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새 신
제공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1. 새, 새로운
- 2. 새로, 새롭게, 새롭게 다시
- 3. 처음, 처음으로
- 4. 새로움, 새것, 새로운 일
- 5. 새해, 신년
- 6. 새롭개 안 사람
- 7. 새로 개간(開墾)한 땅
- 8. 나라의 이름
- 9. 새로워지다, 개선되다
- 10. 새롭게 하다, 새롭게 고치다
- 11. 친하다(親--), 친하게 지내다
단어 뜻풀이
-
①(어떠한 명사(名詞) 뒤에 붙이어)새로운의 뜻을 나타내는 말. ②중국(中國) 나라 이름의 하나. 왕 망(王莽)이 전한(前漢)을 쓰러뜨리고 세운 나라. 『주례(周禮)』에 따라 복고적인 개혁(改革)을 했으나, 적미(赤眉)의 난으로 망(亡)하여 광무제(光武帝)의 후한(後漢)으로 바뀜 ③성(姓)의 하나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날근(斤☞도끼)部와 木(목), 음(音)을 나타내는 辛(신)이 합(合)하여 이루어짐. 辛(신☞바늘)과 木(목☞나무)으로 이루어진 진(☞辛+木→榛(☞개암나무, 잡목숲)의 옛 글자)에 斤(근☞나무를 베는 도끼)을 더한 글자. 나무를 베어 땔나무로 하는 일. 나중에 나무를 하다→땔나무의 뜻은 초목(草木)을 나타내는 초두머리(艹(=艸)☞풀, 풀의 싹)部를 더하여 薪(신)이라 쓰고 新(신)은 베다→새롭다→새롭게 하다의 뜻으로 씀.
자원(字源)회의문자
新자는 ‘새로운’이나 ‘새롭게’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新자는 辛(매울 신)자와 木(나무 목)자, 斤(도끼 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그런데 갑골문에 나온 新자를 보면 辛자와 斤자만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은 나무를 잘라 땔감으로 만든다는 뜻이었다. 여기서 辛자는 발음요소이고 斤자가 ‘자르다’라는 뜻을 전달하고 있다. 금문에서는 여기에 木자가 더해지게 되면서 지금의 新자가 만들어지게 되었다. 新자는 본래 나무를 잘라 ‘땔감’을 만든다는 뜻이었지만 후에 나무를 자르고 다듬어 ‘새로운 물건을 만든다.’라는 뜻이 확대되면서 ‘새로운’이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新자가 ‘새롭다’라는 뜻으로 가차(假借)되면서 소전에서는 여기에 艹(풀 초)자를 더한 薪(섶나무 신)자가 ‘땔감’이라는 뜻을 대신하고 있다
新새 신 : 도끼(斤/도끼 근)에 괴롭게(辛/매울 신-立설 립)베인 나무(木/나무 목)에서돋아난
새싹의 모습이 새롭다
It means it's new to see buds sprouting from trees painfully cut by ax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