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似 같을 사 /head>
본문 바로가기
한자

似 같을 사

by 최만섭 2019. 4. 25.
728x90
似 같을 사
  • 1. 닮다
  • 2. 같다
  • 3. 비슷하다
  • 4. 흉내내다
  • 5. 잇다
  • 6. 상속하다
  • 7. 보이다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사람인변((=)☞사람)와 음()을 나타내는 (사의 변형 )가 합()하여 이루어짐 . (사)는 (사☞대를 이음)ㆍ(시☞먼저 난 여자()→시작) 따위의 말과 결부되어 뒤를 잇다→닮다→닮게 하다의 뜻으로 씀.


以 써이
  • 1. ~써, ~로, ~를 가지고, ~를 근거()로
  • 2. ~에 따라, ~에 의해서, ~대로
  • 3. ~때문에, ~까닭에, ~로 인하여
  • 4. ~부터
  • 5. ~하여, ~함으로써, ~하기 위하여
  • 6. ~을 ~로 하다
  • 7. ~에게 ~을 주다
  • 8. ~라 여기다
  • 9. 말다
  • 10. 거느리다
  • 11. 닮다
  • 12. 이유(), 까닭
  • 13. (시간, 장소, 방향, 수량의)한계()를 나타냄
제공처: ㈜오픈마인드
회의문자

상형문자로 보는 견해도 있음. 사람이 연장을 사용(使)하여 밭을 갈 수 있다는 데서 「~로써」, 「까닭」을 뜻함. (상형문자)쟁기의 모양을 본뜸.

자원(字源)
회의문자

以자는 ‘~로써’나 ‘~에 따라’와 같은 뜻으로 쓰이는 글자이다. 以자는 人(사람 인)자가 부수로 지정되어 있지만, 사람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 以자의 갑골문을 보면 마치 수저와 같은  모양이 그려져 있었다. 이것을 두고 밭을 가는 도구이거나 또는 탯줄을 뜻하는 것으로 추측하고는 있지만, 아직 명확한 해석은 없다. 다만 무엇을 그렸던 것인지의 유래와는 관계없이 ‘~로써’나 ‘~에 따라’, ‘~부터’라는 뜻으로만 쓰이고 있다.

似 같을 사
사람 (사람인변-(=))이 쟁기(以 써이)를 들고 일하는 모습은 대부분 비슷하거나 같다는 뜻이다.

When plowing, most people look alike or the same.


728x90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咅 침 부, 침 뱉을 투  (0) 2019.08.04
倫-인륜 륜  (0) 2019.07.07
裳 치마 상  (0) 2019.03.08
盜-도둑 도  (0) 2019.03.01
賊-도둑 적  (0) 2019.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