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없어진 것이 아니라
수미산이 가려 있기 때문이리
그대 미소가 보이지 않는 것은
없어진 것이 아니라
잎새에 가려 있기 때문이리
그대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 것은
없어진 것이 아니라
바람 속에 묻혀 있기 때문이리
하늘로 솟구치는 몸부림
그대 가슴에 뚫린 빈 항아리에
담고 담는 반복이리.
―최원규(1933∼)
‘해가 좋아, 달이 좋아?’ 만약 시인에게 물어보면 어떤 대답이 나올까. 이건 ‘아빠가 좋아, 엄마가 좋아?’ 질문에 필적할 만큼 난제다. 어려우니까 다수결에 따라보자. 정확한 수치를 헤아린 사람은 없지만, 우리나라 시에는 유독 달이 많이 등장한다. 그러니 나는 시인한테는 해보다 달이라고 대답하고 싶다.
그리고 달은 마음 그 자체다. 사랑에 빠진 사람에게 달은 연인이고, 이별한 사람에게는 슬픔이며, 상실한 사람에게는 그리움이다. 달은 보이지 않으면서도 분명 존재하는 모든 것들이다. 우리는 현실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을 달에 비추어 보고, 현실에서 찾을 수 없는 것은 더욱더 달 속에서 찾는다. 저 달이 없었다면 시인은 더 가난했으리라.
달을 사랑하는 시인을 알기 위해 이 시를 읽는다. 보이지 않아도 거기 있는 걸 안다는 이야기, 머리로는 몰라도 마음으로는 안다는 이야기이다. 이 시의 뒤편에 수없이 많은 시인이 서 있다. 그들은 모두 동의하면서 고개를 끄덕이고 있다. 보이지 않지만 분명 존재하는 마음이 있다고, 우리 마음들이 저 하늘의 달이 되었다고.
나민애 문학평론가
728x90
'시-시조·신문.카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용헌 살롱] [1352] 80대 소설가의 일상 (0) | 2022.06.20 |
---|---|
[오세혁의 극적인 순간] “요즘엔 자식이 손 안 벌리는 것도 부모로선 호강이지요” (0) | 2022.06.14 |
[백영옥의 말과 글] [255] 각자 혼자이듯 서 있으라 (0) | 2022.06.04 |
[박성희의 커피하우스] 우리 모두의 ‘임’을 위한 행진곡을 위하여 (0) | 2022.05.27 |
[2030 플라자] 의사가 치료할 수 없는, 病보다 아픈 삶 (0) | 2022.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