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外바깥 외 /head>
본문 바로가기
한자

外바깥 외

by 최만섭 2020. 11. 8.
728x90

 

 

바깥 외

 

제공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1. 바깥, 밖
  • 2. 겉, 표면()
  • 3. 남, 타인()
  • 4. 외국()
  • 5. 외가(), 어머니나 아내의 친척
  • 6. 사랑, 바깥채
  • 7. 타향(), 남의 집
  • 8. 언행(), 용모()
  • 9. 앞, 이전()
  • 10. 민간(), 조정()에 대한 재야()
  • 11. 안일에 대한 바깥일, 사사()에 대한 공사()
  • 12. 멀리하다
  • 13. 벗어나다, 빗나가다, 떠나다
  • 14. 잊다, 망각하다(--)

단어 뜻풀이

  • ①명사() 어근()에 붙어서 외가()에 간한 뜻을 나타내는 말  ②일부() 명사()의 어근()에 붙어 밖 바깥의 뜻을 나타내는 말  ③밖 이외()의 뜻을 나타내는 말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동시()에 음()을 나타내는 저녁석(☞저녁)(복)이 합()하여 이루어짐. 점()을 아침이 아닌 저녁()에 보는 것은 관례에 어긋난다는 뜻이 합()한 글자로 「밖」을 뜻함.

 

자원(字源)회의문자

外자는 ‘바깥’이나 ‘겉’, ‘표면’을 뜻하는 글자이다. 外자는 夕(저녁 석)자와 卜(점 복)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卜자는 거북의 배딱지(復甲)에 나타난 점괘를 그린 것으로 ‘점’이나 ‘점괘’라는 뜻이 있다. 고대 중국에서는 아침에 점을 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아침에는 하늘의 기운이 좋아 점괘가 잘 맞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간혹 외부에서 적이 쳐 들어왔을 때는 부득이하게 저녁(夕)에 점(卜)을 쳐야 했는데, 이때는 비록 관례에서 벗어났을지라도 제를 지내 전쟁의 승패를 알아봤다. 그래서 外자는 저녁에 점을 치는 예외적인 경우라는 의미에서 ‘벗어나다’라는 뜻을 갖게 되었다

 

 

 

 

外바깥 외-점()을 아침이 아닌 저녁()에 보는 것은 관례에 어긋난다는 뜻이 합()한 글자로 「밖」을 뜻함.

To do divination in the evening, not in the morning, is a combination of words meaning "outside" and is against the convention.

 

 

 

 

 

728x90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移옮길 이, 크게 할 치  (0) 2020.11.11
怨원망할 원, 쌓을 온  (0) 2020.11.09
盟맹세 맹  (0) 2020.11.08
明밝을 명  (0) 2020.11.08
耤짓밟을 적  (0) 2020.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