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원자로 美설계인증 1차 통과]
- 日후쿠시마 같은 사고 원천 예방
4개의 독립공간이 원자로 둘러싸 단전 등 비상시에도 냉각 유지
APR1400 안전수준 기존의 10배
- 3세대 원전시장 선두주자
기존 강국인 美·日·프랑스 주춤… 한국만 유일하게 상업운전 성공
- 脫원전 정책, 수출 악영향 우려
"정부가 원전 수출 막지 않아도 수입국들이 한국産 고르겠나"
한국이 개발한 3세대 원전 APR1400이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설계 인증 심사를 사실상 통과한 건 국내 원전의 우수성과 안전성을 세계적으로 입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내년 NRC 심사를 완전히 통과하면 미국 등 해외시장 진출에 유리한 고지를 선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제기됐던 원전 안전에 대한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시킬 수 있다는 게 원전 관계자들의 기대다.- ▲ 한국이 UAE에 짓고 있는 바라카 원전 공사 현장. 내년 초 1호기를 시작으로 차례로 나머지 3기가 준공될 예정이다. 이 원전에는 한국이 자체 개발한 3세대 원자로 APR 1400이 들어간다. /IAEA(국제원자력기구)
원자로는 안전성과 경제성을 기준으로 세대를 구분한다. 1세대 원전은 1950~ 1960년대 지어진 것으로 연구실 실험용 성격이 컸다. 2세대 원전은 1970~1990년대 보급된 본격 상업용 원자로다. 3세대 원전은 러시아 체르노빌, 미국 스리마일 원전 사고를 겪은 이후 원전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기존 원전에 비해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 점이 특징이다. 한국수력원자력은 10년간 2350억원을 들여 2002년에 3세대 원전 개발을 완료했다. 한국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한층 더 안전성을 강화해 NRC의 심사를 받고 있다. NRC는 후쿠시마 사고 이후 자연재해 대비 등 안전성 심사를 대폭 강화했다. APR1400은 후쿠시마 원전 때 발생했던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다중의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쓰나미와 지진 때문에 냉각장치가 장기간 작동하지 않아 멜트다운(노심 용융)이 발생, 방사성 물질이 대량 유출됐다. APR1400은 단전 및 냉각 장치 파손 시에도 작동할 수 있는 별도의 비상 냉각장치를 갖추고 있다. APR1400은 기존 원전과 달리 원자로 격납 건물을 4개 공간으로 구분돼 있는 보조 건물이 감싸고 있다. 각각의 공간에는 안전 보조 설비가 설치돼 있다. 하나의 공간이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면 다른 공간 안에 있는 설비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한국, 3세대 원전 시장 선두권
프랑스와 일본도 3세대 원전에 대해 미 NRC 설계 인증 신청을 했다. 하지만 프랑스 아레바는 심사를 중단했고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은 10년 넘게 2단계 문턱을 넘어서지 못한 상태다. 아레바는 더욱이 해외 원전 건설 프로젝트에서 차질을 빚으면서 신뢰도가 떨어지고 지난해까지 6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는 등 재무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 원전 업체들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로 인해 해외시장 진출이 주춤한 상태이다.
3세대 원전 가운데 본격적인 상업 운전에 들어간 것은 APR1400이 유일한 상황이다. 국가의 자금 지원을 바탕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는 러시아와 중국도 3세대 원전을 개발했지만, NRC 설계 인증과 같은 객관적으로 인정되는 안전성 평가를 받지 못했다. 원전 업계에서는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이 해외 수출에 악영향을 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김창섭 가천대 교수는 "정부가 탈원전 정책을 시행해도 원전 수출을 막지 않겠다고 하지만, 수입국 입장에서 보면 한국 내에서도 외면받는 원전을 수입하겠다고 결정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728x90
'교육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박진배의 생각하는 여행] 책과 에스프레소, 푸드 트럭의 보헤미안 도시 (0) | 2017.08.08 |
---|---|
당나라 때부터 밭 갈아야, 베이징 아파트 살 수 있다고? (0) | 2017.08.05 |
[오늘과 내일/정성희]‘사걱세’ 간부의 위선 (0) | 2017.08.04 |
"친구니까 무조건 잘 지내란 말, 학교폭력 키워요" (0) | 2017.08.04 |
[전문기자 칼럼] 신생아 36만명은 인구 재앙의 시작이다 (0) | 2017.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