자가 8년 연속 계속되는 가운데 이뤄진 규제 완화와 금융시장 개방은 큰 부작용을 낳았다. 동남아 외환위기가 터지자 우리나라의 무분별한 외화 차입이 경제 전반에 직격탄이 되고 말았다. 이 사건은 김 전 대통령 정치 인생에 가장 큰 오점이 됐고 본인도 마지막까지 이 일을 괴로워했다 한다. 그러나 이제 20년 가까운 세월이 흐른 지금 좀 더 긴 시각에서 보면 그가 주도한 세계화, 민간 자율과 개방 위주 경제정책이 결국 우리 사회와 경제가 가야 했던 길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김 전 대통령 서거로 모두 7명의 전직 대통령이 유명을 달리하게 됐다. 사람마다 호불호가 있을 수 있고 평가가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대통령과 함께했던 우리 역사가 세계에 전무후무할 대(大)기적을 만들어냈다는 것은 절대 폄훼해선 안 될 소중한 가치다. 때로는 넘어지고 때로는 멈춰 서야만 했지만 대혼란 속에서 나라를 건국하고 최빈국을 세계적 산업국가로 변모시켰으며 민주화와 개혁까지 이룩했다. 대통령마다 공과(功過)가 있으나 대한민국 성공의 역정(歷程)이 이 대통령들의 판단과 의지로 여기까지 이어져 왔다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일 때 진정한 화합이 시작될 수 있다고 믿는다.

김 전 대통령은 병석에 누운 시기에 붓글씨로 '통합'과 '화합'을 쓰곤 했다 한다. 이것이 그가 국민에게 마지막 남긴 유언이라 할 수 있다. 이 시기 이 나라에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가 이 유언에 담겨 있다. 그와 김대중 전 대통령은 평생의 동지이자 경쟁자였다. 독재에 맞서는 데는 손을 잡고 싸웠지만 대통령 자리를 위해선 필사적 경쟁을 벌였다. 두 사람의 이 대결이 지역주의를 심화시킨 것도 부인 하기 어렵다. 두 사람은 대통령 자리를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면서 이 나라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켰다. 이미 김영삼의 상도동계와 김대중의 동교동계는 과거에서 벗어나 동지(同志)로 돌아갔다. 우리 사회가 지역감정이라는 해묵은 숙제, 국가 발전을 가로막는 이 최대 고질(痼疾)을 양김 시대와 함께 역사의 강물에 실어 떠나보내는 것은 대한민국과 모두의 과제로 남았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