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닥터 스마트폰… 숨소리로 폐병 잡아내고, 태아 초음파 검사

최만섭 2017. 4. 4. 08:50

닥터 스마트폰… 숨소리로 폐병 잡아내고, 태아 초음파 검사

  • 이영완 과학전문기자입력 : 2017.04.04 03:00
  • [언제 어디서나 건강 진단… 스마트폰 의료 혁명 막올라]

    - 병원 의료기기 뺨치는 성능
    소변 속 병균 즉석에서 찾아내고 정자 數·운동성도 5초안에 확인
    AI 앱은 정확도 90% 족집게 처방

    한국도 기술 개발 활발하지만 원격의료 허용 안돼 '반쪽' 그쳐

    이번 달부터 영국 런던 5개 지역의 주민 120만명은 국민의료보험(NHS)이 운영하는 비(非)응급 의료 상담 전화인 111에서 인공지능(AI·Artificial Intelligence) 의사로부터 진단을 받는다. 주민들이 '바빌론' 앱(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해 이상 증세를 스마트폰에 입력하면 AI가 3억건의 진단 기록을 비롯한 수많은 의료 정보를 토대로 진단을 한다. AI앱 개발사인 바빌론 헬스는 "진단 비교 실험에서 의사는 73.5%의 정확도를 보였으나 AI는 90.2%나 됐다"며 "진단 시간도 의사는 평균 3분 12초가 걸렸지만 AI는 1분 7초에 그쳤다"고 밝혔다. 바빌론 개발에는 AI 연구자 100여 명이 참여했으며 AI 바둑 프로그램 알파고를 만든 구글딥마인드도 2500만달러(약 279억원)를 투자했다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질병을 진단받을 수 있는 시대가 다가왔다. 지난해 미국식품의약국(FDA)은 36건의 스마트폰용 질병 진단 앱과 진단 기기 허가를 내줬다. 스마트폰의 컴퓨팅 능력과 카메라·센서 성능이 획기적으로 발전하면서 스마트폰발(發) 의료 혁명이 시작된 것이다.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의료가 본격화되면 질병의 조기 발견으로 의료비 부담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료앱과 기기들
    영국 국민의료보험의 키스 맥닐 수석 임상정보 책임자는 최근 영국 파이낸셜타임스 인터뷰에서 "2020년 300억파운드(약 41조9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보험 재정 부족분의 상당액을 스마트폰 의료 신기술이 줄여줄 것"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폰으로 검사하고 AI가 진단

    바빌론은 병원에 가기 애매한 시각에 병이 생겼을 때 유용하다. 예를 들어 토요일 밤 갑자기 배가 빵빵해지면서 복통이 찾아왔다고 가정해보자. 바빌론 대화창에 증세를 입력하면 '임신을 한 경우가 아니라면 단순 소화불량으로 보인다'며 '매운 음식이나 커피, 항생제를 피하면 증세가 곧 좋아질 것'이라는 답이 돌아온다. 바빌론 측은 "의사 진단을 한 번 받는데 45파운드(약 6만원)가 들지만 바빌론 앱을 쓰면 한 푼도 들지 않는다"고 밝혔다.

    글로벌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규모
    최근 잇따라 등장한 스마트폰 의료 기기는 병원에서 쓰는 의료 기기와 거의 비슷한 성능을 보인다. 미국 스타트업 얼라이브코어는 스마트폰에 연결된 골무를 손가락에 끼우면 심전도를 알려주는 기기를 개발했다. 버펄로대 연구진은 이 기기가 기존 심전도 기기와 성능이 같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필립스가 개발한 스마트폰용 초음파 기기 '루미파이'도 기존 초음파 진단 기기에 손색이 없는 영상을 보였다. 루미파이는 한 달 사용료가 22만원대로 수억원대의 병원 초음파 진단 기기보다 훨씬 저렴하다. 게다가 스마트폰으로 검사한 결과는 의료진에게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테면 스마트폰에 청진기를 끼워 아이의 숨 쉬는 소리를 녹음한 뒤 녹음 파일을 의료진에 전송해 원격으로 상담받을 수 있다.이 밖에도 미국 스타트업 바이오밈은 스마트폰에 끼워 소변으로 성병 균의 DNA를 즉석에서 분석할 수 있는 장비를 개발했다.

    영국 의료 기기 업체 옥스퍼드 나노포어는 올해 말까지 스마트폰에 끼워 쓰는 초소형 DNA 분석 장비 '미니언(MinION)'을 출시할 계획이다. 환자가 갑자기 패혈증 증세를 보일 때 미니언으로 원인균을 즉석에서 알아내면 그만큼 생명을 구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지난달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진은 스마트폰 카메라로 정액을 찍어 5초 내에 정확도 98%로 정자의 숫자와 운동 상태를 진단하는 기술을 발표했다.

    국내에서는 규제로 원격 의료 난항

    국내에서도 스마트폰을 활용한 의료 기술 개발이 늘고 있다. 스마트폰에 연결해 혈압과 혈당 등을 재는 기기들은 물론이고, 여기서 나온 정보를 병원에 전송하고 의료진이 이에 기반해 진단하는 소프트웨어 기술들도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울산과학기술원 정웅규 교수는 최근 스마트폰에 연결하는 내시경을 개발했다. 정웅규 교수는 "스마트폰 의료 기술은 병원 인프라가 취약한 개발도상국에서 큰 힘을 발휘할 것"이라며 "실제로 스마트폰에 끼워 쓰는 의료 기기들은 해외 의료 봉사를 가는 국내 의사들에게 호응이 높다"고 말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스마트폰용 의료 기술이 반쪽짜리에 그친다. 환자가 스마트폰으로 자가 진단을 할 수는 있지만 그 정보를 의사에게 전송하고 진단을 받는 원격 진료는 현행법상 불법이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미국과 일본은 물론 중국까지 최근 관련 규제를 완화해 원격 의료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지만 한국은 의사와 환자 간 원격 의료가 허용되지 않아 관련 기술과 서비스 개발이 정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원문보기: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04/2017040400272.html#csidxec9312b9596f69abd7df060650ae97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