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하늘 건/마를 건, 마를 간 /head>
본문 바로가기
한자

하늘 건/마를 건, 마를 간

by 최만섭 2020. 10. 17.
728x90

하늘 건/마를 건, 마를 간

 

 

제공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1. 하늘
  • 2. 괘()의 이름
  • 3. 임금
  • 4. 남자()
  • 5. 아버지, 친족 관계()
  • 6. 마르다, 건조하다(--)
  • 7. 말리다
  • 8.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으로 하다, 형식적이다
  • 9. 텅 비다
  • 10. 아무것도 없다
  • 11.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
  • 12. 말린 음식()
  • 13. 물을 사용하지 않은
  • 14. 헛되이, 덧없이
  • a. 마르다, 건조하다(--) (간)
  • b. 말리다 (간)
  • c.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으로 하다, 형식적이다 (간)
  • d. 텅 비다 (간)
  • e. 아무것도 없다 (간)
  • f. 건성(어떤 일을 성의 없이 대충 겉으로만 함) (간)
  • g. 말린 음식() (간)
  • h. 물을 사용하지 않은 (간)
  • i. 헛되이, 덧없이 (간)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새을((=)☞초목이 자라나는 모양)와 음()을 나타내는 (간)으로 이루어짐. 음()을 빌어 마르다의 뜻으로 씀.

 

자원(字源)회의문자

乾자는 ‘하늘’이나 ‘마르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乾자는 倝(햇빛 빛날 간)자와 乙(새 을)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倝자는 햇빛이 밝게 빛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초목 사이에 해가 있으니 대지를 밝게 비추는 모습으로 해석된다. 그렇다면 여기에 乙자를 더한 이유는 무엇일까? 乙자의 사전적 의미는 ‘새’이지만 여기에서는 단순히 아지랑이로 응용되었다. 하늘이 맑은 날 햇볕이 대지를 달구게 되면 아지랑이가 피어오르게 된다. 乾자에 쓰인 乙자는 그러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하늘 건/마를 건, 마를 간-해가 하늘에서 뻗는 햇살( 倝-햇빛 빛날 간)을 받아 새싹(乙-새 을)이

마른다는 뜻이다.This means that when the sun receives sunlight from the sky, the sprouts dry out.

728x90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莫없을 막, 저물 모, 덮을 멱  (0) 2020.10.17
幹줄기 간, 주관할 관, 우물 난간 한  (0) 2020.10.17
韓한국 한/나라 한  (0) 2020.10.16
廟사당 묘  (0) 2020.10.15
潮밀물 조/조수 조  (0) 2020.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