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을 든 아이 - 어떤 졸업식
배창환
사랑하는 아이야,
꽃을 든 네 사진 보니 눈물이 난다
활짝 웃는 네 얼굴에는
슬픔이 가득하다
눈물도 있다
미뤄 둔 시간이 있고
유예된 시간이 있다
고통을 건너 온 구겨진 길이 있다
그 길들이 우우 달려들어
네 머리칼 쥐어뜯듯이 달려들어
웅크리고 겁에 질린, 너를 낳았구나
꽃덩이 같던 네 얼굴엔
벌써 굵고 깊은 물살이 기어 다닌다
죽음의 긴 터널을 헤쳐 건너 온
네 품에 안긴 붉은 꽃 한 송이,
이렇게 속삭이는 소리 들린다
수고했어, 하지만 이제 다시 시작이야
이제 겨우 한 고비 건넜을 뿐이야
시인소개
배창환은 1955년 경북 성주 출생하여 경북대사범대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1981 ‘세계의 문학’에 작품 발표하면서 등단했다. ‘분단시대’ 동인 활동을 했으며, 시집 ‘겨울 가야산’, 시선집 ‘서문시장 돼지고기 선술집’ 등이 있다. 시 교육 관련 ‘이 좋은 시 공부’, ‘국어시간에 시 읽기1’ 학생 창작시집, 학생 창작수필집 등 여러 권 쓰고 펴냈다.
해설 성군경 시인
인생은 싸움의 연속, 가장 어려운 건 '자신과의 싸움'.
때론 산들 바람(Breeze)도 서툴게 여겨지는 인생살이.
완벽할 수 없어 그렇게 살아가는 삶에도 아낌없이 구워낸 조각이 있다.
양지와 음지는 같이 자라고 서로 팽팽하게 묶여 있지만
꽃은 두 발을 양지에 딛고 밝은 쪽으로 걸어간다.
수없이 많은 별들 중 어딘가에는 분명 한 송이 꽃이
피어 있을 것이라 굳게 믿으며 들떠있는 어린 왕자.
꽃을 든 아이가 바로 어린 왕자이다.
ⓒ한국일보 www.hankookilbo.com (무단복제 및 전재, 재배포를 금지합니다)
'시-시조·신문.카페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지수의 서정시대] 영혼까지 끌어모아 ‘숫자’에 올인하는 이들에게 (0) | 2022.02.10 |
---|---|
[한현우의 미세한 풍경] 우리는 행복이 뭔지 정확히 알지 못한다 (0) | 2022.02.08 |
[김윤덕의 新줌마병법] 소망식당, 4000원의 행복 (0) | 2022.01.25 |
한솥밥[나민애의 시가 깃든 삶]〈331〉 (0) | 2022.01.22 |
[백영옥의 말과 글] [236] 어른의 시간 (0) | 2022.0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