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예쁜 말 바른 말] [236] '가리어지다'와 '가리워지다'
입력 : 2022.03.30 03:30


요즘 인기리에 방영하는 한 드라마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OST) '가리워진 길' 노랫말 일부입니다. 위 내용에서 틀리는 말이 있나요? 아마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을 것 같아요. 그러나 위 예문에서 '가리워진'은 '가리어진'을 잘못 쓴 것입니다.
'가리워진' '가리워져'의 기본형인 '가리워지다'는 '가리어지다'의 비표준어입니다. '가리어지다'는 '가리다'의 피동형으로 '-어지-'가 붙어 '(사물이 다른 사물에) 막혀 보이지 않게 되거나 드러나지 않게 되다'라는 뜻이 있어요. '교통 표지판이 현수막으로 가리어져서 보이지 않았다'와 같이 쓸 수 있지요.
또 '(무엇이 더 뛰어난 것에) 영향을 받아 두드러지지 못하게 되다'라는 뜻으로, 예를 들면 '주인공의 연기는 경험이 풍부한 조연들의 연기에 가리어져 빛을 발하지 못했다'와 같이 쓸 수 있어요. '(사실이나 사건이 무엇에) 숨겨져 겉으로 드러나지 않게 되다'라는 뜻도 있어요. '친구들이 왁자지껄 떠드는 바람에 그의 지각은 가리어졌다'와 같이 써요. 우리가 흔히 쓰는 '가려지다'는 '가리어지다'의 준말입니다.
<예문>
ㅡ나를 지켜보던 그의 모습이 인파에 가리어져 더 이상 보이지 않았다.
ㅡ그의 업무 수행 능력은 상사의 그늘에 가리어져 있었으나 점차 빛을 발했다.
ㅡ진실이 거짓에 영원히 가리어질 수는 없다.

728x90
'교육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속의 한국사] 고려 숙종 때 南京 궁궐 터… 광복 후 옛 이름 되살렸죠 (0) | 2022.03.31 |
---|---|
[숨어있는 세계사] 불가사의 건축물… 정교한 古代 공법 숨어있어요 (0) | 2022.03.30 |
[재미있는 과학] 꿀벌 사라지면 수박·호박·아몬드 못 먹을 수도 있어요 (0) | 2022.03.29 |
[백영옥의 말과 글] [245] 나무 학교 (0) | 2022.03.26 |
[뉴스 속의 한국사] 길이 125m 달하는 백제 왕족들의 무덤… 서울서 발견됐죠 (0) | 2022.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