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옵티머스 대주주 靑행정관’ 재직때 증권범죄수사단 폐지 /head>
본문 바로가기
문재인을 단죄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

‘옵티머스 대주주 靑행정관’ 재직때 증권범죄수사단 폐지

by 최만섭 2020. 10. 12.
728x90

‘옵티머스 대주주 靑행정관’ 재직때 증권범죄수사단 폐지

[옵티머스 정관계 로비 의혹] 차명 전환까지 하면서… 그녀는 왜 靑에 남으려했나

이민석 기자

표태준 기자

입력 2020.10.12 03:35

 

 

 

 

 

 

옵티머스 사태에 대한 서울중앙지검의 ‘부실 수사’ 의혹이 계속 불거지고 있다. 이번에는 청와대 민정비서관실 행정관이 재직 중에 자신의 옵티머스 지분 9.8%를 차명 전환했다는 관련자 진술을 확보하고도 사법 처리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인사는 일개 청와대 행정관이 아니라 청와대와 여권 핵심들과 친분이 두터운 것으로 알려진 이모 변호사다. 그는 김재현(구속 기소) 옵티머스 대표의 동업자인 윤석호(구속 기소) 옵티머스 이사의 아내이기도 하다.

 

검찰 안팎에서는 “옵티머스에 대해 예상되는 금융 당국의 조사와 검찰 수사를 저지·지연시키기 위해 모종의 역할을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 전 행정관이 왜 그토록 청와대에 남아 있으려 했느냐는 의문에 대해 한 검찰 간부는 “‘정부·여당 관계자가 프로젝트(옵티머스) 수익자로 참여’ 등 옵티머스 내부 문건에 등장하는 의혹들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서울 광화문에서 본 청와대 모습. /이덕훈 기자

◇"이 전 행정관, 차명 전환 후 계속 靑 근무"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이 전 행정관은 작년 10월 청와대에 들어갈 때도 2018년 4월부터 보유하던 본인 명의 옵티머스 지분 9.8%를 그대로 갖고 있었다. 그런데 작년 12월 또는 올 1월쯤 옵티머스 김재현 대표와 윤석호 변호사는 이 전 행정관의 지분을 모두 김 대표 비서 S씨에게 넘기도록 했다.

 

당시 김 대표와 윤 변호사는 회의 도중 S씨를 불러 “이○○ 변호사가 청와대에 들어가서 근무하는데 주식 소유권을 이전해야 한다. S씨가 넘겨받는 걸로 해달라”고 했다. 김 대표는 “명의만 이전하는 것이니 걱정하지 마라. (이전 시기는) 이 변호사가 청와대에 들어가기 전으로 소급 적용하자”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S씨는 이에 동의했으며 검찰에선 “주식 대금 관계는 모른다”고 진술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이 전 행정관은 지난 7월 말 검찰 조사에서 “지분 분산을 위해 명의만 빌려준 것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김재현 대표는 “(해당 지분은) 이 변호사 본인의 것이 맞는다”란 취지로 반박했다는 것이다. 검찰 역시 김 대표 등의 진술에 무게를 뒀으나 이 전 행정관을 사법 처리하지 않았다.

◇"靑이 증권범죄합수단 폐지 주도"

 

옵티머스 대주주인 이 전 행정관은 차명으로 전환해 보유 지분을 숨긴 뒤 6개월 가까이 청와대에서 근무했다. 그러다가 옵티머스 환매 중단 사태가 벌어진 지난 6월, 검찰 수사가 시작되고 남편과 자신이 수사선상에 오르고 나서야 청와대를 그만뒀다. 한 법조인은 “본인 의지뿐 아니라 옵티머스 사태에 연루된 여권 인사들의 ‘필요’도 있었을 것”이라며 “올 초부터 청와대 행보도 석연치 않다”고 했다.

 

옵티머스 사태‘축소·부실 수사’의혹

청와대 민정수석실은 이 전 행정관이 옵티머스 지분을 차명 전환한 직후인 지난 2월 사모펀드 감시 부실 등을 이유로 금감원 감찰에 들어갔다. 금융 당국 감시는 민정비서관실 소관이지만 청와대가 직접 감찰에 나선 것은 이례적이란 지적이 제기됐다. 한 금융권 인사는 “옵티머스는 라임과 달리 시작부터 사기(詐欺)였다”며 “금감원의 옵티머스 조사를 예상하고 미리 다잡기에 나선 것이란 느낌을 받았다”고 했다.

 

또한 지난 1월 법무부는 서울남부지검 증권범죄합동수사단(합수단)을 ‘비(非)직제 부서’라는 이유로 콕 집어 폐지했다. 국민의힘 유의동 의원실에 따르면, 올 1월 21일 합수단 폐지 등이 국무회의 안건으로 상정됐지만 금융 당국 수장인 은성수 금융위원장을 포함해 누구도 반대나 수정 의견을 내지 않았다. 합수단은 증권·금융 범죄를 전담하기 위해 2013년 만들어진 수사 조직이다. 당시엔 여권 인사 연루 의혹이 제기된 라임펀드 사건을 한창 수사 중이었다.

 

합수단 폐지는 소위 ‘검찰 개혁’을 담당해 온 이광철 청와대 민정비서관이 주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합수단 폐지는 ‘검찰 수사력’ 약화로 이어졌고 옵티머스 일당에게도 유리하게 작용했다. 당초 윤석열 검찰총장은 이 사건을 합수단 폐지 이후 남아 있던 서울남부지검 금융사건 부서에 배당하려 했지만, 친정권 성향의 이성윤 지검장이 수사를 자청했다고 한다. 이 지검장은 이 사건을 특별수사를 전담하는 반부패수사2부가 아닌 조사1부에 배당했다. 최근 수사팀은 청와대·여권 인사 등 20여명의 실명이 나오는 자료와 관련 진술들을 확보하고도 로비 의혹 수사를 수개월간 뭉갰다는 의혹에 휩싸여 있다.

 

 

이민석 기자 편집국 사회부 기자

 

 

 

 

 

표태준 기자 편집국 사회부 기자

 

사회부 법조팀 표태준 기자입니다

사회부 법조팀 표태준 기자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