避피할 피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辟(피)와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辟(벽☞한쪽으로 기울다→피)으로 이루어짐. 부딪치지 않게 피하여 지나가다의 뜻으로 쓰임.
자원(字源)회의문자
避자는 ‘피하다’나 ‘벗어나다’, ‘회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避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辟(피할 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辟자는 사람과 辛(매울 신)자를 함께 그린 것으로 ‘피하다’라는 뜻이 있다. 한자에서 辛자는 주로 노예와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그래서 避자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하나는 죄수가 잡힐까 두려워 길을 피해 다닌다는 해석이고 다른 하나는 천민들이 상전들을 피해 골목으로 다닌다는 해석이다. 조선 시대 때 말을 타고 종로를 행차하던 양반들을 피하고자 서민들이 다니던 길을 ‘피마골(避馬골)’이라 했으니 避자의 대략적인 의미가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避피할 피 : 임금(辟피할 피, 임금 벽, 비유할 비, 그칠 미)이 행차하여 가면
避피할 피
1. 피하다(避--)
2. 벗어나다, 면하다(免--)
3. 회피하다(回避--)
4. 떠나다, 가다
5. 물러나다
6. 숨다, 감추다
7. 꺼리다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辟(피)와 동자(同字). 뜻을 나타내는 책받침(辶(=辵)☞쉬엄쉬엄 가다)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글자 辟(벽☞한쪽으로 기울다→피)으로 이루어짐. 부딪치지 않게 피하여 지나가다의 뜻으로 쓰임.
자원(字源)회의문자
避자는 ‘피하다’나 ‘벗어나다’, ‘회피하다’라는 뜻을 가진 글자이다. 避자는 辶(쉬엄쉬엄 갈 착)자와 辟(피할 피)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辟자는 사람과 辛(매울 신)자를 함께 그린 것으로 ‘피하다’라는 뜻이 있다. 한자에서 辛자는 주로 노예와 관련된 뜻을 전달한다. 그래서 避자는 두 가지 의미로 해석된다. 하나는 죄수가 잡힐까 두려워 길을 피해 다닌다는 해석이고 다른 하나는 천민들이 상전들을 피해 골목으로 다닌다는 해석이다. 조선 시대 때 말을 타고 종로를 행차하던 양반들을 피하고자 서민들이 다니던 길을 ‘피마골(避馬골)’이라 했으니 避자의 대략적인 의미가 이해될 것으로 생각된다.
避피할 피 : 임금(辟피할 피, 임금 벽, 비유할 비, 그칠 미)이 행차하여 가면(辶쉬엄쉬엄 갈 착) 백성이 길옆으로 피한다는 뜻이다.
It means that when the king goes, the people will flee to the side of the road.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幸다행 행 (0) | 2021.03.29 |
---|---|
壁벽 벽 (0) | 2021.03.28 |
辟피할 피, 임금 벽, 비유할 비, 그칠 미 (0) | 2021.03.27 |
복혜쌍수[ 福慧雙修 ] (0) | 2021.03.25 |
辨분별할 변, 갖출 판, 두루 편, 깎아내릴 폄 (0) | 2021.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