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단독]청해부대 68명 확진… 軍 “총 200명 넘을수도” /head>
본문 바로가기
문재인을 단죄해야 나라가 바로 선다!

[단독]청해부대 68명 확진… 軍 “총 200명 넘을수도”

by 최만섭 2021. 7. 19.
728x90

[단독]청해부대 68명 확진… 軍 “총 200명 넘을수도”

신규진 기자 ,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입력 2021-07-19 03:00수정 2021-07-19 03:24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글씨작게글씨크게

결과 확인된 101명 중 68명 양성
나머지 200명도 확진 속출할 듯
초유의 파병함정 집단감염 현실화
“軍지휘부 무책임” 거센 비판여론

청해부대 전원 데려올 수송기 2대 출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집단감염 사태가 발생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 승조원 301명 전원을 귀국시키는 임무를 맡은 장병들이 18일 오후 부산 김해국제공항의 공군5공중기동비행단 주기장(駐機場)에서 공군의 다목적 공중급유수송기(KC-330)에 탑승하고 있다. 군 당국은 이날 KC-330 2대를 문무대왕함이 있는 아프리카 해역으로 급파했다. 국방부 제공

 

아프리카 일대에 파병된 청해부대 34진 문무대왕함(4400t급 구축함)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 결과가 나온 대상자의 3분의 2 이상인 68명이 양성 판정을 받아 초유의 해외 파병 함정 내 집단 감염이 현실화됐다. 파병한 지 4개월 넘게 군 지휘부가 백신 접종 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지 않은 ‘요행 방역’ 태도가 이번 사태를 불렀다는 비판이 커지고 있다. 청해부대는 첫 감기 환자 발생 8일 뒤에야 이를 상부에 처음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18일 군 당국에 따르면 이날 현지 보건당국의 유전자증폭(PCR) 검사 결과 61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첫 확진 환자가 발생한 15일 이후 사흘 만에 기존 확진자 7명을 포함해 검사 결과가 나온 101명 가운데 68명이 양성 판정을 받은 것. 군 내부에선 아직 검사 결과가 나오지 않은 200명에서도 추가 감염자가 속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군 관계자는 “현재로선 전체 승조원 301명 중 200명 이상이 확진 판정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했다. 폐렴 의심 증세를 보이는 7명을 포함해 현지 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인 승조원도 15명으로 늘어났다. 입원 환자 중 확진자는 3명이지만 나머지 12명도 확진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들은 고열과 두통, 근육통 등 증상이 심해 집중치료를 받고 있다. 상대적으로 증상이 심각하지 않은 유증상자 80여 명은 함정 안에서 코호트(동일집단) 격리되고 있다.

 

앞서 군 당국은 백신 접종을 하지 않아 함정 내 집단 감염을 방치했다는 비판에 대해 접종 이상 반응 시 대처가 어렵고 백신 보관이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군 내부에서도 “책임을 피하기 위한 해명”이라는 반론이 적지 않다고 소식통들이 전했다. 지휘부의 의지만 있었어도 공군 급유수송기로 화이자 등 백신을 수송하거나 아랍에미리트(UAE) 등 현지 항구에 기항할 때 백신을 접종하는 등 방법을 찾을 수 있었다는 것.

함정에서 첫 감기 환자가 나온 2일 청해부대는 작전지휘부인 합동참모본부에 관련 보고를 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일각에선 군 지휘부의 안일한 판단과 함께 청해부대에서 첫 환자 발생 뒤 신속한 PCR 검사를 통해 확진자를 격리하는 초동 대응의 골든타임을 놓쳤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규진 기자 newjin@donga.com기자페이지 바로가기>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