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핵실험 -2016년 1월 6일

석달만에 커진 탄두… 바이든 보란듯 ‘다탄두 SLBM’ 고도화

최만섭 2021. 1. 16. 05:56

석달만에 커진 탄두… 바이든 보란듯 ‘다탄두 SLBM’ 고도화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 신규진 기자 입력 2021-01-16 03:00수정 2021-01-16 05:10

공유하기뉴스듣기프린트 글씨작게글씨크게

공유하기닫기

[北 신형 SLBM 공개]탐지 어려운 바닷속서 기습 공격…김정은 ‘최종 핵병기’ 전력화 박차
“美 협상 거부땐 도발” 무력시위…열병식 단골 ICBM은 등장 안해

크게보기

 

북한이 14일 밤 8차 노동당대회 기념행사로 진행한 열병식에서 공개한 ‘북극성-5형’ 신형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은 지난해 10월 당 창건 야간 열병식에서 실체를 처음 드러낸 ‘북극성-4형’보다 탄두부와 직경이 커진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군 관계자는 “탄두부 공간이 늘어난 만큼 탄두 중량을 더 늘릴 수 있고, 그에 맞춰 미사일 덩치도 키운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더 무거운 탄두를 싣고서도 같은 사거리를 날아가거나 더 멀리 비행할 수 있도록 개량했다는 것이다. 여러 발의 핵을 싣고 최대한 멀리 날아가는 ‘다탄두 SLBM’ 개발에 주력하고 있음을 입증한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실제로 북한이 2019년에 시험 발사에 성공한 ‘북극성-3형’을 비롯해 북극성-4·5형은 모두 다탄두 탑재형으로 추정되는 탄두부를 갖고 있다. 특히 북극성-3형의 탄두부는 중국의 다탄두 SLBM인 ‘쥐랑(JL)-2’와 외양이 매우 흡사하다. 여러 발의 소형핵을 장착한 다탄두 SLBM은 수중에서 기습 발사돼 복수의 표적에 동시다발적인 핵타격을 가할 수 있다. 쥐랑-2에는 최소 20kt(킬로톤·1kt은 TNT 1000t의 파괴력) 이상의 핵탄두가 8개까지 들어간다. 한 발로 적의 주요 도시와 군 지휘부를 핵으로 초토화시키는 무시무시한 위력을 갖고 있다는 얘기다.

 

군 소식통은 “북한도 최소 2, 3개의 핵을 장착하고 사거리가 긴 다탄두 SLBM 개발에 목을 매고 있다”고 말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정찰위성 등에 들키지 않고 바닷속에 숨어 있다 적국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언제든지 가공할 핵타격을 가할 수 있는 다탄두 SLBM을 ‘최종 핵병기’로 판단하고 전력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것.

 

북한은 SLBM 발사의 핵심 기술을 거의 완성한 상태다. 통상 잠수함에 실린 SLBM은 수중에서 ‘콜드론치’(냉발사체계·발사관에서 공기 압력으로 밖으로 밀어내는 방식)로 발사된 뒤 수면 밖에서 공중 점화와 초기 상승 후 자세제어를 거쳐 목표를 향해 날아간다.

 

이미 북한은 2016년 북극성과 2019년 북극성-3형의 시험 발사에 성공해 그 기술력을 입증한 바 있다. 그 다음 단계로 탄두 중량과 사거리를 키운 SLBM 고도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걸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다탄두 SLBM을 잠수함에 다량 장착해 배치하면 한미 재래식 전력에 대한 질적 열세를 일거에 뒤집는 동시에 미국의 핵우산 등 대한(對韓) 확장억제를 무력화할 수 있다는 게 북한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북극성-5형은 김 위원장이 당 대회에서 개발 사실을 처음 공개한 전략핵추진잠수함(SSBN)의 ‘교두보’로 건조 중인 신형잠수함 2종(3000t, 4000∼5000t)에 북극성-4형과 함께 장착될 것으로 보인다. 신형잠수함에 먼저 실어서 충분한 실전 운용을 거친 뒤 핵잠수함이 개발되는 즉시 전력화하겠다는 복안을 갖고 있을 개연성이 크다는 것.

20일 출범하는 조 바이든 미 행정부를 향해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으면 ‘레드라인’을 돌파할 것이라고 경고하는 의미도 크다. 핵군축협상 등 북한의 요구를 미국이 거부한다면 향후 사거리 5000km가 넘는 중장거리급 다탄두 SLBM으로 괌과 하와이, 미 본토에 대한 기습 핵타격력을 극대화할 것이라는 ‘무력시위’라는 얘기다.

 

북극성-4·5형은 열병식 공개만 하고 실제 발사한 적은 없다. 때문에 바이든 행정부 출범 이후 전략적 도발의 ‘최우선 순위’로 신형 SLBM 발사 가능성이 거론된다.

한편 그간 북한 열병식에 거의 빠짐없이 등장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이번에 제외된 배경도 주목된다. 바이든 행정부와의 협상을 고려한 ‘수위 조절’이라는 관측과 함께 지난해 당 창건 열병식에서 공개한 ‘초대형 ICBM’이 모형일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정황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군 소식통은 “한미 당국이 신형 ICBM의 제원과 성능을 제대로 분석하지 못하게 하려는 의도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신규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