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潮밀물 조/조수 조
제공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1. 밀물
- 2. 조수(潮水: 주기적으로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바닷물)
- 3. 바닷물
- 4. (생각의)흐름
- 5. 고을의 이름
- 6. 나타나다
- 7. 밀물이 들어오다
- 8. 드러나다
- 9. 젖다(물이 배어 축축하게 되다)
- 10. 축축해지다
제공처: ㈜오픈마인드
형성문자
뜻을 나타내는 삼수변(氵(=水, 氺)☞물)部와 음(音)을 나타내는 朝(조)가 합(合)하여 이루어짐. 朝(조)는 향하여 간다는 뜻을 나타냄. 潮(조)는 시내의 흐름이 바다로 향하는 일, 나중에 물의 흐름→큰 파도→조수가 들어온다는데 씀. 옛날 朝(조)자를 潮(조)의 뜻으로 썼으나 나중에 朝夕(조석)의 朝(조)와 구별(區別)하여 삼수변(氵(=水, 氺)☞물)部를 붙여서 쓰게 되고 또 아침 조수를 潮(조), 저녁 조수를 汐(석)이라고 따로 쓰게 되었음.
자원(字源)회의문자
潮자는 ‘밀물’이나 ‘조수’를 뜻하는 글자이다. 潮자는 水(물 수)자와 朝(아침 조)자가 결합한 모습이다. 朝자는 풀숲 사이로 태양이 떠오르는 모습을 그린 것으로 ‘아침’이라는 뜻이 있다. 이렇게 날이 밝아오는 모습을 그린 朝자에 水자가 더해진 潮자는 아침이 시작되듯이 물결이 밀려온다는 뜻이다.
潮밀물 조/조수 조-아침( 朝-아침 조)이 되면 바닷물(삼수변(氵(=水, 氺)☞물수)이
밀려 들어와 밀물이 된다는 뜻이다.
It means that in the morning, the seawater is pushed in and becomes a tide.
728x90
'한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韓한국 한/나라 한 (0) | 2020.10.16 |
---|---|
廟사당 묘 (0) | 2020.10.15 |
朝아침 조, 고을 이름 주 (0) | 2020.10.13 |
縮줄일 축 (0) | 2020.10.12 |
宿잘 숙, 별자리 수 (0) | 2020.10.12 |