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르트루데 잔트만 ‘졸린’, 1933년.
1943년 독일 나치는 유대인 없는 베를린을 선포했다. 반유대주의를 표방한 뉘른베르크법이 발표된 지 8년 만이었다. 그렇다고 모든 유대인이 사라진 건 아니었다. 악착같이 살아남은 생존자들이 있었다. 화가 게르트루데 잔트만도 그 중 한 사람이었다.1893년 베를린의 부유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잔트만은 베를린 예술인협회에서 공부하며, 케테 콜비츠에게 개인 수업을 받았다. 사회비판적인 작품을 했던 스승과 달리, 잔트만은 여성을 모델로 한 초상화를 주로 그렸다. 1935년 뉘른베르크법 발표 이후 잔트만은 취업이 금지됐고, 제국 미술가협회에서도 제명된다. 전문 화가로 활동할 수 없다는 의미였다. 1942년에는 추방명령까지 받았다. 잔트만은 이를 거부했다. 대신 자살한 척했다. 친구들의 도움으로 전쟁이 끝날 때까지 베를린의 아파트 지하에서 숨어 지냈다. 대규모 공습 때도 폭탄이 피해가기만을 숨죽여 기다렸다. 생존의 두려움과 공포 속에서도 그녀는 창작 의지를 굽히지 않았다. 재료를 구하기 힘들었기에 최소한의 도구로 은밀하게 그림을 그렸다. 종이에 그린 이 흑백 드로잉은 고단한 하루 일과를 끝내고 엎드려 깜박 잠이 든 여성을 묘사하고 있다. 침대에 반듯하게 누워 편히 잠을 청할 처지가 아닌 듯, 어딘가 불안해 보인다. 어쩌면 화가의 자화상인지도 모른다. 나치가 집권했던 해에 그려진 그림이라서 일까. 곧 불어 닥칠 불안한 자신의 미래를 반영하는 듯하다.
두 차례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잔트만은 믿을 수 없을 정도로 왕성하게 창작했다. 비록 전쟁 통에 소실돼 정확한 수를 알 수는 없지만 1000점 이상의 작품을 제작한 걸로 알려져 있다. 전쟁 후 잔트만은 예술가로서뿐 아니라 성소수자 인권운동을 위해 싸우며 열정적으로 살다 88세를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생전에는 죽은 유대인이었지만 사후에는 용감한 베를린 여성으로 영원히 부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