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훈수 둘 때 훨씬 잘 보이는 까닭, 남의 바둑판엔 이게 없다 [백성호의 한줄명상]종교-철학 2022. 6. 16. 05:33
백성호의 현문우답
회원전용훈수 둘 때 훨씬 잘 보이는 까닭, 남의 바둑판엔 이게 없다 [백성호의 한줄명상]
중앙일보입력 2022.06.15 05:00
업데이트 2022.06.15 20:35
업데이트 정보 더보기백성호 기자 구독백성호의 현문우답
구독“사흘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다.”
#풍경1
소년은 15살이었습니다.
하루는 마을 근처에 있는
절에 놀러 갔습니다.
거기서 동자승을 만났습니다.
동자승은 그에게 명구(名句) 하나를
읊었습니다.“삼일수심(三日修心)은 천재보(千載寶)요.
백년탐물(百年貪物)은 일조진(一朝塵)이다.”무비 스님은 15살 때 절에 놀러 갔다가 마음공부에 대한 글귀를 듣고서 감동을 받고 출가했다. [중앙포토]
뜻을 풀면 이렇습니다.
사흘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요,
백 년 탐한 재물은 하루아침의 티끌이다.소년은 상당히 조숙했었나 봅니다.
그는 이 말에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큰 감동도 받았습니다.
자신이 갈 길이 바로
이 길임을 직감했습니다.
소년은 그 길로 몰래 집을 나와
출가를 했습니다.
15살 소년의 자발적 출가였습니다.그 소년이 누구냐고요?
불교계에서 강백(講伯)으로 이름이 높은
무비(無比) 스님입니다.
15살 소년은 이제 79살의 노장입니다.#풍경2
예전에 가톨릭에서 주관한
‘죽음 체험 피정’을 취재한 적이 있습니다.
줄지어 선 참석자들은
자기 차례가 되자
관 속에 들어가 누웠습니다.
잠시 후 관 뚜껑이 닫혔습니다.
그 속에서 5분가량 있다가
다시 나왔습니다.
그런데 관에서 나온 사람마다
눈물을 뚝뚝 흘렸습니다.사람들은 묵상을 통해 또 명상을 통해 삶과 죽음을 들여다본다. 삶을 통해 죽음을 생각하고, 죽음을 통해 삶을 바라본다. 거기서 종종 지혜가 올라온다. [중앙포토]
그걸 쭉 지켜보던 저는
궁금해졌습니다.
저들은 무엇을 본 것일까,
저들은 왜 눈물을 흘리는 걸까.저는 취재수첩과 카메라를 잠시 내려놓고
줄을 섰습니다.
제 차례가 왔고,
저는 관 속으로 들어가 누웠습니다.
곧이어 관 뚜껑이 닫혔습니다.
관 뚜껑과 관,
그 사이로 실처럼 가느다란
빛이 들어왔습니다.
아주 캄캄한 어둠은 아니었습니다.
잠시 후 관 뚜껑 위로 천이 덮였습니다.그러자 빛이 하나도 없는
완전한 어둠 속에,
제가 누워 있었습니다.관 속에 들어가 눕고, 관 위에 천을 덮자 완전한 어둠이 내려왔다. 관 안과 관 밖의 세계는 철저하게 분리돼 있었다. [중앙포토]
아, 여기가 무덤이구나.
공간은 철저하게 분리돼 있었습니다.
관 속과 관 바깥은
달라도 아주 달랐습니다.가장 먼저 딱! 드는
생각이 있었습니다.“관 바깥세상에 있는 어떠한 것도
이 안으로 가지고 올 수가 없구나.”관 바깥에는 많은 것들이 있었습니다.
나의 가족,
나의 친구,
내가 하는 일,
내가 좋아하는 책,
내가 아끼는 이런저런 물건들.
그 어떤 사람도,
그 어떤 물건도
관 속으로 가지고 들어올 순 없었습니다.“그럼 무엇이 남는 걸까?
관 속에 누워있는 나에게
남아 있는 것은 대체 무엇일까?”관 속에 누워서 죽음을 묵상하는 '죽음 체험 피정'을 통해 사람들은 삶과 죽음을 다시 돌아봤다. [중앙포토]
이 물음이 저절로 올라왔습니다.
그때 비로소 알겠더군요.“아! 마음이구나.
죽어서 관 속에 누운 나에게
남는 것은 마음이구나.
이 관 속으로 가지고 들어올 수 있는 건
마음뿐이구나.
그럼 어떻게 살아야 하지?
잘 살아야겠네.
마음을 잘 가꾸며 살아야겠네.”#풍경3
무비 스님의 출가담을 들으며
저는 관 속에 누웠던
‘죽음 체험 피정’이 떠올랐습니다.무비 스님은 슬픔 속에 서 있으면서도 슬픔에 젖지 않는 삶이야말로 가뿐한 삶이라고 했다. [중앙포토]
사흘 닦은 마음이
천 년의 보배라고 했습니다.
저는 그 구절에
무척 공감이 갔습니다.
왜냐고요?
죽은 뒤에 내가 가져가는 건
마음뿐이라는 걸 절감했으니까요.아무리 빛나는 보석도,
아무리 좋은 자동차도,
아무리 좋은 집도
가지고 갈 수가 없더군요.
오직 하나,
나의 마음만 가지고 갈 뿐이었습니다.#풍경4
무비 스님에게 이런 물음을
던진 적이 있습니다.“불교는 마음 닦는 종교다.
깨달음의 종교다.
깨닫기 전과 깨달은 후는
무엇이 달라지나?”슬퍼하면서도 슬픔에 젖지 않는 삶, 그건 소리에 놀라지 않는 사자의 삶과 통한다. [중앙포토]
무비 스님은 이렇게 답했습니다.
“달라지는 건 없다.
그 전 그대로 살 뿐이다.
다만 인간의 삶에서 맛봐야 하는
굉장한 기쁨,
엄청난 절망,
잊지 못할 고통 앞에서는
그 차이가 확 달라진다.”어떻게 달라지는지,
다시 물었습니다.“도인일수록 폼 잡지 않는다.
정말 명경지수(明鏡止水ㆍ맑은 거울과 고요한 물)의
마음을 가진 도인은 더 인간적이다.
더 슬퍼하고, 더 기뻐한다.
다만 그 슬픔과 기쁨에 젖지 않을 뿐이다.
기뻐하되 기쁨에 물들지 않고,
절망하되 절망에 물들지 않는다.
물론 불의를 보면 분노한다.
그런데 그 분노에 물들지 않는다.
결국 어찌 되겠나.
슬픔과 고통과 절망 속에 있어도
‘나’가 상하는 일이 없다.”무비 스님은 "도인일수록 폼 잡지 않는다. 마음껏 기뻐하고 마음껏 슬퍼한다. 다만 거기에 젖지 않을 뿐이다"라고 했다. [중앙포토]
그런 삶은 어떤 삶일까,
다시 물었습니다.“가뿐한 삶이 된다.
살기가 아주 수월한 삶이 된다.
삶도 가뿐하고,
죽음까지도 가뿐하게 느껴진다.
생사해탈이 대단한 게 아니다.
그게 바로 생사해탈이다.
삶이 뭔가.
인연 따라 세상에 관광 왔다가
돌아갈 시간이 되면
당연히 돌아가는 거다.”무비 스님은 자신이 입적할 때
다비식도 않겠다고 했습니다.
괜히 산 사람들 번거롭게 한다는
이유였습니다.
몸은 그동안 입었던 옷이니
그냥 벗으면 된다고 했습니다.
이미 시신 기증 서약까지
해놓았다고 했습니다.무비 스님은 "남의 바둑에 훈수를 둘 때 바둑판이 더 잘 보이는 이유가 뭔가. 거기에는 '나'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 [중앙포토]
#풍경5
마지막으로 무비 스님에게
‘가뿐한 삶’ ‘물들지 않는 삶’에 대해
물었습니다.
무비 스님은 바둑에 빗대서
답을 던졌습니다.“하수들이 바둑을 둘 때
고수의 눈에는 다 보인다.
어디에 두면 죽는지,
어디에 두면 사는지 말이다.
곧 죽을 자리인데도
돌을 놓는 것이 빤히 보인다.
사람들은 자기 바둑을 둘 때는
수를 놓칠 때가 많다.
반면 남의 바둑에 훈수를 둘 때는
수가 잘 보인다.
훈수 둘 때는 2급 이상 바둑 실력이
더 높아진다고 하지 않나.
왜 그렇겠나.
바둑에 ‘나’가 없기 때문이다.
삶도 마찬가지다.
삶에 ‘나’가 없으면 지혜가 생긴다.
그래서 인생에서도 고수가 된다.”사흘 닦은 마음은
천 년의 보배라고 했습니다.
무비 스님은 그런 마음을
어떤 식으로 닦아야 하는지
중요한 힌트를 주었습니다.나의 삶에서 한 발 뚝 떨어져 보는 여유, 거기서 지헤가 나온다고 무비 스님은 강조했다. [중앙포토]
남의 바둑에 훈수 두듯이
한발 뚝 떨어져서
나의 바둑을 바라보는 여유.거기서 나오는 지혜로
나의 바둑을 풀어가는 삶.그렇게
한 발짝,
또 한 발짝,
또 한 발짝 가다 보면
우리의 삶도
가뿐해지지 않을까요.
수월해지지 않을까요.
물들지 않는 삶이 되지 않을까요.그물에 걸리지 않는
바람과 같이.〈‘백성호의 한줄명상’은 매주 수요일 연재〉
백성호 종교전문기자 vangogh@joongang.co.kr'종교-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하의 잡놈'이 부처로 보일 때까지…45년간 무식하게 찾아간 곳 [백성호의 한줄명상] (0) 2022.07.06 그렇게 증오하던 아버지, 그앞서 펑펑 울었다…가족문제 해결사의 거울론 [백성호의 현문우답] (0) 2022.06.30 안식일 원조는 유대교 토요일… 기독교는 로마가 일요일로 바꿔 (0) 2022.06.14 정의·도덕 내세우는 ‘정치적 관종’을 경계하라 (0) 2022.06.11 월세 400 청담동 기숙사 제공… 여에스더가 자랑한 ‘직원 복지’ (0) 2022.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