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대로 알자

"한국 법치주의 맞느냐"는 日 기자들의 질문

최만섭 2015. 11. 19. 08:57

"한국 법치주의 맞느냐"는 日 기자들의 질문

입력 : 2015.11.19 03:00

신정록 논설위원
신정록 논설위원
지난달 말 일본에서 열린 한·일 기자 간 토론회에 다녀왔다. 마이니치·아사히·요미우리 같은 일본 주요 신문사 논설위원들과의 대화 자리였던 만큼, 일본 언론인들의 생각을 짚어볼 기회였다 할 수 있다.

한국에 대한 일본인들의 반감과 불신이 한국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심각하다는 사실은 충분히 알고 있던 터였다. 이날도 '먹고살 만해졌다고…' 식의 원초적 정서가 묻어나는 말이 적잖게 나왔다. 얼마 전 어떤 일본 신문의 사설에 나왔던 "(일본이 한국에 대해 수십년 동안 들인 공이) 헛수고였다는 느낌"이라는 표현은 이날 일본 측 대표 발제문에도 그대로 들어가 있었다. 또 하나 흘려버릴 수 없는 말이 하나 있었다. "한국이 과연 법치주의 국가가 맞기는 한 것이냐?"는 것이었다. 이런 직설적 표현을 쓴 사람은 한 사람이었지만 말의 취지로 보면 많은 사람이 같은 얘기를 했다.


일본이라면 '해석 변경'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방식으로 헌법 내용까지 바꿔버린 나라다. 그렇다고 법치주의가 아니라고 할 수는 없지만 제도 자체만 보면 한국보다 허점이나 구멍이 더 많다. 그러니 그 질문은 자가당착임이 분명하다. 그런데도 일본 기자들은 이 질문을 정색하고 한국에 들이댔다.

지난 3월 일본 외무성이 홈페이지에서 한국에 대해 '기본 가치를 공유한다'는 부분을 삭제한 일이 있다. 일본 정부는 당시 "주기적으로 홈페이지를 업그레이드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시적 해프닝"이라고 했었다. 그런데 이것이 어느 사이에 공식 입장으로 기정사실화되는가 싶더니 이젠 언론인들마저 대놓고 따지는 단계에 이른 것이다. 정권이 바뀌면 일본 정부 입장이 바뀔 수도 있겠지만 언론인들이 한국을 그렇게 생각한다면 차원이 다른 문제다. 일본 사회의 보편적 정서가 이미 그렇다는 증표가 되기 때문이다.

그들이 문제 삼은 것은 여러 가지였다. 강제징용자 개인청구권에 대해 한국 정부의 공식 입장과 대법원 판결이 충돌하는 데 대해선 국가 간 협정보다 판결을 앞세우는 '사법(司法) 독주' 아니냐고 했다. 산케이신문 전 지국장에 대한 검찰의 수사와 기소 문제에 대해선 산케이 기자만이 아니라 거의 전원이 똑같이 한국의 언론 자유에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고 했다. 산케이 기사 자체야 악의적일 뿐 아니라 수준도 함량 미달이라고 인정했지만 그렇다고 권력이 영향을 미쳐 법정으로 가져가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고 했다.

은 진지했다. 상대가 진지하면 마주 앉은 쪽도 진지해져야 하는 법이다. 한국 측 참가자들이 삼권분립 등 몇 가지 측면에서 해명 겸 항변 겸 하기는 했다. 그러나 얘기는 계속 겉돌았고 서로 벽 보고 얘기하고 헤어졌다는 느낌마저 들었다. 국교정상화 50년이라는 올해 두 나라 관계 개선을 모색해보자는 취지로 열린 거의 모든 토론회가 이렇게 맥없이 끝났다.

지금은 국교정상화 이후 처 음으로 일본이 한국을 향해 따지기 시작하는 때다. 그만큼 경제적으로나 국제정치적으로나 대등해져 가고 있다는 증거다. 1인당 GDP가 1대 1이 될 날도 머지않았다. 역설적으로 '한·일 관계의 뉴노멀'이 매우 감정적·전투적 양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일 관계에 접근하는 생각의 틀 자체를 전면적으로 다시 생각해야 하는 단계로 들어서고 있다.



[출처] 본 기사는 조선닷컴에서 작성된 기사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